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경영학과 풀펀딩 궁금합니다

2021.02.14

9

7211

현재 ky 경영학 석사중입니다
만약에 풀펀딩이 나온다면 미국 박사를 가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제가 영어와 통계를 그리 잘 하는 게 아니라서 탑순위 대학으로는 못 갈 것 같습니다 궁금한 게 미국내 100위 200위권 그외 선호 덜 되는 대학들도 펀딩을 잘 주나요?

제가 비교적 낮은 곳들을 생각하게 된 이유가 너무 높은 탑스쿨을 가봤자 학위따오기만 어려워질 것 같아서 그렇습니다. 저는 꼭 유명대가 아니더라도 박사 학위를 받아올 수 있는 대학을 가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요 sky에서 석사 졸업하고 아이비리그로 박사 갔다가 시간만 몇년을 보내고 학위 못 받고 리턴한 사람도 건너 아는 사람중에 있네요 지금은 학원강사한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100위권이나 150위권 그 밖인 미국 대학 박사 나온 것도 메리트 있게 쳐주나요? 교수님들 대학원 나오신곳들 랭킹 사이트에 조회해보면 100위권 밖도 꽤 많던데 커뮤니티에서 보면 다들 탑20, 30 정도만 얘기해서 그 보다 뒤인 대학들은 안 쳐주나 교수님들 때하곤 달라졌나궁금합니다.

그리고 주변에 들은바로는 몇십년 전엔 풀펀딩 많이줬는데 요새는 근 몇년째 이공계열만 주고 인문사회쪽은 풀펀딩 많이 줄었다네요 진짠가요?

풀펀딩도 쉽게 안나오고 영어와 통계를 그리 특출나게 잘하는것도 아니어서 미국가서 학위를 받아올 수 있으리라는 확신이 안섭니다. 그냥 국내에서 박사할까 생각이 들다가도 현재 고학력 인플레는 날로 높아지는데 취업시장은 갈수록 좁아져가고 참 힘들게 살것같다는 생각에 너무 답답하네요 넘치는 게 국내박사라는데. 제가봐도 메리트가 별로없죠

궁금한 질문거리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1. 김박사넷보면 탑20 탑50 얘기가 많은데, 100위권 밖인 대학들도 풀펀딩이 나오는가?
2. 경영학과도 풀펀딩을 좀 받을 만 한가? 요새 줄었다고하는 말은 진짜인가?
3. 미국 100위권대 밖인 중위권 대 나오는 것도 메리트 있나?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1.02.14

제 작은아버지는 Wisconsin-Madison 경영학 박사 자비로 다니셨는데 기본적으로 공학계열이 아니면 펀딩 힘들다고 알고있어요. 랭킹에 대해서는 공학계열의 경우 순위가 낮더라도 연구실을 잘 찾거나 실적을 통해 극복이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인문/경영 계열은 워낙 간판이 쎄서 이 분야에도 적용이 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Otto Diels*

2021.02.14

100위권 밖을 중위권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2021.02.14

경영학 특성상 미국내 150위 밖이면 phd 자체가 개설되어있지 않은 학교들이 더 많지 않나요? 눈을 낮춰도 지나치게 낮추셨는데 그게 의미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본인 실력이 그 정도가 한계라면 박사 자체를 심각하게 재고하셔야죠

2021.02.14

Otto/ 그쵸 미국에 대학이 몇천갠데 그중 100위권 밖이라고 중위권은 아니죠 어느글 보니 100위권보고 중위권주립대라고 말한것도 보고 여기선 탑 20 30이 많이 언급되는 걸 감안해서 한 얘기였는데 덜 선호되는 대학이라 해야 더 적절한 표현이겠네요
Otto Diels*

2021.02.14

랭킹이 의미가 없다고 보지만, 보통 중위권이라고 하면 40~60위 정도를 의미합니다.
100위권 밖은 국박보다 못합니다.
Gerhard Domagk*

2021.02.14

공대도 아니고 100위권 ㅋㅋㅋ

2021.02.14

경영대는 전공 당 소수만(1-2명씩) 뽑아서 랭킹이 낮은곳도 지원하게 되어있어요. 파이낸스면 50위권 이내도 잘 가신 것이고 대부분 50위 내외 풀펀딩입니다. 엄청 치열하고 수학 통계 코스웍 빵빵하고 연구실적 있는 분도 있습니다. 위스콘신은 상경계열에서 좋은 학교고 phd가 풀펀딩 당연히 나옵니다. (위에 분 이상하네요. 경제 경영 위스콘신 나온 sky교수님들도 많아요 경영경제는) 자비박사 오퍼는 오지 말라는 수준인겁니다. 근데 영어 통계를 못해서는... 국내에서 훈련하시는게 나은 것 같고 100 200 위권은 솔직히 국내가 더 좋지 않을까 합니다. 적어도 70위권 내외를 목표로 하시는 것이... (파이낸스 회계라면...) 다른 과는 50위 내외로...

2021.02.15

100위권 생각하면 국내에서 하세요

2021.02.16

미국과 한국 사이의 괴리가 가장 큰 학과 삼대장이 심리학과, 경제학과, 경영학과 라고 생각해요. 미국 좋은 학교에서 저기 학과 다니는 애들 수학 진짜 잘해요. 반대로 수학과나 통계학과 출신 교수님들이 저 과에서 교수하시기도 하고요. 우리나라는 문과라는 인식이 너무 강해서 수학 가르치면 오히려 학생들이 반발할테니....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박사 가셔도 퀄 떨어져서 돌아오실 확률이 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