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후 직업군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의?? 비슷한 연락이 오긴 했는데 애국심 없으면 절대 못하겠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9.11
과학장교는 직업군인 아닙니다. 직업군인은 주로 학사 레벨에서 결정됩니다. 사관학교를 가거나 OCS 등 학사 장교를 하거나 아니면 ROTC를 하거나.
대댓글 1개
2021.09.11
과학장교 아닙니다
2021.09.11
잘은 모르겠지만, 장교면 연구직 대비로 박봉입니다. 암호학 쪽에서.. 간혹 군에서 군무원을 뽑는 경우를 봤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박봉이라 잘 안가려고 합니다.
2021.09.11
그리고 장교면 진급을 해야합니다.. 이것도 변수입니다.
대댓글 1개
2021.09.11
답변 감사합니다
2021.09.11
정확히 어떤 것으로 가시는지 잘 모르겠으니 일반적인 군장교 기준, 그리고 제가 군생활 했을 때를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계급별로 최대 복무기간이 정해져있습니다. 예를들어 육군 대위라면 기본적으로 35살까지만 복무가 가능하고 이후에는 강제로 전역하게 됩니다. 그래서 진급을 계속 해야한다는 부담이 있습니다.
군에서 20년을 복무하면 연금 수령 대상자가 됩니다. 소령이 43살까지 복무가 가능한데 23살, 즉 대학 졸업하고 바로 임관하면 딱 20년을 채워서 소령까지만 진급하면 전역하더라도 연금을 받을 수 있어서 미래에 대한 불안은 적습니다.
하지만 박사를 하고 임관을 하신다고 하니 정확히는 모르나 거의 50넘어서까지 복무를 해야 연금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러면 적어도 대령 이상까지 진급을 하셔야 합니다. 병종마다 다르지만 비육사출신이 대령을 다는 것은 힘든 일입니다.
또 군인이면 시도때도 없이 불려가고, 지켜야 하는 자체적인 규율, 규칙들이 있기 때문에 본인이 군인 성향이 있는 게 아니면 굳이 가지 않는 게 좋으실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9.11
나 알틴데 대위가 43살까진걸로 알아요!
2021.09.1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정확하게 밝히시지 않으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습니다.
2021.09.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군인연금은 다른지 몰라도 공무원연금은 10년 근무하면 혜택 받는걸로 바꼈고, 군인계급별 정년도 늘어나서 예전보단 길게 가는걸로 압니다
2021.09.11
대댓글 1개
2021.09.11
2021.09.11
2021.09.11
대댓글 1개
2021.09.11
2021.09.11
대댓글 1개
2021.09.11
2021.09.11
2021.09.11
2021.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