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기사화 됐을 정도면 그 쪽에서 아무리 적게 잡아도 1년 이상 먼저 연구하고 학회 발표도 마친 주제일 겁니다.. ㅎㅎ 선수 뺏겼다고 아쉬워하실 일은 아닙니다. 그리고 비슷한 테마로 연구를 하는 팀이 전 세계에 수십 곳은 있을 거예요. 그래도 아직 학부생이신데 연구 아이디어를 먼저 생각해보고 본인 아이디어와 관련된 동향을 꾸준히 확인하는 태도는 대단하네요!
음.. 그리고 작성자분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연구비나 기존 진행하는 과제 때문에 학생이 정한 주제보단 연구실에서 주는 주제를 따라갈 가능성이 큽니다. 연구 주제를 잘 정하고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는 건 긴 트레이닝을 거쳐야 갖출 수 있는 능력이라서요. 물론 작성자분이 컨택한 연구실 분위기가 어떨지는 모르지만, 경우에 따라 조금 실망하실 수 있을 것 같아 노파심에 말씀 드립니다. ㅎㅎ
60
- 아 이럴수가 내가 며칠일찍 태어났으면 저 성과가 나의것이었을텐데.. 후... (X)
아 나는 이제야 생각한게 누군가는 수년전 연구 방향을 잡고 행동을 실천해서 성과를 냈구나. 나도 다음 아이디어를 성실히 연구로 증명해서 좋은 과학자가 되어야겠다 (O)
큰페이퍼 준비하다가도 스쿱당하기도 하고, 특허준비 다해놨는데 변리사 상담을 통해서 진짜 사소한 기존 특허의 표현때문에 특허 출원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몇번 겪다보면 내성이 생깁니다! 글쓴분께 연구를 하는 이유가 과학이 재미있고 연구가 즐거워서가 된다면 기나긴 연구중 만나는 다양한 상황들을 이겨내는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힘내시기 바랍니다!
37
- 어른이 먼저 권하지 않을 때 굳이 먼저 말하지 마세요
25
- 사 달라고 하지 말고 그냥 간단하게 저녁 먹으면서 맥주 한잔 하려고 하는데 혹시 교수님 시간 되시면 같이 가시는 게 어떠시냐 물어보세요. 같이 가면 어차피 사주시긴 하겠지만 처음 물어볼때부터 사달라고 하는 건 좀 안 좋게 볼 수도 있을듯?
38
- 바쁘다가 덜 바쁜 것.
논문이 될 것 같고 자기가 성과가 필요한 것.
논문 주제를 잘 모르다가 이제 잘 이해될 때.
18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SPK대학원과 비 SPK대학원의 차이점
2021.10.17
32
11923
SSH에서 석사하고 SPK에서 박사 3년차인데 느낀점을 써봅니다.
물론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학교에 따라, 과에 따라 분명히 다를겁니다.
1. 교수가 대학원생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기본 능력 자체를 워낙 신뢰하지 않다 보니 프로젝트가 있어도 대학원생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않습니다. 논문을 써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쓰는게 아니라 교수가 하나하나 다 떠먹여주고요. 이게 당시엔 편한 것 같고 실적 쌓이는 게 기쁘겠지만 정작 실력은 늘지가 않습니다. 아무래도 박사까지 하는 인원보단 석사만 하고 졸업하는 인원이 훨씬 많으니 교수입장에선 '대충 해서 졸업시키자' 라는 마인드도 생기고요.
2. 석사 위주로 돌아가는 환경
1번의 연장이기도 한데, 아무래도 박사를 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보니까 과의 시스템 자체가 학계 진학보단 취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인 분위기가 학구적으로 뭘 탐구하고, 연구하고 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그냥 뭘 하면 석사 끝나고 취업할까..이런 분위기입니다. 커리큘럼도 박사들에게 필요한 이론위주 수업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당연히 학생들도 연구에 큰 관심이 없습니다.
3. 연구실에 보고 배울만한 박사가 없다.
일단 전일제 박사 자체가 많지가 않아요. 있다고 하더라도 솔직히 대부분의 박사생각있던 능력있는 학생들은 석사때 염증을 느끼고 유학가거나 spk로 진학합니다. 그러다 보니 남아있는 박사들 자체가 수준이 그렇게 높지가 않습니다.
4. 기본 수준에 미달된 학생들이 많다.
