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 가성비라는 말에 대해서

2021.02.06

13

5134

박사는 가성비가 낮고 공부하고 싶은 사람만 가라고하는데 결론만 말하자면 그것도 조금 지난 얘기인거 같음.

일단 학사로는 요즘 취업이 너무 어렵다.

대기업도 전부 수시채용으로 들어서고 분야도 예전보다 훨씬 세분화되어있음. 수시채용 자체가 박사가 들어가기 유리하게 짜져있다. (전공이 일치한다는 가정하에) 그 해당 직무 경험하는 방법도 여러가지 있지만 제일 쉬운방법은 박사하면서 프로젝트하는거임.

석박사합치면 6년이상 손해라고 말하는데, 과거에는 대학교학사 나온게 지금은 박사까지 온거라고 생각한다.

현재 학사는 과거 고졸임. 요즘 신입 나이도 점점 높아지고 퇴직연령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15년전쯤에는 40대에 짐싸는 경우 많았는데 현재는 50대는 되어야 압박들어온다.

인구구조도 점점 노령화되고 아이도 안낳기 때문에 나이 많은 사람들이 계속 일하는 방법밖에 없음.

그런 관점에서 보면 6년정도 더 투자하는거 그렇게 나쁘지 않다고 본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1.02.06

수시채용이 key라고 봄. 점차 외국처럼 될거임. 적게 뽑아도 조직은 운영되고 그만큼 인력풀도 고급화 되고. 그런 의미에선 가성비 있는 전공이 있지. 특히 실용적인 분야는.
Georges Seurat*

2021.02.06

학사가 고졸취급은 그래도 아닌듯...

2021.02.06

박사 가성비 오지게 안좋은거 맞습니다.
연 4천따리 기업에 취업했다고 생각해도 거의 2억 4천의 기회비용이 날아갑니다.
그리고 진지하게 박사학위자들에게 여쭤보세요. 본인 학위 가치가 2억 4천의 값어치를 하는 것 같은지.

냉정하게 말해서 집이 잘사는게 아닌데 대학원을 진학해서, 학문에 정진하는게 아니라 돈 버는게 목적이면 길을 잘못 선택한 겁니다. 대학원 진학은 어디까지나 연구가 너무 좋은 사람이 오는 곳이지 돈 벌려고 선택하는 곳은 아닙니다. 어차피 대기업 노예될거고 애초에 근로소득자로 살아갈텐데 말이죠.

2021.02.06

본인들 박사생활 힘든건 알겠는데 제발 합리화 좀 그만..
Georges Seurat*

2021.02.06

당장 정출연 같은경우만 봐도 학사 행정직이랑 박사연구원이랑 연봉테이블이 같은데..... 박사는 가성비 안좋은거 맞음. 물론 박사가 잘나가면 연봉억대 넘게 받을수있지만 쉽지않지 평균은
Paul of Aegina*

2021.02.06

대기업 연구소 기준 박사 수당 한달에 30 x 12 x 근속년수 20년 치면 7200만원이니까 2억 4천 기회비용 중에 대충 1억 7천만 남음. 보통 박사 딴 사람이 학사만 갖고 있는 사람보다 연구소 기준으로 더 오래다닐 수 있음. 1억 7천이면, 삼성에서 수석급으로 2년이면 세후로 벌고도 남음.
Paul of Aegina*

2021.02.06

서두에 대기업이라고 썼는데 생각해보니 다른덴 모르겠다. 삼성 기준임. 박사 수당 없다고 해도 2억 4천은 더 받고 댕길 수 있지. 같은 직급이면 고과도 보통 더 잘 받는데.

2021.02.06

박사하면서 월급 150이상 받는데

2021.02.06

32살부터 선임연구원으로 시작해서 영끌 1억 넘게 벌어도 역전 못함?ㄷ
John Ambrose Fleming*

2021.02.06

ist 기준 stipend만 해도 석사 1000 박사 1500 되니까 얼추 가감되지 않나? 거기에 학사 취업하면 무조건 4000넘게 받는 것도 아니고 3000대도 많을텐데 대충 평균 때리면 박사 학위 = 1~1.5억쯤 되겠네. 거기에 전문연 한다치면 2년 절약도 가능하고

2021.02.06

연봉만으로 계산하면 박사가 엎을 수도 있는데, 학사 졸이 집을 일찍 살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됨. 특히나 한국 같이 부동산이 미친듯이 오르는 곳은....
Paul of Aegina*

2021.02.06

그렇게 치면 간과하면 안될게 한 두가지가 아닌데... 종합적으로 생각해봤을 때 난 다시 선택하라고 해도 박사할거임. 단순히 돈 목적이래도.
Antoine Laurent Lavoisier*

2021.02.06

얘네는 돈의 시간가치라는것도 모르냐? 학위할동안 대기업취직해서 굴러가는 돈 무시못한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