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박사로 카이스트 vs 미국 Top50

Umberto Eco*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1.01.03

52

15820

보통 어느거 많이 택? 카이스트가 생각보다 세계적 위상이 지리던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2개

2021.01.03

어그로인듯?
Renato Dulbecco*

2021.01.03

ㅋㅋ;;

IF : 1

2021.01.03

후후...
Ralph H. Fowler*

2021.01.03

미국 탑50이면 카이스트대비 큰 메리트 없음 근데 해외생활을 경험은 해야 함

2021.01.03

갈수있음 미국가지..

2021.01.03

솔직히 탑30(미네소타급) 이면 고민도 안하고 가지. 근데 탑50이면 고민은 좀 해볼텐데 어찌됐든 미국 갈듯

2021.01.03

어그로 끌려보자면 만약 박사따고 미국에 정착하고자 한다면 SPK보다 미국 TOP50이 훨씬 유리할 수 있음.

2021.01.03

국박(spk포함)하는 이유: 미필인데 군대빼고 싶을때, 대기업 산학프로그램으로 적당히 살고싶을때, 가족문제 또는 집안형편상, 영어가 안될때(흥미가 없을때), 국밥소주같은 익숙한것을 포기할수없을때 (농담같지만 중요한)

미박가는 이유: 한국 대학원바닥은 노답이라는걸 알때, 결국 학문의 중심은 '미국'이라는걸 알때, 미국에서 몸값올려서 한국리턴 또는 미국이민 도전.

될수있으면 미국에 가는게좋지요. Why not?
Ralph H. Fowler*

2021.01.03

미국 탑50이면 마이너 주립대 정도일텐데 몸값 올리기 힘듬
실제로 저정도 레벨 학교면 안좋은 대학 출신 애들만 보통 가던데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카이가 무슨 세계적 위상이 있음..???

대댓글 1개

2022.01.19

QS 랭킹 세계 16위임 공학 분야. 그 아래에 CMU, 일리노이 어바나 샴페인, 미시간 앤아버, 도쿄대, 프린스턴등 미국 탑급학교들 다있음
Umberto Eco*

2021.01.03

ㄴ 울나라가 자연과학쪽 투자를 잘안해서 글치 공학쪽은 생각보다 꽤 높던데. 외국 논문읽다보면 카이스트 인용 몇개씩 보이기도 하고 생각보다 ㄱㅊ다고 들음 공대는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ㄴ 카이에 인용이 잘되는 논문을 쓴 연구자가 몇 명 있긴 하지만 외국에서 카이스트를 아는 사람을 거의 본적이 없습니다.
Umberto Eco*

2021.01.03

ㄴ 일반인은 몰라도 분야에 발 좀 들인사람은 아는사람 꽤있는거같은데, 홍콩과기대 카이스트 도쿄대 중국 몇개대학은

2021.01.03

ㄴ서울대 박사는 카이스트 박사와 비교하면 어떰?
Ralph H. Fowler*

2021.01.03

웬만한 학교면 다 카이스트 출신 학생들 있고 카이스트에서 논문 많이 나오는데
외국에서 카이스트를 모를리가 있냐 ㅋㅋㅋ
Umberto Eco*

2021.01.03

ㄴ 세계 공대순위 Top30에 매번 드는데 이걸 모를리가... 세계 학회도 있고 공동연구도 많이하는데..

IF : 1

2021.01.03

솔직히 여러군데 있어보고 내가 느낀건데. 국내 대학원 몇개는 1인당 실적으로 보면 나쁘지 않은 곳 있다. 듣보잡이다 이정도는 아닌거 같은데. 내가 느낀건 미국에서는 '관심이 없다'임. 너네 학교 다닐때 전교에서 순위 다툼할때 반에서 10등 정도 하는 애들이 성적이 올랐는지, 잘하는지 못하는지 관심 있었냐? 그거랑 같음. 자기들 라이벌만 신경쓰지 그 밑에는 잘하든 말든 별 관심이 없어. 그리고 국내 분위기는 미국 사대주의가 있다고는 해도 국뽕 분위기도 없지 않음. 그래서 top 20 정도 (cs등 몇몇 분야 제외. cs는 50위권도 개빡셈) 아니면 기존에 있던 국박 출신 교수들이나 인사권자들이 꼴같지 않게 안쳐주는 경우 발생.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한국 웬만한 대학교에 파키스탄 학생있다고 한국 교수들이 파키스탄 top3 대학을 다 아나요? 일단 해외 대학원생중엔 카이스트 아는 경우가 없다고 봐야하고, 교수중에는 자기 분야에 카이스트에 유사한 분야 하는 사람이 있는거 아니면 모릅니다. 한국에 사시는 입장에선 한국인이 주로 많이 하는 분야만 보고 있으니까 카이가 유명하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한국이 잘하는 분야는 아직까지 학계 전체에서 봤을 때 좁고 한정적인 편입니다.

