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도발적인 발언이 될 수 있으나 저는 이러한 견해가 일종의 널리퍼진 착각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 근거로는 우선 자기 편향을 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을 지도하는 위치까지 도달하신 선생님은 학생시절 부터 꽤 우수한 학생이셨을 겁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아마도 선생님만큼 재능넘치지도 열정도 없을 겁니다. 이는 선생님께서 학생이셨을때도 아마 마찬가지였을 겁니다. 따라서, 그 시절에도 대부분의 학생은 논리적 흐름이나 글쓰기에 미숙했으나, 선생님께서 당시에 그러한 경향을 관찰할 만한 위치에 없으셨고, 지금은 그때보다 더 전체적인 샘플을 관찰할 수 있게 되어 해당 트렌드가 더 눈에 잘 들어오실 겁니다.두번째는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볼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지금 대학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대입 통계와, 선생님께서 대입하시던 시절의 통계에서 두 집단의 능력차이를 추론할 만한 근거가 발견되지 않습니다. 셋째로는, 말씀하신 주장이 사실은 세대를 거치며 항상 나오던 지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입니다. 폼페이 유적지에서도 발견 되는 '요즘 아이들'에 대한 지적이 언제나 사실이었다면, 인류는 퇴보를 거듭하고 있는 셈이 될 텐데, 이는 사실로 받아들이기 힘든 면이 있지요. 학생들이 맘에 차지 않으시는건 이해합니다만 좀 더 애정을 가지고 따듯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시는건 어떨지요? 혹시 그 중에서도 예쁘게 피는 꽃이 있을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93
- 캬 똥글에 명댓글이네 ㅋ
17
- 좋은 랩실인데 뭔 불평이 많눙..
49
- 첫학기면 기초공부만 하는게 맞다. 어정쩡하게 알아서 시간 지날수록 밑천보이는 사람이 한둘이 아님. 감사합니다 생각하고 충실히 하셈
17
- 학부생에게 너무 많은 걸 바라는건 아닌지?
배움에 대한 크나큰 열정을 갖고 대학원에 진학했다는 것이 학부교육을 잘 받아왔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죠.
논문 쓰는 법은 본인이 주도적으로 연구설계하고, 본인의 데이터를 이리저리 분석해보며 통찰력을 키워보며, 지도교수 밑에서 첫 한두논문은 빨간줄 엄청나게 끄여보며 터득해나가는거죠. 너무 많은 걸 바라시는 것 같은데요?
미국 탑스쿨에도 박사학위 1-2년차는 논문쓰는 방법 제대로 아는 사람 드뭅니다.
저도 미박 시절 첫 논문을 쓸 때, 고찰 파트에 결과만 많이 적었다가 지도 교수님께서 친절하게 한 줄 한 줄 교정해 주시며 코멘트를 달아주셨습니다. 박사 말에는 제가 주도적으로 논문을 쓰며 탑 저널에도 논문을 실어보고 졸업했어요.
16
박사는 누가 하나.
2021.07.29
16
8067
저는 박사를 했지만 박사를 꼭 하자 주의는 아닙니다.
제가 미국 유학할때 리만브라더스 사태가 터져서 그때 미국 집값이 폭락했는데 그때 박사 관두거나 잘린 친구들이 테크기업들 가서 캘리포니아에 집사고 했던 지인들 (한국, 중국, 대만 등등) 중에 큰 돈 벌고 박사 멀쩡히 잘하고 나서는 집값이 다 도로 올라서 고생 중이기도 하고요.. 사실 저런 아마존/애플/구글 같은 테크기업은 사실 학사로 가도 돈만 잘벌고 커리어 계속 잘 이어나가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는것 같아요. 한국도 다르지 않죠. 네이버, 카카오, 게임회사 등등.. 학위가 중요하지 않고 급여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근데 분야가 저렇게 계속 성장하는 것이 아니죠. 지금 배터리가 이렇게 핫한데.. 배터리를 했던 사람 관점에서 이야기해보면 배터리라는게.. 성능 한계는 열역학이 결정하는겁니다. 반도체 메모리처럼.. 막 2년에 집적도가 2배씩 올라가는.. 그런 팽창이 가능한 분야가 아닙니다. 좀 핫한 이슈가 없는건 아니지만.. 에너지 전환이라는건 열역학이 지배하는 과정이고.. 결국 거기서 나오는 유용한 에너지량이라는게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배터리 배터리하는게 얼마나 갈지.. 솔직히 약간 회의적입니다. 물론 전기차같은 모빌리티와 결합이 되면서 수요가 늘어난다는건 인정하지만 이게 생산수요가 는다는거랑 아카데미아 인력이 더 필요한건 약간 다른 문제거든요.
