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는 누가 하나.

2021.07.29

16

8511

저는 박사를 했지만 박사를 꼭 하자 주의는 아닙니다.

제가 미국 유학할때 리만브라더스 사태가 터져서 그때 미국 집값이 폭락했는데 그때 박사 관두거나 잘린 친구들이 테크기업들 가서 캘리포니아에 집사고 했던 지인들 (한국, 중국, 대만 등등) 중에 큰 돈 벌고 박사 멀쩡히 잘하고 나서는 집값이 다 도로 올라서 고생 중이기도 하고요.. 사실 저런 아마존/애플/구글 같은 테크기업은 사실 학사로 가도 돈만 잘벌고 커리어 계속 잘 이어나가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는것 같아요. 한국도 다르지 않죠. 네이버, 카카오, 게임회사 등등.. 학위가 중요하지 않고 급여도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근데 분야가 저렇게 계속 성장하는 것이 아니죠. 지금 배터리가 이렇게 핫한데.. 배터리를 했던 사람 관점에서 이야기해보면 배터리라는게.. 성능 한계는 열역학이 결정하는겁니다. 반도체 메모리처럼.. 막 2년에 집적도가 2배씩 올라가는.. 그런 팽창이 가능한 분야가 아닙니다. 좀 핫한 이슈가 없는건 아니지만.. 에너지 전환이라는건 열역학이 지배하는 과정이고.. 결국 거기서 나오는 유용한 에너지량이라는게 한정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배터리 배터리하는게 얼마나 갈지.. 솔직히 약간 회의적입니다. 물론 전기차같은 모빌리티와 결합이 되면서 수요가 늘어난다는건 인정하지만 이게 생산수요가 는다는거랑 아카데미아 인력이 더 필요한건 약간 다른 문제거든요.

그런데 전기화학을 했던 사람이 어떤 경우에는 파이로 공정도 하고 어디서는 부식도 하고 어디서는 도금도 하고.. 어디서는 밧데리도 하고 어디가면 수전해도 하고 전기분해도 하고 핵융합로에서 삼중수소 증배재 연구를 하기도 하고... 전기화학이라는 밑천을 가지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는데 이렇게 분야를 넘나들때 있으면 좋은게 박사학위란 생각입니다. 만약 지금 전고체 밧데리를 해서 관련회사에서 계속 생산기술 연구하며 생산한다고 하면 사실 박사학위는 크게 단가가 나오지 않을 수 있어요. 그런데 분야를 넘나들때에는 달라지고.. 제 주위에서도 보면 커리어에서 2-3번씩 이직을 합니다. 기업간에 옮기기도 하고 정부출연기관이나 학교 혹은 공공기관 등으로 가는데.. 완전 경쟁업체 이직은 사실 쉽지가 않고.. 좀 분야를 넓혀서 다른 분야로 옮기거나 하는 것이 선택지가 넓은건데 이때에 박사가 작용을 합니다. 일단 박사를 전기화학했다고 하면.. 어느정도 기본 밑밥은 된다고 보거든요. 물론 물박사들이 많은건 인정하는데 학석사는 물여부도 잘 안따집니다. 학석사는 해온 분야가 딱 맞지 않으면.. 대기업이나 정부출연기관등에서는 교육에 꽤 오랜 시간이 걸릴거라고 보거든요.

그리고 이거 은근 많이 잘 모르던데.. 이민 갈때 박사학위 있으면 많이 유리합니다. 특히 미국 NIW로 영주권 받을때..

창업을 해도 창업자가 박사학위가 있으면 심사할때 아무래도 유리합니다. 중소기업 기술 심사할때.. 솔직히 좀 깔보는 경향이 없지 않거든요. 가산점을 주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저는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봐요.

저는 지금 학교에서 학생가르치는데.. 4학년때 미리 취업되었다고 취업증명서 들고와서 성적 인정만 해달라는 학생들에게 제가 늘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지금 그곳이 너가 은퇴할 직장일지 아직 모르는데 대학 성적표는 대학을 다시 다니기 전까지는 못고친다고. 밧데리 하고 싶다고 찾아오는 학생들에게 하는 얘기는 이것입니다.. 밧데리가 언제까지 핫할지 모르겠으니.. 좀 폭넓게 공부해두고 학문적 관점에서 너의 스페셜리티를 찾는게 더 중요하다고.

너무 분야를 정할때 단기 취업전망만 보는듯해서 아쉬워서 한소리 씁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1.07.29

아직 최종학력 고졸인데 이런글 볼때마다 박사하고싶어요 멋있어요
기쁜 스티븐 호킹*

2021.07.29

전고체 배터리 전망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교수님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1.07.29

저도 지금은 전고체를 연구하고있지만.. 이 과정 속에서 결정구조분석에 스페셜리티를 두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어디든 쓸수 있는 자신의 비법소스가 필요한 세상인 것 같습니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