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렇게 발전해나가는거 아니겠습니까
대학원생 초반에는 논문 한편 나오는게 감격스럽다가, 이제는 논문 쓰는 요령도 터특했겠다.
다음 step인 탑급 저널 출판, 실용연구, 인맥 형성에 도전하는거죠
2020.10.26
조언 감사드립니다...대학원에서 탑저널 터지는 후배보니까는 지금까지 논문을 써온 노력은 허사에 불과하다는 생각밖에 안들어요ㅠㅠ..인맥은 만들고 싶은데 코로나때문에 비대면 연구중이라(해외포닥) 누굴 만나질 못해요 ㅠㅠ..거기에, 이제는 제가 실력없는 사람인거 같아 누군가를 자신있게 만나기도 힘들어요...차라리 7년이라는 시간을 열심히놀고, 논문도 한두편정도만 쓰고, 공부는 하고싶은거만 했음 지금같은 후회도 없을텐데 말이에요ㅠㅠ
Karl Lagerfeld*
2020.10.26
이론 연구라 ㅎㅎ
2020.10.26
나이 서른에 이론물리 박사... 대단하시네요
Henri Moissan*
2020.10.26
해외에 혼자 있어서 더 그런듯합니다.
외로우면 하던 연구나 하던 일도 슬럼플르 겪죠 ㅠㅠ
2020.10.26
그래서 결혼이 답..
2020.10.26
ㄴ결혼이 복불복 더심하다든데 차라리 ㅅㅍ가 낫지않나
Jean Baudrillard*
2020.10.26
이론물리는 논문 쓰기 힘든거 모르고 시작한건 아닐텐데. 전문연 했으면 솔직히 빠른 나이도 아니고.
2020.10.26
Jean Baudrillard 처음에는 재밌겠다싶어서 했는데, 흥미와 노력으로는 커버못 할 재능이 있네요ㅠㅠ
2020.10.26
Jean Baudrillard 전문연을 하는경우는 28세에 박사도 따는걸 봤어요ㅠㅠ 저도전문연 했으니 많이 늦었죠
Jean Baudrillard*
2020.10.26
빠르지 않다고 했지 늦었다고는 안했는데요. 보통 물리학과는 30-31살정도에 학위받는데.
이론쪽은 좀 빠르기 때문에 28-29 에 받는 애들도 많긴하지만 주류는 아니죠.
근데 벌써부터 이렇게 흔들린다면 진로 고려를 해봐야 할듯. 일이년 지나면 동년배중에 교수 되는 사람 막 나오기 시작할텐데 그때 버틸 수 있을지.
2020.10.26
Jean Baudrillard 그래서 빨리 진로를 바꿀지 고민하고 있어요ㅠㅠ
John C. Slater*
2020.10.27
이론물리가 실험물리보다 훨씬 더 재능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Johannes Bosscha*
2020.10.27
자리잡으면 아 지금까지 논문쓴 보람이 있구나 할거야
2020.10.27
John C. Slater 그런말은 한적 없어요ㅠㅠ 주변에 실험물리하는 친구들 고생하는거 많이 봤어요ㅠㅜㄴ 그냥 제 연구에 한정해서 부질없다는 말이었어요ㅠ
John C. Slater*
2020.10.27
ㄴ 아뇨 궁금해서 여쭤본거에요. 저는 실험하는데 이론은 특별히 다른 재능이 필요한가 싶어서요.
2020.10.27
John C. Slater 실험이냐 이론이냐에 상관없이, 자기만의 스토리를 갖는 연구를 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다른 사람의 스토리를 확장하여 연구하다보니까 실적은 많아지는데, 그 대신 저의 고유한 것이 없더라고요...그리고 한가지 더..나이와 논문 수는 숫자에 불과한거같아요ㅠㅠ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6
2020.10.27
2020.10.27
2020.10.27
2020.10.27
202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