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실 컨택 전, 논문을 읽어보려는데 그 많은 것들 중 무엇을 읽어야 할까요?

2022.04.15

9

3397

보통 인용횟수나 IF가 많은 논문들, 그리고 가장 최근 논문 두 개, 이렇게 총 세 네개를 읽어가는 데, 이렇게 하는 게 맞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4.15

그 논문 중 지도교수님이 교신저자인 논문을 읽으세요. 논문 저자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논문이 현재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연구 주제와 관련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댓글 2개

2022.04.15

corresponding author를 말씀하시는 거 맞나요? 논문 이름들 중 제일 뒤에 있고 * 표시 있는 것이요!

2022.04.15

IF : 5

2022.04.15

잘 보고 계신 것 같습니다.
무기력한 버트런드 러셀*

2022.04.15

네이처 본지에 나온 논문부터

2022.04.15

리뷰페이퍼부터 보는게 좋죠. 아카대믹한것보다는 기술트랜드 파악하기에 유리하니까요.
그리고 여기 연구자들이 다들 어떤분야인지 모르지만, 뭐만하면 연구실 실적이든 연구참조든 NCS 보라는데 분야중 NCS본지는 커녕 자매지들이랑도 안겹치는 분야가 얼마나 많은데 다들 말들을 참 쉽게 하시네요. ㅎㅎ
덤덤한 장 폴 사르트르*

2022.04.15

리뷰 페이퍼를 먼저 보시면서 전반적인 기술 동향하고 연구 트랜드 위주로 읽으시면 연구분야의 백그라운드를 이해하실 수 있을겁니다. 읽다가 이론적으로 부족하신 것 있으시면 학위 논문하고 전공서적 읽으시면서 보충부터 해주시고요....
재치있는 레프 톨스토이*

2022.04.15

면담하게된다면 적어도 인용 많은 것. 실적용 논문 말고 최근 논문 중 메인테마들 정독. 교수님 대표논문은 레퍼런스도 세세하게 봐야 연구관해서 최소한의 디스커션이 됩니다.

2022.04.17

교수님 이름이 맨 나중에 들어간 논문 위주로 제목과 초록만 읽고 더 읽고싶으면 introduction(배경지식)만 읽으면 됩니다. 그리고 연구테마는 논문출판되고 사라지는 경우도 있고 실제 최근 연구과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주변에 인맥이 있다면 물어보시거나 실험실 웹사이트를 찾아보는것이 훨씬 빨리 파악할 수 있는 길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