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왜 쫓아냈어요 ㅠㅠ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31 - 과거에 천문학계에서 계산을 담당하던 계산원, 즉 컴퓨터라 불리던 사람들은 기계로 된 컴퓨터가 나오면서 직업의 이름을 물려주고 물러나야 했습니다. 그들 중 상위 1%는 커녕 지금은 누구도 컴퓨터라는 이름으로 일을 하지 않지요. 그러나 컴퓨터로서 일을 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생겨난 건 아니었습니다. 그때라면 계산원을 수행했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지금은 다른 일을 하고 있지요. 이를테면 대학원의 학생이 되어서 컴퓨터에게 계산을 시키는 일을 한다든지 말이죠. 즉, 기술의 발전이 무작정 일자리를 빼앗는다기 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이 박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능력을 가지게 된다면 기존의 박사들은 그 인공지능을 가지고 다른 일을 하게 될 겁니다. 기술의 발전이 일자리를 빼앗는 일은 결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닙니다. 일자리를 빼앗긴 사람들을 탓 하거나 비난할 생각은 없지만 보통 그런 비극은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에 전혀 관심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다가오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서 일어나는 겁니다. 노인이나 저임금 노동자, 기술지식 접근성이 취약한 사람들이라면 그런 기술 변화에서 생기는 비인간적인 비극으로부터 일정부분 보호해야 할 도리가 있겠지만, 적어도 대학원생이 만약 그런 일을 겪는다면 그건 그저 학계의 움직임에 둔감했을 본인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니 잠못이루고 걱정하기보다는 많이 보고 듣고 준비하시는데 시간을 쓰시는 걸 권해드립니다. 사람은 누구나 언젠가 죽을텐데 그게 걱정되어서 아무것도 못하는 게 아니듯이 말입니다.
AI가 근미래에 웬만한 박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2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17 - 진짜 세탁하려면 하버드 mit 이런데를 가세요..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2 - K대학원은 잡대 학부도 다오는데 무슨 세탁?
Yk학부에서 카이스트 박사 따면 학벌 세탁되나요..
11 - 1.인정. 서울대 학석박인데 실적없는 물박사들 너무 많음. 그냥 서울대 쩌리들이 갈 곳 없어서 대학원 가는 느낌. 실적좋은 비서울대 학부 선호.
2.인정. 테뉴어 받으시고 꾸준하게 연구지도 하는 교수님들은 그냥 무조건 리스펙. 보통일이 아닌데 열정이상의 노력이 필요.
3.다 인정하는데 마지막문장만 인정X. 과탑했으니 SKP에 가는것은 본인만의 특권입니다. SKP에서 만나는 인맥과 연구시스템은 매우 훌륭합니다. 교수님때문에 자퇴를 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SKP는 충분히 도전할만한 학교이고 경험해볼만한 학교입니다.
4.인정. 한국학생들의 고질적인 병이 수동적인 태도입니다. 무조건 떠먹여주실 바라는건 대학원생이 아니죠. 실패하더라도 하나씩 부딪쳐보고 해결해나가고 배우는 과정의 연속이라 생각.
5.최근에 임용되신 조교수님들 찾아가서 상담을 받는것은 무조건 추천. 엄청난 실력자임과 동시에 제가 본 대부분의 분들도 매우 훌륭한 트레이닝을 받고 인성도 좋으신분들임 (물론 나중에 테뉴어를 받으면 착취형 교수로 돌변하겠지만 ㅋ)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5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2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3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이런 경우라면 어떻게 행동하실건가요?
2021.06.17

X(교수님)
A(글쓴이)
B(같은 방 후배)
1. A는 새로운 실험 디자인+아이디어를 정리해서
X에게 제출하고 디스커션
2. X는 좋은 생각이라고 preliminary data 뽑으라고 했음
3. A는 혼자서 열심히 실험 디자인해서 data를 뽑아서 X에게 제출했고
X는 매우 만족함
4. A는 실험을 더 진행하려고 했지만 X는 당장 급한 과제 마무리부터 하자고
과제 마무리하고 다시 실험할 것을 요청
5. 과제는 얼른 마무리 해야 하니깐
A도 ㅇㅇ하고 다른 과제 마무리 진행함
(몇 달이 지나고)
6. A는 과제 마무리를 하고,
그 새로운 실험을 다시 진행하려고 교수님한테 미팅을 하자고 제안
7. 근데 교수님이 그 미팅에 B도 같이 들어오라고 함
A는 B가 같은 연구실 후배라서 별다른 생각을 안하고 좋아함
(같이 일하면 재미있으니깐)
8. 미팅이 끝났는데
X는 A에게 아직 실험은 진행하지 말고
하던 과제에 집중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함
9. 여기서 A는 이해가 안갔음
- 지금 연구실에 과제는 2개
- 1개는 다른 포닥이랑 연구원 쌤이 중심으로 진행함
- A는 나머지 1개는 내가 참가하고 있는데, 시키는거 다 하고 밀리는거 없이 잘 하고 있었음
(몇 달이 지나고)
10. B가 대학원생(박사과정) 장학금 중에 꽤 큰 걸 땄음
(나도 엄청 축하해줬음+연구실 축제 분위기)
11. 학과에서 B에게
어떤 프로포잘로 장학금을 땄는지 세미나를 제안 + B가 수락(X도 수락)
12. A는 B가 진행하는 세미나에서 보고 뒷통수 맞은 느낌이었음
프로포잘이 크게 두 가지 나줘져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A가 X한테 제안했던 실험 아이디어+디자인이었음
(A가 만든 preliminary data도 토시 하나 안 틀리고 들어가 있었음)
13. 참고로 B가 장학금 지원용 프로포잘 지원을 할 때
내가 읽거나 본 적이 없음 (B는 X랑 직속 포닥쌤이랑 작업함)
님들이 A라면 어떻게 행동할 것 같아요?
(1) 좋은게 좋은거다. 어쨌든 같은 연구실에 있는 사람이니깐 그냥... 넘어가자.
(2) 아무리 그래도 X의 결정이 이해가 안된다. X한테 대체 왜 그랬냐고 물어본다.
(3) 기타
-
4 24 5209
궁금한게 있는데요 김GPT 5 9 4738
조언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김GPT 6 12 6747-
6 19 2358
교수님 행동 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김GPT 0 9 2782
교수랑 사이가 안좋으면 김GPT 0 11 7237-
3 6 1195
어떤 면담 방법이 좋을까요? 김GPT 0 5 6648
교수님 입이 가벼우면 어떻게 해요? 김GPT 6 12 2387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018 72 178568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0 19 56087-
151 26 4030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1.06.17
2021.06.17
2021.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