생각보다 큰 문제인게, 랩미팅을 하더라도 제대로 수행해오는 인원이 많지가 않습니다. 교수도 처음에야 화도 내보고피드백도 주고 하지만 반복될수록 그냥 체념하고 결국 주기적으로 하던 랩미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학생들 지도에 관심을 끄게됩니다. 좋은 학생들은 신경을 써준다고 해도 그것도 상대적으로 신경써준다는 거지 절대적으로 봤을 때 spk에 비하면 부족합니다.
5. 동기부여가 안된다.
이 환경들이 전부 합쳐져서 동기부여가 잘 되지 않습니다. 또, 실력이 좋은 것도 아닌데 주변이 다 나보다 못하니 자기가 실력이 좋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제가 그랬습니다). 그만큼 더 안일해집니다.
제가 느낀 바는 이정도네요..물론 처음에 말했듯이 과에 따라 다르고, 학교에 따라 다릅니다.
그래도 다들 자대보다 어떻게든 spk로 진학하려는 이유를 비로소 석사하면서 알게되었네요.
물론 이는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고 학교에 따라, 과에 따라 분명히 다를겁니다.
1. 교수가 대학원생들을 신뢰하지 않는다.
학생들의 기본 능력 자체를 워낙 신뢰하지 않다 보니 프로젝트가 있어도 대학원생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맡기지 않습니다. 논문을 써도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쓰는게 아니라 교수가 하나하나 다 떠먹여주고요. 이게 당시엔 편한 것 같고 실적 쌓이는 게 기쁘겠지만 정작 실력은 늘지가 않습니다. 아무래도 박사까지 하는 인원보단 석사만 하고 졸업하는 인원이 훨씬 많으니 교수입장에선 '대충 해서 졸업시키자' 라는 마인드도 생기고요.
2. 석사 위주로 돌아가는 환경
1번의 연장이기도 한데, 아무래도 박사를 하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보니까 과의 시스템 자체가 학계 진학보단 취업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인 분위기가 학구적으로 뭘 탐구하고, 연구하고 하는 분위기가 아니라 그냥 뭘 하면 석사 끝나고 취업할까..이런 분위기입니다. 커리큘럼도 박사들에게 필요한 이론위주 수업이 턱없이 부족합니다. 당연히 학생들도 연구에 큰 관심이 없습니다.
3. 연구실에 보고 배울만한 박사가 없다.
일단 전일제 박사 자체가 많지가 않아요. 있다고 하더라도 솔직히 대부분의 박사생각있던 능력있는 학생들은 석사때 염증을 느끼고 유학가거나 spk로 진학합니다. 그러다 보니 남아있는 박사들 자체가 수준이 그렇게 높지가 않습니다.
4. 기본 수준에 미달된 학생들이 많다.
생각보다 큰 문제인게, 랩미팅을 하더라도 제대로 수행해오는 인원이 많지가 않습니다. 교수도 처음에야 화도 내보고피드백도 주고 하지만 반복될수록 그냥 체념하고 결국 주기적으로 하던 랩미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학생들 지도에 관심을 끄게됩니다. 좋은 학생들은 신경을 써준다고 해도 그것도 상대적으로 신경써준다는 거지 절대적으로 봤을 때 spk에 비하면 부족합니다.
5. 동기부여가 안된다.
이 환경들이 전부 합쳐져서 동기부여가 잘 되지 않습니다. 또, 실력이 좋은 것도 아닌데 주변이 다 나보다 못하니 자기가 실력이 좋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제가 그랬습니다). 그만큼 더 안일해집니다.
제가 느낀 바는 이정도네요..물론 처음에 말했듯이 과에 따라 다르고, 학교에 따라 다릅니다.
그래도 다들 자대보다 어떻게든 spk로 진학하려는 이유를 비로소 석사하면서 알게되었네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81
30
80325
김GPT
SPK 대학원 입학 난이도39
29
28376
-
17
6
4625
김GPT
spk 비교를 해보자면18
20
5627
김GPT
spk입시후 느낀것 정리18
21
6787
김GPT
자대 vs spk2
19
3319
김GPT
Spk대학원은 많이 다른가요?6
6
5361
김GPT
솔직히 SPK 아니면 대학원 왜가냐?21
12
7948
-
0
13
3042
명예의전당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147
33
20449
명예의전당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151
10
25161
명예의전당
드디어 인용수 1000이 넘었습니다...170
36
2950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10.17
대댓글 2개
2021.10.17
대댓글 2개
2021.10.17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