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진학을 고민중에 있는 학생입니다. soft robotics 하시는 분들 중에 괜찮은 교수님들 계신가요?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생각중입니다. 홈페이지 다 찾아보며 검색하고 있긴한데 정확하게 soft robotics 중에서도 어떤 걸 하는지 명확히 잘 나와있지 않아서 여기에 여쭤봅니다. 하이드로겔이나 약물전달 시스템 같은 마이크로로봇이 soft robotics에 해당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런 분야 연구하시는 분들 알려주실 수 있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1.12.15
KP 기계에 몇 분 계십니다
대댓글 1개
2021.12.15
혹시 성함 초성만 알려주실 수 있나요? 제가 대댓글달면 바로 삭제해주셔도 괜찮습니다
2021.12.15
soft robotics도 분야가 많죠. 외골격로봇을 제외하면, 해당분야를 그래도 초창기부터 꽉잡고있는게 하버드 j wood robert 교수님인데 그랩출신들 혹은 그분 지도교수(UCB) 출신들이 다해먹고있습니다. 그중 한국에서는 선구자라고 할만한분은 서울대 조규진, 박용래교수죠. 해당랩에서 포닥하면서 지인들도 빵빵한편이고요. 연구도 그래도 좋은논문많이쓰시지만 들어가기 쉽지않을겁니다.
그외에 센서쪽이나 액추에이터쪽으로 보면 k대에도 경기욱교수님이 진행하는듯하고 센서쪽은 김정교수쪽에서도 진행하는것같네요.
성대에도 최혁렬교수님이 특정분야를 진행하고있고, 그외에 서울대 안성훈교수님 출신인 성대 로드리그, 한양대 wang wei랩도 하는것같네요.
윗분이 포공말씀하셨는데 포공에 하는분이있나요? 로봇하는분 자체가 김기훈교수랩 하나아닌가요. 그쪽도 KIST에서 햅틱하시다온분으로 soft robotics는 아닐듯한데요.
그외에도 뭐 소프트센서나 굳이 비슷한 연구분야하는분들은 디지스트 등에도 몇분계실겁니다.
대댓글 11개
2021.12.15
soft robotics랩들 자체가 아직 다 초창기라서 대부분의 연구실이 박사배출이 없거나 적지만, 비교적 일찍시작한 조규진 교수님 랩 출신들은 이곳저곳에 교수임용도 많이됐습니다. 최근에 카이스트 항공과에도 한분 새로 부임하셨고요.
2021.12.15
포스텍을 알아보니 신임교수님께서 위에 제가 적은 분야 연구하시는 것 같습니다. 친절히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지스트에도 혹시 계실까요? 디지스트나 유니스트는 생각하고 있지 않아서요
2021.12.15
근데 참고로 s/k대 모두 지원이 몰리는 연구실들입니다. 조규진교수님랩은 예전에 비해서는 선호도가 줄었다고 하지만, 그래도 여전히 자대생들도 많이 몰릴거라고 예상됩니다. 박용래교수님랩은 정말 치열하고, k대 두 연구실도 선호도가 많이 높은것으로 들었습니다. 애초에 로봇분야 랩들이 다 그렇긴하지만요.
본인스팩이 조금애매하면 카이스트 항공과에 이번에 부임하신 교수님 한번 찾아보세요. origami wheel관련 연구하신분인데, 실력을 출중하시고 마찬가지로 하버드에서 포닥하고오셔서 지인들도 빵빵하고 좋은논문도 많이쓰실수있을분이라고 봅니다.
2021.12.15
지스트는 잘 모르겠는데 이종호교수님 랩사람들을 학회장에서 조금 본것같네요. 디지스트에는 주변지인들도 임용된사람들 좀있네요.
2021.12.15
포공 신임교수 어떤분이에요? 처음들어서 궁금하네요~
아 마이크로로봇쪽이나 하이드로겔쪽은 조금 다를수도있겠네요. 대충 drug delivery 쪽이면 제가아는분야랑은 조금 거리가있어서요.
2021.12.15
포스텍 김연수 교수님이십니다. 하이드로겔과 drug delivery 쪽 soft robotics에 관심이 있어서 알려주신 교수님 연구실 다 찾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2021.12.15
혹시 마이크로로봇 분야로는 아시는 분 있나요?
2021.12.15
저도 해당분야는 잘모르지만, Metin sitti 가 해당분야에서 유명한분 한분으로 알고있습니다. 학회장에서 많이 뵙기도 했고요. 아마 해당랩 출신들중 한국인들도 꽤있어서 임용된분들 많을것으로 봅니다. 생각해보니 포공 김석교수님도 뭔가 MEMS관련 연구 잘하신분같은데요. Metin sitti나 J rogers 교수님이랑도 같이 연구하신분이셔서 알고있던분중 한분이네요.
2021.12.15
정말 이 분야에 대해 해박하게 알고 계시네요 감사합니다 한국에 마이크로로봇 분야 연구하시는 분들이 많지 않네요 ㅠ
2021.12.15
학위를 받고 학계에 계속 남게되면 해당분야에서 누가잘하는지는 알수밖에 없죠ㅋㅋ 과제평가나 논문 피어리뷰를 할때 서로 번갈아가면서 심사하게 되는데요. 언급한 랩출신들 중에서도 특정사람들은 다들 계속 알고 교류하면서 지내기도 합니다. 학계가 좁다면 상당히좁은 분야니까요. 좋은연구실 잘 찾아서 들어가시면 좋을것같습니다.
단순히 micro robotics가 아니라해도 MEMS관련 연구하는사람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그중 제난바오랩 출신들처럼 skin sensor같은곳들도 많고요. 아마 너무 한정된 정보로만 검색해서 조금만 나오시는걸겁니다. 폭넓게 검색해보시면 신소재, 기계, 전자과 모두 충분히 훌륭하고 잘하시는 많은분들이 임용됐어요.
2021.12.16
너무 감사합니다 진짜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제가 알아보면서 약물전달이나 하이드로겔쪽이 관심이 많이가서 물어봤습니다!!
2021.12.15
대댓글 1개
2021.12.15
2021.12.15
대댓글 11개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