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PK대학원과 비 SPK대학원의 차이점

2021.10.17

32

14430

SSH에서 석사하고 SPK에서 박사 3년차인데 느낀점을 써봅니다.

물론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학교에 따라, 과에 따라 분명히 다를겁니다.


1. 교수가 대학원생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기본 능력 자체를 워낙 신뢰하지 않다 보니 프로젝트가 있어도 대학원생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않습니다. 논문을 써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쓰는게 아니라 교수가 하나하나 다 떠먹여주고요. 이게 당시엔 편한 것 같고 실적 쌓이는 게 기쁘겠지만 정작 실력은 늘지가 않습니다. 아무래도 박사까지 하는 인원보단 석사만 하고 졸업하는 인원이 훨씬 많으니 교수입장에선 '대충 해서 졸업시키자' 라는 마인드도 생기고요.


2. 석사 위주로 돌아가는 환경

1번의 연장이기도 한데, 아무래도 박사를 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보니까 과의 시스템 자체가 학계 진학보단 취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인 분위기가 학구적으로 뭘 탐구하고, 연구하고 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그냥 뭘 하면 석사 끝나고 취업할까..이런 분위기입니다. 커리큘럼도 박사들에게 필요한 이론위주 수업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당연히 학생들도 연구에 큰 관심이 없습니다.


3. 연구실에 보고 배울만한 박사가 없다.

일단 전일제 박사 자체가 많지가 않아요. 있다고 하더라도 솔직히 대부분의 박사생각있던 능력있는 학생들은 석사때 염증을 느끼고 유학가거나 spk로 진학합니다. 그러다 보니 남아있는 박사들 자체가 수준이 그렇게 높지가 않습니다.

4. 기본 수준에 미달된 학생들이 많다.

생각보다 큰 문제인게, 랩미팅을 하더라도 제대로 수행해오는 인원이 많지가 않습니다. 교수도 처음에야 화도 내보고피드백도 주고 하지만 반복될수록 그냥 체념하고 결국 주기적으로 하던 랩미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학생들 지도에 관심을 끄게됩니다. 좋은 학생들은 신경을 써준다고 해도 그것도 상대적으로 신경써준다는 거지 절대적으로 봤을 때 spk에 비하면 부족합니다.


5. 동기부여가 안된다.

이 환경들이 전부 합쳐져서 동기부여가 잘 되지 않습니다. 또, 실력이 좋은 것도 아닌데 주변이 다 나보다 못하니 자기가 실력이 좋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제가 그랬습니다). 그만큼 더 안일해집니다.


제가 느낀 바는 이정도네요..물론 처음에 말했듯이 과에 따라 다르고, 학교에 따라 다릅니다.

그래도 다들 자대보다 어떻게든 spk로 진학하려는 이유를 비로소 석사하면서 알게되었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2개

2021.10.17

Spk 비spk라고 싸잡아 묶지말고

잘돌아가는랩, 잘안돌아가는랩이라 하는게 더 나을듯.

Spk굇수 타대생90프로 비인기랩보단 yksshist 자대생100프로 석박많은 랩이 졸업생 배출 훨 잘하긴하더라 교수도 꽤 되고 해외명문 포닥도 많이가고

대댓글 2개

2021.10.17

그건 당연히 그렇죠. 그런 극단적인 사례 말고 평균적으로 비교했을 때 얘기입니다.

2021.10.17

그래도 연구하는 사람이고 곧 SPK 박사 받을 상위 학벌인데, 질적비교를 했으면 좋겠음

2021.10.17

spk인데 4번해당되는 지잡출신들 많음

대댓글 2개

2021.10.17

제가 있는 과는 빡센 입학시험이 있어서 많이 덜한거같아요.

2021.10.17

카이스트 기계? 빡세다고 말하기에는.. ㅋㅋ 그래도 저도 여러사람 만나봤지만 타대든 자대든 다들 수준은 거기서거기긴 함. 자대생이 들어가기어렵다는 인기랩에도 타대출신들 꽤있기도하고 잘하긴함.. 타대라해도 학부가 대체로 나쁘지않은 곳들이긴 하지만 여튼.

