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상황을 잘 모르겠지만 지금 다른 학교 다니고 계시거나 졸업하셨으면 굳이 고대 입학을 해야할지는 모르겠구요. 처음부터 대학 입학하시려면 다니는것도 좋을거 같아요. 취준 나이가 늦으니 학부과정 동안 잘 준비하시면 될거같아요.
대댓글 2개
2022.01.10
대학교는 3학년까지다녔습니다
다만 학점이 좀 낮습니다.. 3점대초중반입니다
학교도 건동홍정도입니다
2022.01.10
먼저,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연령이 있다고 대답한 기업(108개사)은 남성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연령을 27.9세로, 여성 대졸 신입사원의 적정연령을 25.7세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기업이 생각하는 대졸 신입사원의 마지노선 연령은
남성이 평균 32.1세, 여성이 평균 30.5세로 집계되었습니다.
라는기사를봤는데
28살까지하고 29살 2월에 졸업인거면 거의 마지노선의 나이더라구요..
이런부분 걱정되면 그냥 안가는게 맞겠죠?
연고대메리트도 나이들면 굳이 인거겠죠?
4년을 그냥 취준하는데 쓰는게더 합리적인거겠죠??
2022.01.10
과도 안맞추고 갈거면 학교 왜 다니려고 하는지..맘에도 없는 학과가서 재미도 없는 공부 억지로 할거에요?
대댓글 1개
2022.01.10
성적맞춰서 지원하게 될것같은데 과를 불문하고 고려대 메리트가 큰가싶어서요
2022.01.10
글삭튀 ㅉㅉ
대댓글 1개
2022.01.10
내용 한줄이었어요
글다시올렸습니다~!
2022.01.10
성적 맞춰서 갈만큼 고려대가 있진 않음
고려대 라는 메리트를 느낄려면 그만큼 스스로 더 열심히 해야 할텐데 그냥 머가 됐든 일딴 붙잡고 간다면 진짜 의미없는 4년을 보내게 될겁니다.
그 예로 현재 CS 분야가 다시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제가 입학할 때만 하더라도 CS 분야로 왜 가는지 이해 못하는 친구들도 있었어요. 근데 지금 보시면 어떤가요? 다시 인기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제가 그걸 미리 알고 간걸까요? 전혀요. 제가 하고 싶은 분야에 맞게 제 나름대로 지원가능한 대학 중 상위 대학으로 진학했을뿐입니다.
CS분야는 예전에 인기가 올라갔다가 갑작스러운 저하, 그리고 현재 다시 인기가 올라가고 있죠.
최소한 자기가 하고 싶은 혹은 자기 생각엔 미래에 메리트가 있는 학과로 진학해야 후회가 덜합니다.
지금 CS분야가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아마 현재도 동일한 문제가 있을거에요.
CS분야로 입학했으나 스스로 왜왔나? 후회하거나 생각보다 어렵거나 과제가 많아서 힘들어하는 학생도 있을겁니다. 제가 알고 있는 안 좋은 케이스로는 결국 전과한 케이스가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단순히 학벌 하나만 바라보고 아무 학과나 새로 입학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말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뿐만 아니라 대부분 커뮤니티에서는 윗 댓글처럼 말하는 소위 글삭튀 싫어합니다. 왜 하는건가요? 부끄러운 흑역사인가요? 그렇다면 어느 정도 가릴 내용은 스스로 가렸어야 했구요. 질문했다는 사실 자체가 부끄럽나요? 그럼 오프라인 상으로 구두로 상담을 했어야죠.
대댓글 2개
2022.01.10
글을 올리고 나서 고민이 해결되어 글을 내렸습니다
내용 삭제하는거 싫어하는지 몰랐네요. 다시 수정했습니다.
연고대졸업자분들께 여쭤보고싶었거든요
저정도의 나이로 입학하시는분들이 있나요?
취업시에 나이가 28-29정도인데
2022.01.11
남자면 충분합니다.
2022.01.10
댓글처럼 아예 수정을 못하게 하던가 원문의 일정% 이상 수정을 못하게 해야 한다.
대댓글 2개
2022.01.10
이게 맞지
2022.01.10
글 다시 올렸어요!!
한줄이었고 댓글에 내용이 다 있습니다!
2022.01.11
음.. 이 커뮤니티가 학생인 친구들이 많아서 잘 모를수 있지만 취직이나 기회의 면에선 고려대를 가시는 걸 추천합니다.
학벌주의가 많이 완화되었지만 적어도 설포카연고까진 생각보다 사회에서 얻는 메리트가 꽤 있습니다. 또, 환경적인 부분도 현재 학부와 차이가 크다는 걸 느낄거에요. 다만 늦은 나이만큼 더 열심히 쫓아갈 각오를 하시길 바래요.
대댓글 2개
2022.01.11
그리고 학벌은 곱하기와 같아요. 주변에 졸업한지 10년이 지나도 학교만 남은 사람도 여럿 봤습니다. 과 선택 포함해서 잘 생각해보길 바랍니다.
2022.01.27
음 취업면에서 어떻게 유리할까요??
2022.01.19
전혀 없어요. 공대 및 전문직이면 뭐른까 다른건 의미없어요. 차라리 그시간에 본인이 하고자 것을 하세요.
2022.01.10
대댓글 2개
2022.01.10
2022.01.10
2022.01.10
대댓글 1개
2022.01.10
2022.01.10
대댓글 1개
2022.01.10
2022.01.10
대댓글 2개
2022.01.10
2022.01.11
2022.01.10
대댓글 2개
2022.01.10
2022.01.10
2022.01.11
대댓글 2개
2022.01.11
2022.01.27
2022.01.19
대댓글 1개
2022.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