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저는 미국 국적이 있지만 시민권 포기를 못 해서 군 문제를 아직 해결 못 했습니다.
한국에서 국방의 의무를 다한 분들을 기만하는건 아니고 미국에서 정착하고 한국에는 안돌아올려고 했습니다. 스티븐 누구마냥..
하지만 코로나로 마지막 4학년을 한국에서 1년 보내면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생각보다 살기 좋은 나라네요. 교통, 음식, 편의, 사람, 문화 등등. 저는 한국 사람이 맞았나 봅니다.
한국에 다시 돌아오고 싶어졌어요.
하지만 한국으로 돌아올려면 박사후 전문연이나 산업체를 해야하는데 티오가 많이 없어지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현역으로 가기에는 커리어가 끊기고...
석사만 따고 박사를 한국에서 전문연을 하고 싶은데 이게 충동적인 판단일까요...
아니면 박사 획득할때까지 버티고 포닥을 한국으로 돌아오는게 옳을까요?
야밤에 두서없이 선생님들 의견 궁금해서 처음으로 게시물 써봤습니다. 의견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달리는 공자*
2021.08.05
둘 다 가능하지만 입학을 defer하고 그냥 현역 입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1.08.06
defer를 하기엔 이미 4월까지 학교에 통보를 해야해서 제가 성급한 결정을 하고 이제 돌아올수 없는 강을 건너버린거 같습니다...
답답한 우장춘*
2021.08.05
저는 미국 시민권자인데 한국에서 살거라서 현역으로 다녀왔어요. 웬만하면 defer 하고 현역입대 추천드립니다. 공군 가시면 종종 20대 후반 검머외들 있습니다. 아니면 40살까지 한국 안들어오면 병역의무가 자동소멸되긴 하는데 그 전에 한국에 있다가 체포당하거나 그럴지는 모르겠네요.. 이 부분은 좀 알아보시고 현명하게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대댓글 1개
2021.08.06
만 39세까지 한국에서 183일 이상 체류가 불가하며 영리활동 또한 불가능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멍때리는 정약용*
2021.08.05
시민권 포기를 왜안했지... 포닥 전문연 티오가 있기는 한데 진짜 에이스들을 위한 겁니다. 거기 해당되실 자신 있으면 포닥으로 오세요.
대댓글 1개
2021.08.06
어렸을적부터 해외에 있어서 법이 바뀐지 모르고 살아왔습니다ㅠㅠ. 포닥 전문연 티오가 정말 없나 보네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08.05
의외로 여기에도 있군요 다른이야기긴 하지만 학부때 저는 카투사 뽑기 실패하고 공군갔다와서 합법적 이중국적으로 살고 있어요. 옛날일이라 가물가물한데 아마 18세가 넘어서 한국 국적포기가 안될수도 있을거에요. 박사과정이면 입대 연기가 가능하지만 한국여권을 계속 업데이트를 해야해서 귀찮고 한국입국시 미국여권을 사용하면 외국국적 불이행 서약서를 썼기때문에 하면 안될거에요. 전 한국가면 병원도 가는데 미국여권으로 들어오면 출국처리중이여서 의료보험도 안되고 일꼬인다고 들어서... 잘 알아보고 어떤게 더 나은지 선택해봐요.
대댓글 2개
2021.08.06
네 법이 바뀐지도 모르고 만 18세 3월31일까지 국적 포기를 못 했으니 국방의 의무를 다해야만 국적포기 선택권이 생긴다네요... 궁금한게 있는데 한국입국시 한국여권을 쓰면 의료보험에 문제가 없는거 아니나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21.08.06
아 조금 이해가 안가게 글을썼나보네요. 물론 한국입국시 한국여권을 쓰면 아무문제 없습니다!
간혹 이런경우에 미국인 신분으로 들어오려는 사람이 있어서 노파심에 이야기한거였습니다.
혹시나 미국여권을 쓰더라도 (물론 쓰면안되지만) 같은이름의 외국인이 입국한거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한국에서 할수있는게 없다라는 거였습니다.
예전에 일정이 안맞아서 약을 못받고 출국을 했는데 제가 출국을 하고 부모님이 약을 받은게 문제가 되어서 비보험가격으로 추가로 약값을 수십만원을 내야했던 아픈기억이 있어서 이야기 했어요. 전산이 잘되어있으니 바로 잡더라구요.
2021.08.05
저도 그런 케이스 보긴 했습니다만... 윗분들 이야기처럼 현역 입대를 하시길 100배 강추합니다. 전문연 자리도 적거니와... 경력에도 좋지 않고 또 졸업할때쯤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까요. 학계에 남을거면 박사 디펜스 전에 최고 랩에 포닥 인터뷰 다녀야할 시기인데 그런거 못하고 귀국이면...
대댓글 1개
2021.08.06
확실히 졸업할때 어떻게 바뀔지는 아무도 모르니 너무 변수가 많네요. 혹시 전문연도 아무리 같은 분야여도 경력에 안좋나요? 아니면 산업체로 연구직으로 가는게 더 나은 길일까요?
2021.08.05
제가본 정말 미국 top학교들은 학부 - 석사 - (석사전문연 - KIST등 정출연) - 박사리턴 이런식이였습니다.
당시에도 석사정출연 TO가 엄청 줄때라서그런지, 해당기관에서 전문연하는사람들 스펙들이 다 좋았죠.
그외에 의외로 보이는게 학부-석/박사(혹은 다이랙트박사) - 국내연구실 포닥 이런식인데 이것도 나빠보이진 않습니다.
본인한테 잘 맞는거로 선택하세요. 해외박사 경험이있으면 굳이 해외포닥경험이 있을필요는 없는것같아요.
대댓글 1개
2021.08.06
의견 감사합니다!
2021.08.09
분야가 어딘지 모르겠는데, cs/stat쪽은 phd과정 중간에 master's degree를 주는 프로그램을 들어간 다음에 학교 2년 다니고 휴학 후 석전연으로 국내 기업에서 3년 하시는 분들 좀 봤습니다.
2021.08.05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5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5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5
대댓글 2개
2021.08.06
2021.08.06
2021.08.05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5
대댓글 1개
2021.08.06
2021.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