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H-index 100 이하는 실력 깡패라 부르지 맙시다.

2019.07.17

8

14148

H-index 가 아주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그나마 객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도 전세계 연구원들이 가장 널리 사용하는 지표입니다.


실력깡패? 네이쳐 줄줄이 나오는 교수? 누가 봐도 주관적이죠?


정교수 인데도

h-index 50 이하: 실력 깡패라고 부르지 맙시다. 

h-index 50 ~100: 국내에서는 실력으로 까기 어려운 수준

h-index 100 이상:  그냥 세계적 대가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19.07.17

H index 가 나이보다 높으면 대가라 하죠.

2019.07.18

웬만한 대가들도 h-index 50넘기 힘든데 무슨...
Wolfgang Pauli*

2019.07.18

애초에 인용수 스케일이 전공마다 다르고 같은 전공에서도 세부분야에 따라 천차만별인데 저렇게 전공 불문하고 숫자만 가지고 천편일률적으로 분류하는건 구글스칼라 처음 접한 학부생들이 하는 실수 아닌가요?

2019.07.18

h-index 50 안되면 대가가 아닙니다.
대가라 함은 세계적으로 명성이 있어 top5 연구실 정도에 들어가는 수준이겠죠.
이러한 연구실의 교수님은 h-index 가 50이 안될 수가 없습니다.
여러학교와 collaboration 을 많이하여, 본인 이름 들어간 논문만 수백편이 되고,
교수자체가 유명하므로 그 논문들이 인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h-index 100 이 넘는 사람이 2019년 4월 기준 2258 명입니다.
그리고 h-index 50 이상만 되어도 앞서 말씀드렸듯 실력으로 까기 어렵다고 하였구요.
A. J. P. Taylor*

2019.07.19

세계 top5 연구실에 못 들어가면 대가가 아니다
그럼 S,M,H대 빅가이 랩 아니면 대가가 아니란 이야기고 국내엔 아예 없을듯

2019.07.19

대가라는 기준을 너무 타이트하게 잡으신게 아닌가 하네요. 말씀은 충분히 무슨 의미인지는 알겠습니다만,,

2019.07.21

분야별로 인용수차이도 있고 정말 케바케인 경우가 많은데 인용적고 논문쓰기 힘든분야는 어디가서 명함도 못내밀겠네요. 지표로만 모든걸 바라볼 수 있는 firm한 시야에 감탄하고 갑니다.

2021.05.27

보통 실험실 갓 들어간 학부생들이 저런 걸 따지더군요..
분야마다 다르고 어떤 주제냐에 따라 많이 차이납니다.
이것은 주로 같은 분야에서 비교가 유의미한 지표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