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거국 졸업했고 본가는 지방에 있습니다
SSH 대학원에 석사 진학하고 싶은데(SPK는 원하는 분야가 없습니다), 금전적인 게 마음에 걸립니다. 학비 대략 2500에, 월세, 보증금 비용 고려 안 하고 생활비까지 3000이 넘게 학자금 대출을 해야하는데 이렇게까지 하면서 진학하는 게 과연 도움이 될까하는 고민이 듭니다.
서울로 가려고 하는 이유는, 솔직하게 네임밸류도 있으며 평생을 지방에서 살아온 제가 더 나은 사람이 되려면 새로운 환경에 부딪히고 도전해봐야한다는 제 가치관 때문도 있습니다.
서울로 간다면 3000 그 이상의 빚+6개월가량 공백
서울쪽으로 가지 못한다면 학회장 역임하신 교수님+공백없이 진학
인 상황인데 뭐가 더 나을까요... 정답은 없겠지만 선배님들 생각이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오만한 맹자*
2021.12.14
자대에서 논문실적 만들수 있으면 석사로는 자대가 좋아보입니다. 학부보다 논문실적이 더 중요하죠
대댓글 1개
2021.12.15
댓글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
2021.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에 따라 인건비가 다르긴 할텐데... 랩이 수준있고(연구 실적, 졸업생 아웃풋) 가고 싶은 랩이고 본인 실력으로 갈 수 있으면 부모님과 의논해서 오케이 하면 못 갈 이유도 없음
대댓글 2개
2021.12.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느 대학원이든 수준있는 랩이면 인건비가 등록금 + 약간의 생활비 보탬 정도는 될 것임(과제 수주량이나 bk 유무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겠지만)
2021.12.15
댓글 감사합니다 ㅠ 참고하겠습니다.
IF : 5
2021.12.14
인건비가 없는 전공이거나 랩인가요?
대댓글 1개
2021.12.14
제가 인건비 부분은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글입니다! 랩실을 확실히 못정한 부분도 있고, 정확히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가 없어서요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_ _)
2021.12.14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다면 ist를 고려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1.12.14
저희과가 ist에는 없어서요 ㅠ 댓글 감사합니다.
2021.12.14
어떤랩이길래 등록금도 안주고 학비도 안주는거죠? 저라면 3번째 방안으로 등록금 주는 다른학교를 찾아보겠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2.14
제가 인건비 부분은 고려하지 않고 작성한 글입니다! 랩을 확실히 못정한 부분도 있고, 정확히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가 없어서요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_ _)
2021.12.14
아무리 그래도 3000 대출은 아니지 않나요... 이정도 대출을 할 생각이면 부모 지원이 없다는 것일텐데 삐끗해서 괴수 만나거나 하면 남는건 빚입니다. 네임밸류를 좇아 가서 진짜 만에 하나 실패라도 하게 된다면 미래구상이 '더 나은 네임밸류 추구'가 아닌 '당장의 의식주 유지'로 변하는건 순식간입니다. 거듭 생각해봐도 아닌것같습니다. 기댓값에 비해 걸어놓은 리스크가 너무 커요.
대댓글 1개
2021.12.15
역시 3000은 너무 큰 걸까요? 집에 돈이 없어서 당장 자취할 보증금도 대출해야합니다. 리스크도 고려해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2.14
보통은 인건비로 등록금정도는 충분히 해결이 될겁니다. 대출을 하신다면 3000빚이 생기기는 하지만, 인건비를 통해 대부분 상쇄할 수 있는 것이지요.
대댓글 1개
2021.12.15
이과 계열인데, 등록금이 한 학기당 600 정도 나옵니다. 인건비로 상쇄가 가능할까요? 다른 분들 댓글과 달라서 또 고민이 생기네요 아무튼 댓글은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1.12.14
300도 아니고 3000은 너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정도의 가치가 서울에 있다는 생각보단 그 돈을 줄이고 같은 마음으로 자대나 더 나은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1.12.16
댓글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2021.12.14
근데 SSH도 좋은 연구실 가야지 취직되지 아니면 시간 낭비 돈 낭비 일수 있어요 .
대댓글 3개
2021.12.15
나쁜 연구실이라 함은, 가끔 학과에 한 분 정도 계시는 연구실적 전무하고 욕심없는 교수님의 랩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아니면 그것을 포함해서 중간정도 가는 랩들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현재 연구실을 알아보면서 교수님의 연구 실적 및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보고 있습니다. 가능하면 졸업생 현황도 보고자하는데 없는 경우가 더 많아서요. 이 정도면 좋은 연구실을 걸러내는데 충분한가요?
