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0 - 맞습니다 people에게 easy하고 happy하게 deliver하는 ability는 human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42 - 글을 읽을 줄은 아시나요?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21 - 저는 팍팍씁니다. AI가 개발되는데 우리가 못쓸 이유가 없습니다.
새 도구가 나왔으면 도구를 잘 쓸 생각을 해야지 왜 못쓰게 해야 하나요
논문쓸때 챗지피티는 어느정도로 써야할까요?
23 - 저년차 학생들은 왜 이렇게 출퇴근 시간에, 그것도 남의 출퇴근 시간에 집착하는지 모르겠네요. 밤늦게까지 일한다고 해서 연구 잘하는거 절대 아니고, 집가서 혼자 공부하는거 일수도 있는데 무슨 근거로 남의 능력을 판단하나요?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66 - 하지 마세요. 연구는 조직 문화라 튀는 것 싫어합니다.
회사하고는 달라요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9 - 뭐.. 부모의 교육수준과 자식의 교육수준이 아주 큰 상관관계가 있는거야 명확한 일이니.. 그래도 저는 아닌 케이스도 꽤 많이 압니다.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3 - 1. 진짜 금수저는 부모님 사업 물려받는 일하거나 공직하거나 의사판사 하지 않을까요.
2. 오히려 대학부터 공부 열심히 해서 장학금 받고, 석박도 장학금으로 다니고 돈 하나도 안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말은 오히려 돈 안들이고 집안의 지위? 를 올릴수 있는게 공부만 죽어라해서 박사따고 교수되는거라고 생각함. 그래서 평범 집안~약간 흙수저 출신도 많더라구요. (특히 박사-교수 테크 많은 KAIST나 -ist 계열은 진짜 학비가 없으니)
3. 보통 부모가 선생이나 교수인 경우가 종종 있더라구요. 교육자 집안, 학자 집안을 이어 가는건데, 보통 부모가 선생님이나 교수라고 금수저인 경우는 드물긴 하죠.
4. 그래도 집에 빚이 있거나 찐 흙수저는 대학원 갈 생각 못하는건 사실. 최소 밥먹고 사는덴 지장없는 집안 출신은 되야 하는듯.
글쓴이가 말하는 경우가 특이한 케이슨거 같은데, 저는 생각보다 주위 교수님들 그냥 평범하게 잘 사는 중산층이 대부분이었음. 솔직히 돈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 사업하거나 의사변호사가 돈은 더 많이 벌고 좋은데 삼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5 - 여기서 더 무서운 것은 서울대 개 넓은 데도 법적으로 '도로'가 아니라는 거임 ㄷ ㄷ ㄷ 도로교통법상 '도로'가 아님 ㄷ ㄷ ㄷ 사고나면? ㄷ ㄷ ㄷ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1 - 해외유학 가는거 자체가 쉽지 않습니다
금수저는 아니라도 여유는 있어야 하지 않나요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7 - 금수저 맞음.
난 아닌데 자수성가인데 라고 하는 교수님 특- 흙이 뭔지 모름. 말할 때 맨날 단, 하지만, but, 이러면서 착한척 하면서 딴소리함. 나르시시스트, 위선자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12 - 혹시 민주당 용혜인이나 조국같은 애들이 하는 브릿진가요?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8
대학원 웬만하면 오지마라 (장문)
2020.02.13

SPK에서 학석박한 물박사다.
진지하게 나는 학문이 너무 좋아서 대학원을 가야겠다고 생각하면 안읽어도 된다.
근데 어설프게 내가 그나마 잘하는게 공부같은데 좀 더 해서 기왕이면 박사 되고싶다 이런 애들은 한번 읽어봐라.
대학원으로 서열놀이 하는 글이 항상 있는거 보면 대학원이나 학위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 이런 중요한 진로에서는 항상 현실을 잘 알고 선택을 해야한다.
가장 문제는 입학 전 생각한 대학원 생활과 실제 대학원 생활 사이에 괴리가 크다는 것이다.
학부생 인턴? 나도 대학원다니는동안 몇명 맡아봤지만 체험판일 뿐이다.
인턴하면서 실험설계부터 논문작성까지 참여해볼 일이 많겠냐 원생도 저년차에는 선배가 하는 주제에 보조로 들어가고 교수가 시킨 주제 하는게 비일비재한데
내가 생각하는 현실적으로 대학원을 와도 괜찮은 경우 적어본다.
