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난이도) 서울대 공대 석사 입학 vs 학부졸업 후 대기업 연구개발 입사

2025.10.26

15

5299

둘 중 어느것이 더 난이도 높다구 보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5.10.26

BEST 연구개발 입사요.

대댓글 2개

2025.10.26

삼전 현차같은 메이저 대기업 아니어두요?

2025.10.26

그래도 대기업이잖습니까.
대기업 국내에 몇개 없습니다.
어디라도 들어가시면 잘 한거죠

2025.10.26

둘다 학부 어느 학교 출신이냐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지긴 하겠지만
인서울 중위권 대학이라 쳤을때 난이도 비슷하다고 봄

대댓글 2개

2025.10.26

인서울 중위권 기준입니다

2025.10.26

전자는 사실상 학점만 잘 따면 되니 후자가 훨씬 힘들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인서울 중위권에서 SPK 가려면 학점 4.2는 나와야 합니다 그거 자체가 매우 쉽지 않죠

2025.10.26

연구개발 입사요.

대댓글 2개

2025.10.26

삼전 현차같은 메이저 대기업 아니어두요?

2025.10.26

그래도 대기업이잖습니까.
대기업 국내에 몇개 없습니다.
어디라도 들어가시면 잘 한거죠

2025.10.26

후자가 당연히 압도적으로 어려운데, 학부생이 대기업 연구소 입사해도 한 5~6년 다니면 현타 씨게온다.

적응 끝나고 돌아가는거 대충 파악해서 일 열심히 잘해도 이제 겨우 대리/선임 달고 있는데, 아무것도 모르는 동갑 혹은 어린 박사가 과장/책임으로 와서 가르쳐줘야하고, 1년 있으면 업무 완전히 잡아먹힘.
나는 언제 책임 달고 파트장/팀장 해보나 싶고, CPO쪽으로 인사 이동 필요해서 팔려갈때도 박사급은 은근 열외시켜주고.. 무튼 그럼.

대댓글 1개

2025.10.26

삼전 현차 하이닉스 같은 메이저 대기업 아닌
적당한 대기업이라도 후자가 압도적으로 힘든가요)

2025.10.26

ㅋㅋㅋㅋㅋ SPK 좋은 연구실 가면 취업 못해서 대학원 오는 사람 거의 없어요

2025.10.26

spk 좋은연구실 아니라 아무연구실 이라하면 후자가 어렵습니다. 인기랩은 자대생 많고 학벌컷도 있어서 전자가ㅜ어려울듯

2025.10.26

후자는 시대가 끝났습니다.. 전자도 이후에 뭐할지 생각해야되는 세상인데요

2025.10.26

대기업가는게 훨씬 어려움 ㅋ SPK에서도 도피성 석사 개많음

2025.10.27

저는 준비했을 때 둘 다 합격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전자가 조금 더 어려운 것 같아요.. 후자의 경우에는 직무가 이미 고정되어 있어서 ‘가능하냐, 불가능하냐’의 문제인 것 같은데 전자는 합격하더라도 원하는 연구실에 배정되지 않을 수도 있거든요

물론 두 분야 모두 스펙을 중요하게 본다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차이를 꼽자면 대학원 쪽은 학점을 많이 보고 자격증을 거의 보지 않는 반면,
후자는 자격증을 꽤 중요하게 평가한다는 점 정도인 것 같아요

2025.10.27

학부 출신으로 대기업 입사하면 결국 ‘연구’가 아닌 ‘개발’에 머물기 때문에 후자는 불가능한 수준이죠.

2025.10.27

후자가 압도적이죠. 취업 지원한번 해보세요. 상시채용 + 경력직 채용이 대세인 상황이고, 대졸공채 뜨더라도 중고신입 파티라 학부 졸업후 바로 대겹 직행 엄청 어렵습니다..... 반도체 분야 제외하고 AI도 요새 학부 졸업후 바로 대겹가는거 엄청 어려운듯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