입학 사정관 일 많이 하는 교수들이 학생 뽑으려고 알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겠네요.
Umberto Eco*

2021.01.03

예시라고 들고온게 파키스탄인가요.... 파키스탄대학이 세계순위에 있기는 하는가... 해외학회도 많이가고 공동연구도 엄청 활발한데....

IF : 1

2021.01.03

세계 공대 30위는 영국 잡지에서 만들고 영국 대학이 싹쓰리 하는 그런 이상한 랭킹 말고, 미국 대학은 usnews만을 보고 (거기서는 우리나라 대학이 한참 밑에 있지), 외국 대학 순위는 별 관심 없음. 학회도 그렇고 저널도 그렇고 교육도 그렇고 모든것이 자국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그런데 반도체나 이런 쪽은 미국에서 잘 하지도 않고 삼성이라는 기업이 있는 한국의 카이스트를 모를 수는 없음.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그리고 카이스트가 무슨 랭킹에서 30위 안에 항상 드나요? 대부분 100위권 밖인 걸로 알고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록펠러 대학도 라이덴 랭킹 세계 1위 찍은적 있습니다. 그 논리라면 세계 최고 명문 록펠러 대학 당연히 아시겠죠??

대댓글 1개

2022.01.19

QS 랭킹 16위고, The 랭킹 30위안에 듭니다. 20년전 사람이신가요. 2021년 보고 오세요.
Umberto Eco*

2021.01.03

록펠러 이름은 들어봤죠. 제가 말한건 공과대학 순위인데... 라이덴이나 뭐 피인용수 랭킹 디이런거 말고...
Umberto Eco*

2021.01.03

2020 qs공대 순위 16위 카이스트인데... 고작 들고온데 라이덴인가요.... qs공대 순위 보세요 듣보대학있는지 다 명문대 사이에 끼어있는데
Ralph H. Fowler*

2021.01.03

미국 상위권 대학에 서카출신 학생/포닥이 없는 곳이 없음 당연히 모를 수가 없다
한국 일반인들이 칭화대를 모르지만 연구자라면 모를 수가 없는 거랑 같은 이유임
Ralph H. Fowler*

2021.01.03

서카포 박사 후려치는 애들 보면
그 이하 대학나와서 듣보 대학원 (미국 중하위나 기타국가) 간 경우가 태반임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카이스트 출신 학생이 있어도 그 학생이 어디 출신인지는 괸심 없습니다.. 동기들중에 이란 인도 대만 출신 유학생들도 많지만 어느 대학에서 왔는지 하나도 모릅니다. 학생이나 포닥을 뽑는 입장인 사람만 알겠죠.
Umberto Eco*

2021.01.03

홍콩과기대 도쿄대 난양기술대 싱가포르국립대 이런거를 예시로 들고와야지ㅋㅋㅋㅋ 대만... 이란....
Ralph H. Fowler*

2021.01.03

제대로 된 연구자라면 리딩그룹들 뭐하는지 어디인지 서베이정도는 하는게 당연하니 모를 수가 없다고
관심없는건 본인이 무식해서 그런거고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ㄴㄴ카이스트가 도쿄대 홍콩과기대랑 비교가 된다고 생각하세요?
ㄴ리딩 그룹이 카이스트에 있는 경우만 안다고 몇번이나 이야기하는데... 이건 뭔

2021.01.03

usnews 랭킹 기준 카이스트 200위인가 함...

