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직장 다니면서 박사 생각중인 사회 초년생입니다. 고려대 석사 졸업 후(타학생이었습니다.) 다른 학교 박사를 가고 싶은데요
고려대 같은 경우 제 기억상 박사 졸업 논문 발표시 외부인원을 초청해야 한다는 요건이 있었는데 다른 학교들도 전부 이런 요건이 있나요?(참고로 전기전자공학과 회로설계 분야입니다.)
질문글 올리는 이유가 석사때 지도교수가 너무 싫어서 외부 인사 초청건 관련해서 최대한 안엮이고 싶은데 이 문제 때문에 고민이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IF : 5
2021.06.16
네 있습니다. 저도 세 분은 우리학교 교수님, 두 분은 외부 박사님들이었어요. 박사하면서 다른 교수님/박사님들이랑 협업 많이 하시고 인맥 많이 쌓으시면 다른 분들로 채울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대댓글 3개
2021.06.17
아직 몇군데 찾아보진 않았는데 대다수 대학들이 외부교수 또는 "전문가"라고 명시를 해놨더라고요 "전문가"라는게 다른 교수님들 제외하면 "박사학위"를 가진 분도 포함되는 건가요? 석사 랩실 졸업한 지인 형이 한분 있긴한데..
"전문가"에 해당 되는 범주가 어디부터 어디까지 인지 잘모르겠습니다.(혹시 해당분야에서 같이 일하던 직장인도 포함되나요? 현재 팹리스 회로 설계 기업에 재직중인데 이분들도 전문가에 포함될수 있는지 애매하네요..)
IF : 5
2021.06.17
보통 박사학위 후 해당 분야 경험 n년이상이 필요합니다 한 3년? 5년?정도였던 것 같네요. 박사학위가 없으신 분이라면 이분이 심사위원으로 참석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소명자료 혹은 위의 조건과 동등수준의 경험을 갖고 있다는 증빙(+학과장 승인)이 별도로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근데 그렇게 잘 안해요. 저도 외부인사중에 모 업체 대표님이 있긴 했는데 박사학위 소지자셨습니다. 회사 내에 박사학위 가지신 분이 있다면 가능성 있겠네요.
하지만 심사위원도 지도교수와 상의 거쳐서 지도교수님이 초청해야 할 수 있지 내가 부르고싶다고 부를 수 있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그 연구실에서 학위심사할 때 꼭 부르는 사람 풀이 어느정도 정해져있는 랩도 있어요.
IF : 5
2021.06.17
저희 방에도 석사 다른 데서 하고 온 분이 계셨는데 박사졸업 때 예전 지도교수 안불렀었어요. 일단 두 교수님이 별로 안 친하기도 했지만 박사하면서 알게됐던 교수님들 박사님들이 또 워낙 많이 계셔서... 그리고 저는 진짜 안엮이고 싶은 우리과 교수님이 있어서 심사위원 정할때 교수님한테 얘기했더니 감안해서 짜주시더라고요. 너무 나중 일이고 변수가 많은 일이니 박사 진학 여부를 결정지을 정도의 걱정까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2021.06.16
성균관대학교는 5명 전부 성대 교수님으로 할 수 있습니다. (과마다 다를수도 있습니다. )
2021.06.16
대댓글 3개
2021.06.17
2021.06.17
2021.06.17
2021.06.16
대댓글 1개
2021.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