2021.10.17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바이랩
모든 대학원 어디가나 마찬가지 임

대댓글 1개

2021.10.17

당연하죠. 근데
어떤 대학원은 10개중 잘 돌아가는 랩이 2개고
어떤 대학원은 10개중 잘 돌아가는 랩이 8개라면
그걸 랩바랩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평균적인 경향성이라는게 있는데요.

2021.10.17

사바사 랩바랩 따지다가 mit 지방대도 퉁칠듯 보다 보면 브실골플다챌 느낌임

대댓글 1개

2021.10.17

학연생까지하고 spk온 입장에서 틀린말 없다 생각

2021.10.17

비spk랩 학부생으로 연구 오래하고 sci논문도 두편쓰고 spk 대학원 입학한 사람인데 제가 느끼기에도 하나하나 맞는말이네요.
체한 게오르크 헤겔*

2021.10.17

-ist 다니고 있는데 저희 랩 기준으로 하나도 공감이 안되네요

대댓글 4개

2021.10.17

Ist 어디분야 인가요? Ist랑 spk는 들어오는 학생들 수준이 차이가 많긴하던데..
체한 게오르크 헤겔*

2021.10.17

unist 에너지화공이에요

2021.10.17

Unist 몇몇 교수님 연구실은 spk 하위 랩보다 실적면에서 더 뛰어나긴 하던데.. 그런 랩은 대부분 다 자대생이더군요.

2021.10.19

근데 유니스트는 실적이 좀 지리긴함. 석사하기엔 그닥인데(어차피 연구로 빠질 생각없으니) 유니스트는 솔직히 대부분이 석박통합이고 또 연구 분위기이다보니 갈만하지. 단 spk인기랩보단 덜하지만 비인기랩 그냥저냥 졸업할바엔 유니스트실적좋은랩
낙천적인 피에르 페르마*

2021.10.17

공감이 하나도 안됨
본인이 있던 랩이 SSH중에서 폐급 이었던 것임.
본문은 지방대의 특징이라 해야 맞는 얘기지
비SPK의 특징이라 하기엔 심각한 일반화의 오류지ㅋㅋ
SSH개폐급랩에서 석사받고 SPK가니까 SPK는 다 쩔고 비SPK는 다 ㅂㅅ인줄 아나본데, SPK나 YKist나 잘 돌아가는랩은 다들 비슷하게 잘 돌아가고 안 돌아가는 랩은 다 ㅂㅅ임.
SPK외엔 일단 내려치기 하는게 어이가 없네ㅋㅋ
이런 사람들 특: 학부는 지잡대출신인데, 본인이 SPK 어떻게든 발 담그고 나서부턴 비SPK 까고 다님

대댓글 5개

2021.10.17

ㅋㅋ 왤케 흥분하세요. 저도 연고대 학부출신에 학부연구생 오래하다가 spk에서 석박했지만, 평균의 차이는 크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비spk에도 좋은교수님계셨고 잘하는 연구실도 있지만, 솔직히 졸업생들이 출연연이나 교수직을 잘보내는 랩들이 학과마다 과연 몇개씩이나 있을까요. 저는 학부생 레벨의 차이는 모르겠지만 객관적으로 평균적인 대학원차이는 존재한다고 봅니다.

2021.10.17

물론 평균적인 학부생의 수준 차이도 있겠지만, 연고서성한정도의 학교에서 잘하는애들은 어딜가서든지 밀리지않고 잘할수있다고 봅니다.

