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돈내면서 대학원 다니는 사람들 비율이 어느정도인가요??

2022.01.06

11

6658

대학원을 다니고 싶은 졸업한지 반년된 백수입니다.
지거국에 학점도 3점 밖에 안되지만, 전공과 연관있는
YK의 정보 전문대학원이나, k,u+ist 의 경영대학원의 진학을 희망하는데요

진학하고자 하는 마음은 확실하지만, 집안에서 대학원을 지원해줄 형편이 되지 않아 금전적인 부분 때문에 고민입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대학원에서 연구를 도우며 학비와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다고 들었는데, 이게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고, 의지만 있다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짓궂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1.06

대학원은 돈내고 다니면 바보죠

대댓글 2개

2022.01.12

내가 너같은 애들 생각해서 교수님과 과제수주한다고 고생한걸 상각하니 갑자기 억울하네..
짓궂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1.12

알바보다 못한 취급받으며 인건비도 제대로 못받는데 당연한 이치아니냐

2022.01.06

분야마다 차이가 심합니다.
일반적으로 이공계 계열은 상대적으로 국가 과제라든가 기업 과제에 있어서 더 유리하기 때문에 많은 것이죠.
국가과제가 없다면 돈 주고 다녀야 할 거에요.
여기선 SPK, YK 위주의 소위 말하는 학벌 경향이 심하고 그나마 ist 만 간간히 언급되는데요.
지거국이여도 지원금받구요.
지방 사립대여도 지원금받을 수 있습니다.
의지만 있다고 될게 아니라 지도교수님의 의지가 더 중요합니다. 컨택 단계에서 이 부분을 해결하고 가지 않으면 무조건 받는다는 보장 없어요.

대댓글 1개

2022.01.06

이공분야는 대학원생한테도 한국장학재단 내 중견연구과제에 참여중이지 않으면 한국연구재단에서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을 통해 선별해서 지원해줍니다.
무조건 받는다는 아니지만 그나마 작성자분이 원하는 본인의 의지만 있으면 된다는 예 중에 하나겠네요.

2022.01.06

연구실 마다 케바케인데 교수들은 우선 학생들을 싸게 쓰고 싶어 합니다. 그래야지 자기한테 돈이 많이 들어오니까
연구실에서 등록금 낼 정도 밖에 돈을 안주니까 집에서 생활비는 충당해야됩니다.

2022.01.06

서울 사립대 일반대학원 재학중인데, 저희 학과는 조교장학, 대학원장학 등으로 대학원 등록금을 충당할 수 있으며,
학술장학등으로 +@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경영대학원이나 정보전문대학원은 잘 모르겠네요.
근데, 통계 관련해서 경영대학원 수업들었는데.. 거긴 거의 80%이상의 대학원생들이 직장다니시는 분이더군요.
수업도 야간에 진행되었습니다.
이공분야 대학원은 아무래도 각 실험실에 소속되어, 장학 등에서도 지도교수님이 신경써주실 수 있는데,
경영대학원은 제가 알기로 대학원생이 별도의 연구실 소속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물론 작성자께서 원하는 대학원에 직접 문의하는게 정확하겠지요.

2022.01.07

문과 쪽은 거의 돈 내고 다닌다고 보는게 맘 편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1.07

데이터, 비즈니스 분석쪽도 국책과제 없을까요??

2022.01.12

본인의 의지보다 교수님과 랩실 환경이 중요해요. 원하는 랩실 교수님과 면담도 해보면서 정보를 얻는게 먼저일거같아요.

2023.02.28

농대입니다. 입학금을 제외한 등록금은 학교의 장학금, 떨어지면 학부의 장학금, 떨어지면 학과장님께서 조교로 선발해서 돈안내고 다니게합니다. 월급?의 경우 석사까지는 70가량이요. 70 돈은 학교가 받은 프로젝트+교수님이 받은 프로젝트에서 나옵니다. 박사님께서 받으신 프로젝트의 경우 박사님께서 선발하시면 해당프로젝트에서 또 돈을 받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