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생명 분야 대학원 진학 고민입니다.. (P vs YK)

2021.07.02

13

2733

YK 생명 쪽에 재학 중인 졸업 한 학기 남은 학부생입니다.
석사 후 제약회사로 취업하는 게 목표라 저번 달부터 대학원 랩실을 찾는 중인데, 2가지 선택지가 생겼습니다.

첫 번째는 최근 자대 대학원 교수님께 컨택했는데 지금은 석사 자리가 없고 내년 2학기에 입학하면 받아주실 수 있다고 해서, 한 학기 동안 졸업유예하고 인턴생활+영어공부하면서 대학원 입학을 준비하는 케이스입니다. 잠깐 뵀긴 했지만 교수님께서 인성이 좋으신 분 같았고, 대기업과 협업을 많이 하셔서 등록금 정도는 해결될 듯 합니다. 단백질 랩이라서 제약회사 취직도 수월할 것 같고요. 아무래도 자교이다 보니 학교 환경에 이미 익숙한 것, 주변에 도움을 주고 받을 동기들이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할 것 같습니다.
(같은 학과에는 이 교수님과 유사한 연구를 하시는 분이 거의 안계셔서, 자교 대학원으로 바로 입학하려면 아예 다른 분야 랩으로 진학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P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방법입니다. 분야는 똑같이 단백질 랩이고 빡세게 연구하시는 교수님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직 컨택 답장은 받지 못했지만 이 곳으로 진학하면 제때 졸업할 수 있고 금전적인 걱정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쪽 지역 근처에 본가가 있어서 지방 생활도 크게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새로운 대학 시스템에 적응해야하는 것과 빡센 교수님 밑에서 빡세게 학위를 따야한다는 것이 조금 걱정이 됩니다. 또, 취업 시장에서 포스텍 석사와 YK 석사의 차이가 큰지 잘 체감이 안되어서 굳이 포스텍 대학원으로 가야하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호탕한 피에르 페르마*

2021.07.02

"아직 컨택 답장은 받지 못했지만"-> ???
이게 선택지가 맞나요?

대댓글 2개

2021.07.02

자교 교수님께서 포스텍 교수님과 친분이 있으셔서, 본인이 생각했을 때 TO만 있다면 제 조건이 적합한 것 같다고 말씀해주셔서 일단은 선택지에 넣어보았습니다.
호탕한 피에르 페르마*

2021.07.02

합격한 뒤에 고민하시는게 어떨까 싶지만.. 일단 둘중에는 당연히 P죠

2021.07.02

취업 시장에서 차이 큰 편입니다. 갈 수 있으면 P 가시는 게 좋긴 합니다

2021.07.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P다니는 학생안데 Y학부면 사실 비슷할듯 끌리는데로 하세요

2021.07.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졸이면 연세대든 포스덱이든 대기업, 제약회사,
연구소쪽임 별 차이 없음

대댓글 2개

2021.07.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 alumni 졸업생 취업루트 보면 금방 알수 있음

2021.07.02

Y가 아니라 K이긴 한데, YK도 차이가 많이 나나요?
K석사는 취업 시장에서 인식이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저희 과는 alumni가 어디로 취업했는지도 잘 안나와 있더라구요..)
쇠약한 찰스 다윈*

2021.07.02

학부가 든든하셔서 대학원은 두 학교 어딜 가셔도 무방할듯 대학원보다 서울 생활을 포기하고 본가로 내려갈 것인가 고민해보시는것도?
덤덤한 알렉산더 벨*

2021.07.02

단백질 랩이면 뻔한데 음..
P면 ㅇㅈㅇ또는 ㅈㅇㅈ?
Y에 ㅈㅎㅅ 컨택했다는거 같은데.

2021.07.02

집안사정 괜찮고 서울생활 하면서 편하게 하고 싶으시면 자대 가시고, 바로 석사 바로 취업 착착 빡세게 해보고 싶으시면 p 가시는게 좋을듯요

대댓글 2개

2021.07.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상위권대 학석 같으면 대기업, 제약회사도 척척입사니 걱정 ㄴㄴ, 타대 학 상위권대 석도 취업 잘함

2021.07.02

그건 맞죠ㅎㅎ 저는 그 졸업 바로 해서 바로 석사(한 학기 안기다라고) 한다는 의미가 좀 더 강하긴 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