1. 앞에도 말했지만 연구가 너무 좋은 경우.
- 근데 이거 바뀔수도 있다. 애초에 연구를 해본적이 없는데 어떻게 아냐? 극히 드물게 학부인턴 2,3년 하면서 좋은 저널 1저자 쓰는 애들도 있는데 (학부다닐때 우리과에 있었음) 그런 애들은 김박사넷 볼일 없지
- 그리고 대학원 졸업해도 학계에 남는 사람보다 안남는 사람이 더 많다. 니가 대학원 와서도 정말 좋은 퍼포먼스를 내고 몇년간의 포닥생활까지 한 뒤에야 연구를 직업으로 할 수 있다.
- false-positive가 제일 많이 뜨는 케이스다. 다시 한 번 주의해라.
2. 학위를 위해 인생의 몇년을 희생하는게 아깝지 않은 경우.
- 예를 들어서 네가 평생 일 안해도 먹고살 걱정이 없는데 학부를 SPK 못간게 한이라서 6년 7년 8년이 걸리더라도 최소한 국내 최고대학 학벌을 이력에 한줄 넣어야겠다고 생각하는 경우라면 문제없다.
- 돈많으면 그냥 하고싶은거 하면 되기 때문에 대학원을 와도 된다. 솔직히 맘편히 다니는 애들 꽤 봤다.
3. 인더스트리에 박사 수요가 많은 전공을 택하는 경우.
- 요즘 핫한 ML이라던지(근데 수요공급 균형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다) 반도체 관련연구 하는 곳 등등 가면 졸업하고 굶을 일은 거의 없다.
- 그냥저냥 대학원 다니고 졸업했을 때 제일 무난한 경우다. 30대 초반에 회사가서 과장정도 하면 학사졸에 비해 나쁘진 않다. 그래도 20대 중후반 인생 퀄리티는 훨씬 낮다.
4. 정말 꿀같은 전공을 나만 알고 있는 경우.
- 예를 들어서 모 학과는 교수들이 거의 한 랩 출신이다. 그러니까 이 분야를 개척한 원로교수가 있고 그 뒤에 학과가 만들어지니까 그 사람 밑에서 나온 제자들이 줄줄이 교수가 된거다.
- 근데 니가 선구안이 아무리 좋아도 들어가서 졸업할때는 어떻게 되어있을지 장담못한다.
5. 빠르게 손절하고 그 뒤에 백업플랜이 있는 경우
- 언제든 그만둘 수 있다는 생각이 있으면 들어와도 된다. 1년정도 다녀보거나, 2년해서 석사정도 따고 나가면 그렇게까지 큰 손해가 있진 않다.
6. 전공을 살짝 트는게 목적인 경우
- 3번이랑 좀 겹치는데, 예를 들어서 학부에서 생명과 하고 바이오인포매틱스 석사 한 뒤에 IT 기업 취직하는 케이스가 있다.
- 대학원 중에 학제간전공 하는 대학원들이 있기 때문에, 경력을 좀 스무스하게 바꿀 수 있다.
이상이다.
다시 말하지만, 나는 연구가 뭔지 알고 있고 그게 너무 좋다는 사람은 신경 안써도 된다. 혹은 강렬한 의지를 가져서 어떤 고난도 이겨낼 수 있다고 자신하는 사람은 그냥 무시해도 좋다.
근데 나를 비롯해서 대부분의 사람은 그렇지 않은데 스스로를 잘 알지 못한채로 선택을 하기 때문에 한명이라도 도움이 될까 해서 써봤다.
내 개인적인 대학원 경험을 얘기해주자면, 나는 스스로 그냥 한명의 소시민일 뿐이라고 생각해서 다른 사람들보다는 각을 많이 재보고 대학원에 온 편이라고 생각한다.
직업적 연구자가 되는게 목적이 아니고,학위 따서 일반 사무직보다는 조금이라도 자율성이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authority를 갖춘다고 생각하고 대학원 원서 썼었다.
그리고 미필이라 전문연 하면 군필보다는 2년 세이브한다고 생각했었고 애초에 회사갈 생각이라 인더스트리에 가까운 공대 연구실 가서 3년차부터 산학받으면서 돈걱정 할 일 없었고 취직도 수월했다.