그런데 전기화학을 했던 사람이 어떤 경우에는 파이로 공정도 하고 어디서는 부식도 하고 어디서는 도금도 하고.. 어디서는 밧데리도 하고 어디가면 수전해도 하고 전기분해도 하고 핵융합로에서 삼중수소 증배재 연구를 하기도 하고... 전기화학이라는 밑천을 가지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는데 이렇게 분야를 넘나들때 있으면 좋은게 박사학위란 생각입니다. 만약 지금 전고체 밧데리를 해서 관련회사에서 계속 생산기술 연구하며 생산한다고 하면 사실 박사학위는 크게 단가가 나오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런데 분야를 넘나들때에는 달라지고.. 제 주위에서도 보면 커리어에서 2-3번씩 이직을 합니다. 기업간에 옮기기도 하고 정부출연기관이나 학교 혹은 공공기관 등으로 가는데.. 완전 경쟁업체 이직은 사실 쉽지가 않고.. 좀 분야를 넓혀서 다른 분야로 옮기거나 하는 것이 선택지가 넓은건데 이때에 박사가 작용을 합니다. 일단 박사를 전기화학했다고 하면.. 어느정도 기본 밑밥은 된다고 보거든요. 물론 물박사들이 많은건 인정하는데 학석사는 물여부도 잘 안따집니다. 학석사는 해온 분야가 딱 맞지 않으면.. 대기업이나 정부출연기관등에서는 교육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릴거라고 보거든요.
그리고 이거 은근 많이 잘 모르던데.. 이민 갈때 박사학위 있으면 많이 유리합니다. 특히 미국 NIW로 영주권 받을때..
창업을 해도 창업자가 박사학위가 있으면 심사할때 아무래도 유리합니다. 중소기업 기술 심사할때.. 솔직히 좀 깔보는 경향이 없지 않거든요. 가산점을 주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저는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봐요.
저는 지금 학교에서 학생가르치는데.. 4학년때 미리 취업되었다고 취업증명서 들고와서 성적 인정만 해달라는 학생들에게 제가 늘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지금 그곳이 너가 은퇴할 직장일지 아직 모르는데 대학 성적표는 대학을 다시 다니기 전까지는 못고친다고. 밧데리 하고 싶다고 찾아오는 학생들에게 하는 얘기는 이것입니다.. 밧데리가 언제까지 핫할지 모르겠으니.. 좀 폭넓게 공부해두고 학문적 관점에서 너의 스페셜리티를 찾는게 더 중요하다고.
너무 분야를 정할때 단기 취업전망만 보는듯해서 아쉬워서 한소리 씁니다.
제가 미국 유학할때 리만브라더스 사태가 터져서 그때 미국 집값이 폭락했는데 그때 박사 관두거나 잘린 친구들이 테크기업들 가서 캘리포니아에 집사고 했던 지인들 (한국, 중국, 대만 등등) 중에 큰 돈 벌고 박사 멀쩡히 잘하고 나서는 집값이 다 도로 올라서 고생 중이기도 하고요.. 사실 저런 아마존/애플/구글 같은 테크기업은 사실 학사로 가도 돈만 잘벌고 커리어 계속 잘 이어나가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는것 같아요. 한국도 다르지 않죠. 네이버, 카카오, 게임회사 등등.. 학위가 중요하지 않고 급여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근데 분야가 저렇게 계속 성장하는 것이 아니죠. 지금 배터리가 이렇게 핫한데.. 배터리를 했던 사람 관점에서 이야기해보면 배터리라는게.. 성능 한계는 열역학이 결정하는겁니다. 반도체 메모리처럼.. 막 2년에 집적도가 2배씩 올라가는.. 그런 팽창이 가능한 분야가 아닙니다. 좀 핫한 이슈가 없는건 아니지만.. 에너지 전환이라는건 열역학이 지배하는 과정이고.. 결국 거기서 나오는 유용한 에너지량이라는게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배터리 배터리하는게 얼마나 갈지.. 솔직히 약간 회의적입니다. 물론 전기차같은 모빌리티와 결합이 되면서 수요가 늘어난다는건 인정하지만 이게 생산수요가 는다는거랑 아카데미아 인력이 더 필요한건 약간 다른 문제거든요.