대체적으로 미국 100위권 정도로 대우해줌
Umberto Eco*

2021.01.03

카이스트 떨어졌나... 왤케 카이스트 후려치냐

IF : 1

2021.01.03

미국 대학 나왔다고 해서 제가 볼땐 실력적으로 서카포 박사 후려칠 정도는 아니고요... 미국 시스템이 압도적으로 선진화 되어 있고 소사이어티 핵오브 핵이니까 자부심 느끼는 건 이해가 되는데 서카포 정도에서 훌륭하게 졸업하는 박사들은 전세계 어디든 취업 될 정도의 수준입니다. 근데 미국에서는 한국 대학들 관심 없는건 맞습니다. Top 50정도 되는 대학이면 물론 서강대 이런데에서 유학와서 열심히 안하고 한심하게 하는 애들도 있지만, 잘하면 무진장 잘하거든요. top 50 박졸하고 구글 같은데 가서 탑학회 1년에 5, 6개씩 혼자 쓰고 에이스 되는 애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 대학은 실적만을 좇지만 미국 대학들은 대학원 교육이 엄청 빡셉니다. 그래서 실적이 상대적으로 딸릴수 밖에 없는데, 장단점이 있다고 봅니다. 그러다 보니 해외 유학파는 국내 대학원 풍토를 좋게 볼 수 없겠죠. 그러니 서로 좁혀지지 않는 논쟁입니다.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님이 하는 분야는 한국에서 많이 하는 분야니까 당연히 카이스트에 리딩 그룹이 있겠죠. 학계 전체 분야로 따지면 그렇지 않습니다. 애초에 리딩그룹이 있어야만 아는 학교를 '위상이 지린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카이스트 자대출신 미박중입니다 ㅎㅎ
Umberto Eco*

2021.01.03

ㄴ 카 자대출신 미박이 저런소리를?ㅋㅋㅋㅋㅋㅋ 저도 카이스트 출신 미박입니다
Ralph H. Fowler*

2021.01.03

난 서울대나와서 top5 미박했는데 서울대 카이스트 모르는 애들 본 적 없다 적어도 내 분야에서는
한국인들 없는 깡촌 잡대라면 모를수도 있겠네
James Prescott Joule*

2021.01.03

ㅋㅋㅋㅋ 카이출신이 자기 학교를 위상이 지린다고 표현..??
Umberto Eco*

2021.01.03

생각보다 지린다고했잖슴... 생각보다...ㅇㅋ???
Ralph H. Fowler*

2021.01.03

위상이 지리는건 아니지만 적어도 모르는 애들은 없음 NUS나 NTU HKUST정도 지명도는 된다고 봄

2021.01.03

글쓴이는 질문은 해놓고 k가 미박 top50보다 낫다고 주장하는것 같은데, 그럴려면 적어도 skp대학원과 미국대학원 둘다 경험을하고 그리고 답변을 들을 자세를 갖추어야함.

학문, 랭킹 어디가 더 좋다카더라 이런거 다 떠나서 k에 많은 인재들이 '묶여'있는건 군문제해결 그제일 큼. 이건 ㄹㅇㅍㅌ반박불가임.
skp라면 다들 아인슈타인을 꿈꾸는 똑똑이들인데 박사만큼은 크게보고 미국유학의 꿈을 한두번쯤 생각했을거임.
만약 전문연이 폐지된다? 진짜 머가리 똑똑이들은 군필후 바로 미국으로 뜰것임. MIT부터 탑50+까지 채워넣어질것임. 그러면 다른 학부출신들이 skp대학원을 채워넣을것이고 그렇게 돌아갈것임.
우리나라에 제대로된 PhD퀄시험이 있는가? 아니 국박은 PhD인가 단지 손기술좋은 석사의 연장선인가? 연구 풍토가 있기는한가? 랭킹 따지기전에 이것에 먼저 답을 해야함. 그리고 랭킹 지표가 어느정도 나오는건 삼성의 자본의 힘이지, 학계의 힘이 아님. 학계의 힘이 아니기때문에 노벨상이 아직 없는것이고
Umberto Eco*