2021.12.15
취업하는데 좋은 연구실
무슨 학회장 등 여러 곳에 영향력이 있는 유명한 교수가 지도교수인 연구실,
회사에서 관심있어 하는 연구를 하는 연구실
대기업 경력자 채용공고를 보면 어떤 연구를 관심 있어 하는지 알 수 있음
취업하는데 나쁜 연구실
학계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신임교수가 지도교수인 연구실
2021.12.15
명쾌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도움이 많이 된 것 같습니다.
2021.12.15
석사하면서 인센포함 월 200가까이 받아서 기숙사 살면서 아껴 썼습니다. 그런데 이만큼 받을 보장은 없으니 솔직히 집에 여유가 있으신분 아니면 서울보단 ist를 추천합니다.
대댓글 1개
2021.12.16
이 댓글 보고 ist를 다시 찾아봤으나 역시 관련 학과가 없네요. 진학 후 아예 생각치 못한 분야로 가게 되는 거라 당장에 뭘 할지도 모르겠고..
회사 다닐 때는 대학원가서 연구하면 행복만 할 줄 알았는데 가는 게 이렇게 힘들줄이야..
갑자기 푸념 늘여놔봤습니다. 댓글 감사드려요.
2021.12.16
무슨과인지는 모르겠지만 공대계열이면 등록금 + 생활비 일부 커버처줄 정도의 인건비 줄 랩 충분히 있을겁니다. 물론 인건비만 보고 가서는 안되겠지만요. 일단 겁부터 먹지 마시고 컨택 먼저 여러 곳에 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1.12.16
겁먹지 말고 컨택하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 공대는 아니고 이과계열입니다만, 배고픈 코페르니쿠스님 댓글을 참고하여 겁먹지말고 컨택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2.16
3000 정도면 2년으로 충분히 상쇄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대댓글 1개
2021.12.16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2021.12.16
무슨 과인지 모르겠는데 ssh에만 있다는 게 좀 이상하네요. 과 이름과 별개로 교수님마다 연구분야가 다르니 관련된 연구하는 교수님들을 충분히 잘 검색해보는게 중요해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1.12.16
네 감사합니다. 열심히 찾아보겠습니다.
2021.12.17
이해가 안 가는 부분 질문 드립니다!
1) 과가 아예 없는건가요?
상위 대학에 과가 없다면, 연구의 주제 또는 질에 대해 한번 고민이 필요하신가 아닐까요? 연구 발주를 많이 받는 상위 대학에서 안 하고 있다면, 트렌드에 맞지 않을 경우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비슷한 과도 없나요?
비슷한 과가 있다면, 연구실 명은 달라도 연구 과제를 통해서 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연구실 명만 보시지 마시고, 논문 또는 수행하고 있는 과제까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이외는 다른 성자님들의 글을 참조하세요ㅎㅎㅎㅎ
대댓글 2개
2021.12.18
정확히는, 과는 있으나 원하는 분야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신소재공학과라면 신소재 내에도 탄소, 세라믹 등이 있고 이를 분석하는 분야와 응용을 위한 연구를 하는 분야, 실제로 응용을 랩 스케일로 해보는 분야 등 다양한데 그런 면에서 제가 가고 싶은 분야가 SPK에는 없었습니다. 또한 저희 과가 이과 계열이지만 IST에는 과가 없으며, 비슷한 과는 약간의 거리가 있어서 없다고 말씀 드리게 되었습니다. 자세하게 말씀해주셔서 감사드리며, 현재는 교수님의 논문만 찾아보고 있으나 과제도 같이 확인해보겠습니다. 좋은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1.12.20
넵! 한번 찾아보시고,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랍니다!!!!
2023.03.02
학과 사무실에 전화해서 입학시 받을수 있는 장학금이나 조교비 같은게 있는지 문의하는게 가장 심플합니다 ssh이면 학생 없어서 난린데..
2023.05.29
혹시 저와 비슷한 고민하고 계시는 분이 이 글을 볼까 싶어 댓글 남깁니다. SSH과 KY, 그리고 자대에 지원하였고, 가장 먼저 합격 소식을 받은 KY에 진학 결정하였습니다. 만약 괴수랩을 만났다면 정말 리스크가 큰 상황이었는데 다행히 다른분들 말씀대로 인건비로 등록금이 충당되는 덕분에 경제적인 부분에서 큰 문제 없이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감사하게도 한 학기는 조교를 시켜주셔서 등록금이 면제되었습니다. 1년 반 전의 글이지만 조언해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5
2021.12.14
대댓글 2개
2021.12.14
2021.12.15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4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4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4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5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5
2021.12.14
대댓글 1개
2021.12.16
2021.12.14
대댓글 3개
2021.12.15
2021.12.15
2021.12.15
2021.12.15
대댓글 1개
2021.12.16
2021.12.16
대댓글 1개
2021.12.16
2021.12.16
대댓글 1개
2021.12.16
2021.12.16
대댓글 1개
2021.12.16
2021.12.17
대댓글 2개
2021.12.18
2021.12.20
2023.03.02
2023.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