그런데 전기화학을 했던 사람이 어떤 경우에는 파이로 공정도 하고 어디서는 부식도 하고 어디서는 도금도 하고.. 어디서는 밧데리도 하고 어디가면 수전해도 하고 전기분해도 하고 핵융합로에서 삼중수소 증배재 연구를 하기도 하고... 전기화학이라는 밑천을 가지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는데 이렇게 분야를 넘나들때 있으면 좋은게 박사학위란 생각입니다. 만약 지금 전고체 밧데리를 해서 관련회사에서 계속 생산기술 연구하며 생산한다고 하면 사실 박사학위는 크게 단가가 나오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런데 분야를 넘나들때에는 달라지고.. 제 주위에서도 보면 커리어에서 2-3번씩 이직을 합니다. 기업간에 옮기기도 하고 정부출연기관이나 학교 혹은 공공기관 등으로 가는데.. 완전 경쟁업체 이직은 사실 쉽지가 않고.. 좀 분야를 넓혀서 다른 분야로 옮기거나 하는 것이 선택지가 넓은건데 이때에 박사가 작용을 합니다. 일단 박사를 전기화학했다고 하면.. 어느정도 기본 밑밥은 된다고 보거든요. 물론 물박사들이 많은건 인정하는데 학석사는 물여부도 잘 안따집니다. 학석사는 해온 분야가 딱 맞지 않으면.. 대기업이나 정부출연기관등에서는 교육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릴거라고 보거든요.
그리고 이거 은근 많이 잘 모르던데.. 이민 갈때 박사학위 있으면 많이 유리합니다. 특히 미국 NIW로 영주권 받을때..
창업을 해도 창업자가 박사학위가 있으면 심사할때 아무래도 유리합니다. 중소기업 기술 심사할때.. 솔직히 좀 깔보는 경향이 없지 않거든요. 가산점을 주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저는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봐요.
저는 지금 학교에서 학생가르치는데.. 4학년때 미리 취업되었다고 취업증명서 들고와서 성적 인정만 해달라는 학생들에게 제가 늘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지금 그곳이 너가 은퇴할 직장일지 아직 모르는데 대학 성적표는 대학을 다시 다니기 전까지는 못고친다고. 밧데리 하고 싶다고 찾아오는 학생들에게 하는 얘기는 이것입니다.. 밧데리가 언제까지 핫할지 모르겠으니.. 좀 폭넓게 공부해두고 학문적 관점에서 너의 스페셜리티를 찾는게 더 중요하다고.
너무 분야를 정할때 단기 취업전망만 보는듯해서 아쉬워서 한소리 씁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박사는 어떤 사람이 해야하는건가요?4
26
9120
김GPT
박사를 하고 싶은 사람은25
7
7392
김GPT
박사 졸업을 앞두고..16
12
5267
-
0
21
3118
김GPT
박사 과정이란 게11
15
4073
김GPT
박사학위의 필요성5
19
5604
김GPT
박사학위 반드시 필요한가?4
6
1972
김GPT
박사과정 학벌을 놓지 못하는 나0
20
3147
김GPT
박사를 선택하는 이유0
23
3950
명예의전당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128
104
68651
-
142
47
51567
명예의전당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21
80
3010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7.29
2021.07.29
대댓글 1개
202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