2021.10.17

학부 SSH이고 자대에서 석사했는데요..
잘돌아가는 랩의 비율이 spk가 훨씬 높죠. ist는 안다녀봐서 모르겠는데 ssh는 연구중심 대학같은것도 아니라서 특정 랩이 잘돌아가고 아니고를 떠나서 전반적인 분위기가 연구에 관심 없는 것도 맞고요
낙천적인 피에르 페르마*

2021.10.17

댓 작성자입니다.
흥분하여 달은것 같아 다시 마음 가다듬고 써봅니다.
작성자가 SPK vs 비SPK라고 했는데
비SPK 특히 YK에서 잘나가는 랩에 있는 사람은 반발할 수 밖에 없는 제목이네요. 저희랩은 본문 내용 4번(일부 있음) 외에는 공감이 전혀 안가서요.
SPK가 당연히 더 잘 나가는 랩이 많겠지만
YKist까지는 충분히 잘 나가는 랩 비율이 많이 있음.
SSH도 어느정도는 있겠고, 그 아래는 굳이 언급하지 않겠음.
참고로 본인도 수능 상위1% 였던지라 잡학부 출신은 아님.

본문은 인서울하위권이나 그 이하의 전반적인 특징이지
비SPK의 특징이라 하면 곤란함.
명석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1.10.17

노벨상 하나 없는 대학끼리 선좀 그만 긋자

IF : 2

2021.10.17

맞는 말 같은데.. skp가 엄청나게 대단하고 거기 말고는 연구하는 대학 없다, 이렇게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대체로 비 skp랑 skp 연구분위기 형성되는 것도 차이를 느낍니다. 저는 비 skp이고 이 글 3, 4, 5에 공감했습니다. 교수님만 보고 박사 진학했는데 동기부여할 만한 선배, 후배, 동기 아무도 없고, 물어볼 사람도 없고 저 혼자 고군분투하고.. 그 와중에 실적 못 내는 연구실 동료들은 같이 뭘 하는게 아니라 교수님이 너만 좋아해, 이러면서 자기들끼리 티타임 갖고 ㅋㅋㅋㅋ 이미 졸업하고 연구교수로 계신 선배박사님 말고는 너무 별로인 분위기였어요. 맹모삼천지교가 괜히 있는 말이 아니에요. 환경이 그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 때문에 아마 저는 시간을 돌려도 여기를 택하겠지만 s 쪽 사람들이랑 같이 과제하면서 그 방 전반적 분위기를 많이 부러워했습니다. 지금도 부러워서 졸업 전에 저도 저희 랩을 그런 분위기로 만들고 나가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무튼.. 연구실 면학 분위기 보면 skp가 전반적으로 좋은 걸로 보입니다.

2021.10.17

대체적으로맞는말입니다

2021.10.17

지거국 석사 대학원생입니다. 지도교수님께서 SCI를 목놓아 울부짖으시는데 대부분 관심이 없습니다. ㅠㅠ 그래서 제 논문은 교수님이랑 같이 꾸역꾸역 투고하려고 서로 으쌰으쌰 하고 있습니다 ㅠㅠ 진짜 연구실 분위기가 SCI를 노리고 열심히 연구했으면 하는데.... 다들 학위논문만 대충 쓰고 취업하려고 하는 이 분위기 속에서 논문 쓰는게 참 힘드네요 ㅠㅠ 저도 사람인지라 쉬고 싶고 걍 후다닥 학위 따서 취업하고 돈 벌고 싶다는 유혹이 막 ㅠㅠㅠ

2021.10.18

평균적으로 그렇다는거지...
아뉜데? 울랩은 잘 나가는뒈? 이러면서 ㅂㄷ대는건 뭐임
비spk랩이 모두 저렇다는건 아닌데....
비추 박는것도 그렇고 보기 추함ㅋㅋㅋ
그럴시간에 연구나 더 하시길 ㅋ

대댓글 2개

2021.10.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pk 모든랩 가본것도 아니고 나머지학교 모든랩 가본것도 아닌데 평균을 어떻게냄? 그냥 편협한 본인생각일뿐이지

2021.10.18

이 커뮤니티에서 이야기하는 그 ‘평균’이 무슨 근거로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 진짜 모르겠음. 그냥 본인들 생각이 대부분이고 여론몰이 같구만.

2021.10.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확하게 맞는 말

2021.10.19

서울대라고 다르지 않은,ㅋㅋ

2021.10.19

중고딩도 아니고.. 진짜 한심하네

2021.10.20

yk고 자대생 많은 인기랩인데도 3번 개공감임. 좋은 박사급으로 클 애들 다 질려서 sk 박사로 떠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