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요즘 연구에 회의감이 듭니다.

2020.10.26

19

10304

올해 포닥 1년차 막 시작한 프레쉬 박사입니다.

나이는 서른 둘이고, spk가 아닌 곳에서 이론물리로 박사를 취득했습니다.

대학원 기간에는 성과가 자꾸나와서 논문 실적도 많아져 뿌듯했었는데, 요새들어서는 단순히 논문 편수를 늘리는게 그리 큰 의미인가하는 생각이 드네요ㅠㅠ...

비록 편수는 많지만 저널 IF가 고만고만해서, 왠지 논문공장이 되어가늑 듯한 제 자신에 회의감이 듭니다..잠깐 쉬면서, 연구에 있어서 재능이 없다고 생각이 들면 학자의 길을 가지 않는 것도 나쁘지 않은 생각이라고 듭니다..

나이는 자꾸 먹어가는데 주변에서는 탑급 저널 한두편은 나오고, 인맥도 빠방해서 자리도 잡아가는데, 저는 사회성도 나빠서 인맥이랄거도 없네요ㅠㅠ...

주변에 얘기할 곳이 없어서 여기에 이야기합니다ㅠㅠ 긴이야기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Jean-Antoine Watteau*

2020.10.26

다들 비슷합니다.. 탑저널 일찍 터지냐 늦게 터지냐의 차이일 뿐

2020.10.26

저도 비슷한 입장이네요ㅠㅠ 우리인생 화이팅ㅜㅠ

2020.10.26

다 그렇게 발전해나가는거 아니겠습니까
대학원생 초반에는 논문 한편 나오는게 감격스럽다가, 이제는 논문 쓰는 요령도 터특했겠다.
다음 step인 탑급 저널 출판, 실용연구, 인맥 형성에 도전하는거죠

2020.10.26

조언 감사드립니다...대학원에서 탑저널 터지는 후배보니까는 지금까지 논문을 써온 노력은 허사에 불과하다는 생각밖에 안들어요ㅠㅠ..인맥은 만들고 싶은데 코로나때문에 비대면 연구중이라(해외포닥) 누굴 만나질 못해요 ㅠㅠ..거기에, 이제는 제가 실력없는 사람인거 같아 누군가를 자신있게 만나기도 힘들어요...차라리 7년이라는 시간을 열심히놀고, 논문도 한두편정도만 쓰고, 공부는 하고싶은거만 했음 지금같은 후회도 없을텐데 말이에요ㅠㅠ
Karl Lagerfeld*

2020.10.26

이론 연구라 ㅎㅎ

2020.10.26

나이 서른에 이론물리 박사... 대단하시네요
Henri Moissan*

2020.10.26

해외에 혼자 있어서 더 그런듯합니다.
외로우면 하던 연구나 하던 일도 슬럼플르 겪죠 ㅠㅠ

2020.10.26

그래서 결혼이 답..

2020.10.26

ㄴ결혼이 복불복 더심하다든데 차라리 ㅅㅍ가 낫지않나
Jean Baudrillard*

2020.10.26

이론물리는 논문 쓰기 힘든거 모르고 시작한건 아닐텐데. 전문연 했으면 솔직히 빠른 나이도 아니고.

2020.10.26

Jean Baudrillard 처음에는 재밌겠다싶어서 했는데, 흥미와 노력으로는 커버못 할 재능이 있네요ㅠㅠ

2020.10.26

Jean Baudrillard 전문연을 하는경우는 28세에 박사도 따는걸 봤어요ㅠㅠ 저도전문연 했으니 많이 늦었죠
Jean Baudrillard*

2020.10.26

빠르지 않다고 했지 늦었다고는 안했는데요. 보통 물리학과는 30-31살정도에 학위받는데.
이론쪽은 좀 빠르기 때문에 28-29 에 받는 애들도 많긴하지만 주류는 아니죠.

근데 벌써부터 이렇게 흔들린다면 진로 고려를 해봐야 할듯. 일이년 지나면 동년배중에 교수 되는 사람 막 나오기 시작할텐데 그때 버틸 수 있을지.

2020.10.26

Jean Baudrillard 그래서 빨리 진로를 바꿀지 고민하고 있어요ㅠㅠ
John C. Slater*

2020.10.27

이론물리가 실험물리보다 훨씬 더 재능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Johannes Bosscha*

2020.10.27

자리잡으면 아 지금까지 논문쓴 보람이 있구나 할거야

2020.10.27

John C. Slater 그런말은 한적 없어요ㅠㅠ 주변에 실험물리하는 친구들 고생하는거 많이 봤어요ㅠㅜㄴ 그냥 제 연구에 한정해서 부질없다는 말이었어요ㅠ
John C. Slater*

2020.10.27

ㄴ 아뇨 궁금해서 여쭤본거에요. 저는 실험하는데 이론은 특별히 다른 재능이 필요한가 싶어서요.

2020.10.27

John C. Slater 실험이냐 이론이냐에 상관없이, 자기만의 스토리를 갖는 연구를 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다른 사람의 스토리를 확장하여 연구하다보니까 실적은 많아지는데, 그 대신 저의 고유한 것이 없더라고요...그리고 한가지 더..나이와 논문 수는 숫자에 불과한거같아요ㅠ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