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해외대학원가는 이유가 뭘까요?

2022.02.15

13

3554

연구나 박사과정까지 생각해서 해외로 가시는건가요? 아니면 기업에서 해외대학원을 더 우대해줘서 그런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2.02.15

연구가 하고 싶었는데 그냥 미국 유학생이 왠지 더 멋져보여서 갔었고 결과적으론 연구도 더 좋았고 더 우대 받기도 했고..

2022.02.15

어떤 분야를 더 잘하고 싶으면, 그 분야에서 세계에서 으뜸인 곳에 한번 가보고 싶고,
거장과 그들의 동료도 만나보고 이야기하면서 그들의 생각과 가치관을 보고싶은 욕망이 생김.
그리고 그들의 집단에 있으므로써 말미암아 나의 성장도 고대하고요.
이것은 인간의 욕구이기도 하죠. 더 큰 세상으로 나아가 보려는 것.

2022.02.15

연구의 중심에서 연구해보고 싶어서요
무서운 제인 오스틴*

2022.02.15

국내에 네이처를 매년 내는 랩이 거의 없어서,, 미국 (or 유럽) 가는 선택지 밖에 없었습니다.

2022.02.15

군대갓다온게 아까워서
+ 학부가 국내탑대학이 아니라 타대생이 좋은랩 좋은프로젝트 받긴 어렵다 싶엇고
+ 무서운 괴수랩 들어가서 인생 조질까봐 외국으로 눈돌림

2022.02.15

저같은 경우엔 과연 그들은 한국의 대학원 연구문화와는 다르게 어떤식으로 연구를 하고있을까 라는 의문점이 조금 있었네요~ 결과적으로 후회는 없었어요 그리고 진짜 연구다운 연구를 하는 분위기가 너무 좋더라고요... 사실 위에 말씀하신 것처럼 국내탑대학 학부 출신이 아닌것에 대한 커버도 한 몫했던거같아요
직설적인 밀턴 프리드먼*

2022.02.15

미국을 예로 들어보자면,

1) 해외 정착이 목표.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이라는 기반으로 국제적 시민이라는 부가적 정체성도 가지고 있음. 그래서 한국에 꼭 머무를 이유가 없다고 생각. 세계여행도 많이 다녔고, 친구/이성관계도 국제적으로 다양함.

2) 수직적 문화가 많이 없어졌다 생각하지만, 나이가 나보다 많은 한국인들과 한국어로 소통할 때 괜히 유교적/나이부분을 무의식적으로 생각하는 나 자신이 피곤했음. 이건 지극히 내 문제임.

3) 물가를 고려해도 국내에 비해 현저히 높은 연봉

4) 커리어 디벨롭에 상당히 유리.

5) 한국 탑 학부가 아니기에

6) 가족 모두 경제나 건강에 있어 문제가 전혀 없고, 내 삶을 개척하는데에 전혀 반대가 없고 항상 서포트 해주는 분위기


2022.02.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탈조선

2022.02.15

전 한국에서도 괜찮게 하는 전공인데, 영어별로 안 싫고 해외 살아보고싶었어요

2022.02.1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을 외국(특히 미국)으로 유학가는 건, 지방에서 고등학교 나와도 학부는 서울로 가는 거랑 같은 이유죠. 기왕이면 큰 물에서 놀아야 성장하니까. Koi fish라고 관상용 잉어가 있는데 이 물고기는 그게 들어있는 어항의 크기에 따라 성장하는 크기가 달라지죠. 사람도 큰 물에 가야 큽니다. 한국보다 큰 곳을 가야 더 커지죠.
쑥스러운 하인리히 헤르츠*

2022.02.15

국내취업: 돌아올 때 대우가 하늘과 땅 차이.
미국취업: 일반적으론 필수
임용: 여전히 대우 받음. 그러나 그건 실적 있을 때 이야기.

2022.02.15

all of the above.

2024.07.15

all of the above.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