2021.01.03

미박보다 K가 더 낮다고 한적없음. K후려치는 사람 많길래 해본소리임. 나도 미국감.
Umberto Eco*

2021.01.03

낮× 낫
Ralph H. Fowler*

2021.01.03

뭔 헛소리를 쳐하고있냐 자본이나 브랜드는 미국 대학이 압도적으로 앞서는데 ㅋㅋㅋ
완장 다 떼고 비교할거면 학교 브랜드, 자본, 미국 취업 기회 등 다 빼고 비교해야지
그리고 MIT에서도 퀄 떨어지는 남학생의 비율은 6%밖에 안된단다

2021.01.03

결론내자.
1. 삼성 펀딩받고 취업할수있는 practical한 전공은 미국 유학 안가도됨. 삼성이라는 거대자본이 있기때문에 반도체, 나노 들어가는 학과들은 갈아넣으면 아웃풋은 나오거든. MRS 학회가도 반은 짱깨, 한국이고 오히려 미국이 숫자로 밀림.
2. 근데 나머지 학과들은 여전히 미국 유학가야 배움. 문돌이쪽 특히 경제학은 미국학위가 개필수로 알고있고, 순수과학쪽도 미국 가야함.
3. 미국 퀄은 학교마다 전공마다 다르지만(30프로, 절반 떨구는곳도 많음) 공통점은 분명 공포의 대상임. 한국엔 퀄이 있는지없는지 모르겠지만 없다고봐야함.

2021.01.03

어드미션, 코스웍, 퀄시험, 디펜스 등 졸업까지 보통은 미국 대학원 시스템이 졸업하기 훨씬 빡세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냥 노골적으로 어드미션 난이도부터 비교해보면, spk진학 시에 누가 sci들고 갑니까? 간혹가다 전문연까지 뼈묻을 실력있는 자대생들이 그러겠죠. skp는그냥 학부 성적만 높아도 뽑아줍니다.

근데 미박 top50까지는 성적만 높다고 안뽑아줍니다;; 일단 국내에서 지원하는거라 가정하면 영어도 받쳐줘야되고, 셤도쳐야되고, 추천서도 필요하고, SOP도 신경 많이써야되죠. 그리고 어드미션때 sci 들고 오는 사람들 널렸습니다.

미박은 전세계적으로 모이는 스케일이기 때문에 운이 결정하는 요소도 커서 무조건 실적 좋고 잘한다고 top 대학원 보장되는게 아닙니다. 그래서 많은 실력자들이 본인의 스펙에 비해 랭킹 낮은 곳으로 밀려납니다.

저런 까다로움과 불확실성을 뚫고 도전을 했다는 것만으로도 메리트를 가지고, 거기에 여러 이점까지 합해지기 때문에 국내에서 미박 선호도가 높다는 말이 나오는겁니다.

대댓글 1개

2022.01.19

미국 석사에서 어드미션때 sci들고 오는 사람들이 널렸다라.. 서카포석사 나오고 MIT, 스탠퍼드, 버클리, 칼텍 중 다니는 박사과정인데, 아마 100명 지원자중에 임팩트있는 SCI 급 논문가지고 오는 학부생은 1,2명도 안될껍니다. 석사에서 박사진학은 서카포석사출신이 미국 애들보다 논문 실적은 더 좋습니다. 미국도 마찬가지에요. 학점, SOP, 추천서 밖에 안봅니다. 오히려 특정학과 (CS)는 카이스트, 서울대, 포공 뚫기가 미국 탑 10~20보다 훨씬 어려울수있습니다. 한번 서카포 CS랩가서 학교랑 학점보세요. 그리고 하버드, 스탠퍼드, MIT 등 학교 및 학점 보세요. 한국대학원을 너무 까내리는데 미국 석사의 경우는 거의 자비로 가는거라 그렇게 요건 안높습니다.

2021.01.04

Top50 아니어도 군면제였으면 갔다ㅠ

2021.01.06

그냥 분야바이분야임. 우리분야는 한명이 독보적으로 유명해서, 카이스트라고하면 'ㅇㅇㅇ교수가 있는 곳'으로 통함.

2021.01.06

나라도 갔을듯. 영어도 해결하고 영주권도 운좋으면 따고 정착해서 공대 최상단 고연봉 기업도 가고

2021.01.06

애플 있는 실리콘 밸리갈 인지를 삼성에서 미국 본토에서 잘만 데려오는 방법이 그쪽에 연구소 만들어서 더 준다고 함 ㅋㅋㅋ 안갈 이유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