집에도 어느정도 여유는 있어서 빠르게 취업해야 한다는 압박도 없었다.
즉, 애초에 소소한 목표를 가지고 대학원 왔고 거의 다 내 생각대로 풀렸다.
근데 그래서 내가 만족하면서 보냈느냐? 별로.
교수님 만날 때 데이터 안좋으면 아침부터 속쓰리고,
실험 한번 시작하면 될때까지 뽑아야하니 밤새다가 간이침대에서 쪽잠 자고,
아무리 뭐라고 해도 말안듣는 놈 부사수로 받아서 뒤치다꺼리 해주고,
그래도 기왕이면 즐겁게 하고 싶은데 논문을 위한 논문 쓰다보면 도저히 가치를 못느끼겠고,
빨리 졸업준비 하고싶은데 과제 하나 맡아서 일년에 두세달은 그것만 붙잡고 앉아있고,
연애도 학부생 때는 재밌게 했었는데 매일 집-랩-집-랩 하다보니 여자친구랑도 헤어지고 누구 만날 정도로 마음의 여유도 안생기고 (거기에 남자 대학원생은 인기도 진짜 없다)
그나마 취미로 풋살이라도 꾸준히 해서 크게 건강 상하진 않았는데(경미한 우울증 증상은 있었다) 졸업할 때 쯤에 엄청 살찐 친구들도 많다.
대학원 나오고 나니, 나는 원래 밝고 재밌는 사람이었는데 사람이 좀 염세적이 되고 피폐해지더라.
물론 내가 애초에 대학원에 맞지 않는 인간이라서 괴로웠을 수도 있다. 그런데 대학원에 잘 맞는 인간이란게 원래 별로 없다. 몇달, 몇년 간 하나의 주제를 파고들어야 하는데, 사람은 즉각적인 보상이 없는 환경에서 꾸준히 열심히 하기가 정말 어렵다.
나는 다시 학부 졸업할 때로 돌아가면, 대학원 원서는 안 쓸 것 같긴 하다. 몸이 점점 늙는게 느껴지는데 20대 중반부터 30 넘어서까지 연구실에 있었던 기억밖에 없는게 너무 아쉽다.
여긴 되게 대학원 낭만화가 심하네 김GPT 32 15 16796-
54 33 16485
현실적으로 문과대학원 김GPT 0 7 5937-
43 11 33362 -
2 12 5662
대학원 진학고민 김GPT 0 6 1853
대학원 생활 (장문 +징징거림 주의) 김GPT 1 8 4756-
92 31 30350 -
15 7 4843 -
207 36 71870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80 13 16550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466 34 7625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1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6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9 -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3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7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5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7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8 - 서울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8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2 -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8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3 - 진학 관련 조언이 절실합니다
8 - 지도교수 원래 이런가요..
8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1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2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8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3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7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51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46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69 -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27 -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39 -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3 - nlp 최고 논문은 acl에 안 나옴 ㅋㅋ
17 - 야근하고 주말에 나오는게 내가 성실해서가 아니라
19 - 저희 연구실 답이 없네요 그냥...
25 - 서울대가 위험한 이유
17 - 진짜 여름 피크 캠퍼스 바퀴벌레, 곱등이 걱정됨
4 - 워싱턴대가 하버드보다 명문인 이유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석사 나 다박 가능할까요
18 - SNU vs 미국 TOP20-30 direct PhD
14 - 대학원생 염색 많이 안 좋게 보실까요...?
18 - 교수들은 금수저 출신이 많은가
22 - 대학원 석사생 자차
11 - 지금 학부생인데요,돈 많이 벌고 싶으면 대학원 오지말고 바로 취업하라고 하던데
23 - 진학 관련 조언이 절실합니다
8 - 지도교수 원래 이런가요..
8 - 카이스트 면탈?
11 - 저에게 계속 놀아달라고(?) 하는 PI 도망가야하나요
11 - 현 고3 양자 컴퓨팅 대학 정보 도음주세요..
12 - 안녕하세요 질문드립니다
8 - 석사 입학했는데 너무 잘못된 선택을 한것같아 도망치고싶습니다
13
2020.02.13
2020.02.13
대댓글 5개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