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무관 정출연 무관(실적이 훨씬 중요) 교수 실적/학부 모두 중요(자대출신 우대+학부에따른 가산점제도)
대댓글 6개
IF : 5
2022.02.19
기업...무관은 아닙니다
-지나가던 회사원
침착한 존 롤스작성자*
2022.02.19
실적이 최우선이군요 다만 기업에서 논문 실적을 잘 안보는 경우도 있다던데 이런 경우는 뭘 보고 지원자를 선별하나요?
2022.02.19
기업 학부 스크리닝 함.
2022.02.19
학부스크리닝이 어느정도인지 모르지만, 학부무관 spk에서 박사학위받고 대기업 못가는 사람을 본적은 없네요..
물론 학부가 대체로 다 높은학교긴 하지만.. 제 경험상에서는 spk에서 그래도 정상적인 랩에서 졸업만 하면 대기업은 연구결 안맞아도 신기하게들 다들 뽑아서 가고, 정출연은 나름이긴하지만 그래도 실적 중간이상은 되는 사람들이 지원해서 가고, 교수는 초반부터 뜻이있던 사람들이 실적 잘챙기고 해외포닥 루트타고 가는게 너무 일반적이였어요.
난이도 자체가 교수임용>정출연>기업이라서 그렇게 생각한것일수도 있겠네요. 사실상 주변에서 취업걱정 한사람은 못봤으니;
IF : 5
2022.02.19
Spk면 거의 들어가긴 하는데 제 주변에선 학부에 따라 얼마나 힘들게 들어가냐는 많이 갈리는 것 같습니다. 산학이나 면접 보자마자 합격에서부터 2월 중순까지 결과 얘기 안하고 간보다가 갑자기 일주일 뒤에 오라고 하는 경우, 임원(원래 안면있던)이 마지막에 직권으로 뽑아서 슈퍼패스로 들어가는 경우 등등 넓은 스펙트럼을 본 것 같네요.
그리고 논문 잘 안봅니다.
침착한 존 롤스작성자*
2022.02.19
yk, ist 등등은 spk에 비해 취업이 많이 어렵나요?
2022.02.19
학부 좋은 애들이 잘 한다는 수많은 사례일뿐, 실적만 좋으면 학부 학벌은 많은 고려 요소 중 후순위일 것 같아요
대댓글 1개
침착한 존 롤스작성자*
2022.02.19
뽑아놓고 보니 서포카더라 같은 일이 많나보군요 의견 감사합니다
2022.02.19
해당 박사 분야에 align된 대기업이 있으면 그나마 ㄱㅊ은데 없으면 피쏠리는 각축전 개시됨. 그리고 보통 그런 생존 게임에 살아남는 사람은 간판'도' 갖고 있음.
2022.02.19
대댓글 6개
2022.02.19
2022.02.19
2022.02.19
2022.02.19
2022.02.19
2022.02.19
2022.02.19
대댓글 1개
2022.02.19
2022.02.19
2022.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