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3년간 sci급 20편 쓴 분도 계시더라

Philipp Lenard*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10.27

12

8128

ㅎㄷㄷ...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0.10.27

그게 됨?? 데이터 몰았다가 한방에 쓰는게 아니라면....

2020.10.27

양산보다는 질이 더 중요하게 느껴진다. 한방 ko하고 20회 누적펀치의 임팩트 차이가.

IF : 1

2020.10.27

교수는 가능. 학생...은 뭐 가능한 분야가 있다면 ㅇㅈ
재료쪽은 논문 쏟아져나오더만

2020.10.27

재료 에너지 가능.

2020.10.27

개부럽다..

IF : 2

2020.10.27

재료면 가능. 내 선배박사도 박사과정 총 4년 중에 SCI 주저자로 16편, 공저자 합치면 20편 넘김. 국박하고 해외 포닥갔다가 올해부터 국숭세단 중 한 곳에 조교수로 임용됨.
Robert Bunsen*

2020.10.27

재료 에너지 아니라도 가능한 사람들 있지..

2020.10.27

어디 국박인지 알수있나? 신기하네.
Louis Pasteur*

2020.10.27

나는 유럽박사중인데 그래핀 분야하는 애중에 박사과정중 공저자 합쳐서 4년간 40편 쓴 사람도 봄.

나는 박사 4년차인데 이제 하나 1저자로 내고 2개 준비중인데..;; 분야가 다르긴 하지만, 논문 많이 나오면 재미있고 연구할 맛 날듯. 부러움.
Alfred Marshall*

2020.10.27

논문 많이 나오는 분야 특징: 남들은 논문 더 많이 쓴다
Otto Wallach*

2020.10.27

ㄴ ㄹㅇㅋㅋ

2020.10.28

ㄴㄴ ㅋㅋㅋㅋㅋㅋㅋㅋㅋ넘 웃기네요 맞는 말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