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지인이 구술고사 과목 2개중 하나의 과목만 문제풀고 대답을 했다더군요 근데 결국 대학원 입시를 붙었어요
과목이 2개였는데 하나도 못푼건 과락이 되어야 맞는것 아닌가요? 아무리 교수랑 사전에 컨택이 되었다곤 하지만 의문이네요
구술고사 전형 때는 교수와의 컨택 유무가 최종결과에 영향을 준것 아닌이상 붙은게 말안되는데 구술고사 전형엔 적어도 공정성을 위해 영향을 주면 안되는것 아닌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5.10.26
BEST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2025.10.25
딱 고등학생 마인드네 ㅉㅉ
대댓글 3개
2025.10.25
제가 진짜 고등학생 마인드라면 어떤 부분에서 그렇게 느끼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ㅠ
2025.10.25
하나만 들어봐도 수준을 알 정도였나보지
2025.10.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대학원은 직원뽑는거랑 같은거야 사장 마음에 들면 합격이지
2025.10.25
넵! 맞습니다! 신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5.10.25
교육부 민원 ㄱㄱ
대댓글 1개
2025.10.25
무시하면 청와대 국민청원 ㄱ
2025.10.26
지인이 서울대 붙어서 배아픈건 이해하겠는데 뭐 공정성 어쩌고 하는건 어이가 없네
다른 학생들이 모든 과목 다 풀고 스펙 빵빵한데 떨어진거면 불공정한거 인정해주는데 그런정황 잘 모르면서 그런말 하는건...
대댓글 1개
2025.10.26
요즘 엠지세대 공정이란 단어가 딱 이런 의미인가봐요
2025.10.26
그래서 서류는 똑같으십니까
2025.10.26
뭐가 고등학생 마인드냐면, 어떤 공정하고 절대적인 시험 (i.e. 수능) 이 있어서 해당 시험의 성적 순으로 사람을 줄세울 수 있다고 믿는게 한국식 입시생 마인드입니다. 과목 두 개중 하나만 답변을 했는데 해당 답변이 매우 우수했다면, 혹은 다른 과목이 해당 학생의 지망 연구와 전혀 연관이 없다면? 아니면 교수와 컨택하는 과정에서 오랜 기간 교수와의 토론과 면접으로 본인의 우수성을 충분히 입증했는데 면접에서는 하필 모르는 질문이 나와서 망쳤다면, 떨어지는게 공정한가요? 그것이 '시험' 이니까? 서울대의 목표는 우수한 학생을 뽑는거지, 구술고사를 잘 보는 학생을 뽑는게 아닙니다. 미묘한 차이인데, 사실 심사당하는 입장에서는 납득하기 어렵기도 하죠.
2025.10.26
서울대 총장실 찾아가서 단식투쟁하면 됩니다
2025.10.26
그놈의 '불공정'. 그 지인분은 미리미리 교수님과 컨텍하고 자기를 증명하는 노력을 했던거고. 그 정도 노력도 하지않고 합격하기를 바라는 분도 불공정 아닐까요? 시험도 꼭 답을 적어내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을지도 모르구요. 아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논리적으로 자세히 설명하는지. '모르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겸허히 모른다고 할 수 있는지'가 평가 지표였을 수도 있죠
2025.10.26
좌파정권이라서 제2의 조국, 조민이 나타나게되는건 당연한 이치임. 이래서 투표를 잘해야돼
2025.10.26
서울대는 컨택유무랑 상관없이, 구술 면접통과 후에 1지망 교수님께 연락을 드려 합불을 정합니다.
2025.10.27
서울대는 면접에서 c를 받으면 다른 어떤 성적들이 좋아도 그냥 탈락입니다. 아마 하나를 잘 대답해서 c를 면하고 나머지 성적들로 합격했겠죠
대댓글 1개
2025.10.27
두 과목 중 하나 대답을 아예 못하면 당연히 C 아닌가요?
2025.10.27
못생긴 남자와 예쁜 여자 커플도 불공정한 거 아님? 객관적 기준으로 볼 때 너가 훨 잘생기지 않으심? 일례로 키도 크고 말이야. 근거자료 준비해서 언론플레이 시위 및 소송한 다음 마음에 드는 여자 뺏어 오세요. 그런게 정의 아니에요?
말나온김에 요즘 분위기가 공정 따지는 건 좋은데 정의라는 건 참가자가 다 합의하는 객관적 기준이 있어야 하는 거임. 근데 여기서 자신의 주관적 기준을 타인에게 강제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케이스가 많은게 요즘 심각한 문제라고 봄. 강제하는데 힘이 모자라니 요즘은 포장 잘해서 공권력을 또 잘 이용해먹지. 그 와중에 교수들은 학생 신경 더 안써요. 저런 제자 뽑거나 엮였다가 민원 하나 들어가면 몇년 연구할 시간에 없는 소득 변호사비로 날리거든. 저런 학생이 논문 지체되면 과연 가만히 있을까?
2025.10.27
많이 어리구먼 세상은 원래 불공정해. 딱 10대 까지가 공정한 사회임. 이후부터는 불공정한 걸 깨닿는 사람들이 유리한 사회임. 그리고 님한테는 컨택 기회 없었음? 누구나 다 그 기회가 있었는데 안 쓴 사람이 문제임.
2025.10.26
2025.10.25
대댓글 3개
2025.10.25
2025.10.25
2025.10.26
2025.10.25
2025.10.25
대댓글 1개
2025.10.25
2025.10.26
대댓글 1개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7
대댓글 1개
2025.10.27
2025.10.27
2025.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