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PR 최소 한편은 써보시고 의미없다 하시는건지^^;; 글로벌 기업들이 기술 보호 위해 특허가 선행인건 맞지만 논문을 안낸다고 그게 의미가없다뇨.. 반도체 인공지능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등 관련한 주제로 네이쳐 사이언스 나오는 논문들은 의미가 없는 것인지요?
연구가 있었기에 지금의 기업들이 있는겁니다. 스타트업조차도 선행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하는 시스템이고요. 당장의 연구가 돈이 안되더라도 먼 훗날엔 누군가 참고하고 더 좋고 새로운 결과를 내는 것이지요^^ 편협한 시각을 버리시길
대댓글 3개
명석한 피에르 페르마*
2025.03.25
네이쳐랑 cvpr 동급 아니에요 차원이 다릅니다 ㅋㅋ
2025.03.25
??? 그런의미로 쓴글은 아닌데요.. CVPR이든 네이쳐든 회사가 논문 안낸다고해서 논문이 의미가없다면 최고 존엄인 네이쳐사이언스도 의미없다고 할거냐라는 의도입니다만..
2025.03.26
ㅋㅋㅋㅋ피해망상에 쩌들어있네
2025.03.25
투자나 경영 해본적 없으시죠. 애플이 왜 뒤쳐진단 얘기가 나왔는데;;
2025.03.25
세상 연구가 AI만 있는것도 아니고...^^
대댓글 1개
2025.03.31
22222 좁아도 너무 좁은 원글
2025.03.25
빅테크도 석박뽑을 때 논문 없는 애들 안뽑음
2025.03.25
논문 안 쓰는건 기업이고, 너는 학생이잖아.
대댓글 1개
2025.03.26
우문 현답이고
2025.03.25
제조 기술의 발전은 굉장히 원리적인것을 어떻게 하면 상업적으로 그리고 효율적으로 양산화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으로 부터 나옵니다. 거의 신문 찌라시 어그로급 글이네요
2025.03.26
토익 점수와 영어 실력이 관계없다고 당당하게 400점으로 제출하는 거랑 똑같은 거임. 가라치기 탑컨퍼런스 좀 있다고 무작정 우수한 리서쳐라고 볼 수는 없지만, 반대로 그것마저도 없는 사람들을 필터링하기엔 매우 유용한 게 사실임.
2025.03.26
예시도 드럽게못드는게 반도체면몰라도 cs만큼 학계에 잘 오픈되어있는곳이 얼마나된다고
2025.03.26
ㅋㅋ무식
2025.03.26
특허로 기술을 보호받고자 하는거 또는 논문을 통해 내꺼라고 주장하는것 모두 기술발전하는데 도움이 되지않습니다 그냥 다 오픈하고 나는 계속 앞으로 나가는게 승리자죠ㅋㅋ 탑급회사는 특허를 출원하지 않습니다 돈주고 사죠 글쓴이는 그냥 소시민으로 사는 사람인것 같네요 그냥 월급만받는 ㅎㅎ 위쪽세계는 다르니 얼른올라오십쇼 능력이 되어야 하겠지만?ㅋㅋㅋ
2025.03.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논문 쓰기 싫어서 생각해낸게 고작.....
대댓글 1개
2025.03.2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터짐ㅋㅋㅋㅋ
2025.03.26
실용성이 없으면 논문은 의미 없다는 마인드네 그런 편협한 마인드로 연구는 왜 하냐
2025.03.26
점점 이상한 사람들이 늘어나는 것 같다. 아니면 쥰나 많았는데 이런 익게가 없어서 안보였던 것인가....
2025.03.26
쓰지마세요 그럼 ㅋㅋ 대학원생 아니고 기업 연구소장이신가봐
2025.03.26
일부 맞고, 많이 틀려요. 특히 본인에게는. 구글도 아닌데 논문안써요?
2025.03.26
네! 님 말이 맞아요!^^
2025.03.26
논문 잘 쓰고 많이 쓰는 애들은 이런 말 안함 ㅋㅋ
2025.03.26
탑급 글로벌 기업 중에서도 탑급인 몇몇 기업 랩실 보면 논문 공장처럼 찍어냅니다
2025.03.27
일단 자연과학이나 바이오 같은 분야는 아직도 학계가 리딩한다고 보고. 컴퓨터 아키텍처나 칩, 혹은 AI 알고리즘 분야는 확실히 인더스트리가 리딩하고 있는게 맞긴 한 것 같음. 다만 그렇다고 논문이 의미 없는 건 아닌게 그 와중에 학계에서도 제한적인 리소스로 실험 가능한 유의미한 결과물이 많이들 나오고 있음.
모델 관점에서 보면 당장 작년에 Mamba나 Gaussian splatting 같은 논문이 나와서 기업들도 이런 것 보고 자사 모델을 바꾸고 있고. Song Han 연구실같이 efficient AI 쪽으로 SOTA 모델들 계속 갱신하는 연구실도 있고. 시스템 관점에서는 flashattention이나 vLLM 같은 llm framework는 연구실에서 나왔지만 기업들도 싹 다 가져다가 쓰고 있고.
기업이라고 뭐 괴물들이 어디서 생기는게 아니라 다 학계에서 박사과정 마친 사람들 중 잘하는 사람들이, 학계 논문 보고 만드는거임. 초거대 모델이나 reasoning model, training 최적화 뭐 이런 부분들 제외하면 기업이 할 수 없는 분야도 많음
대댓글 1개
2025.03.27
난 본 전공은 컴퓨터 아키텍처긴 한데 이 분야는 실제로 논문이 산업계에 적용이 잘 안되어서 의미가 크지 않음. CPU, GPU, Memory 메이커 죄다 따로 있고 학계는 그냥 특수 케이스에 대해 성능 분석 같은거 진행함. 그럼에도 논문이 여러 분야에 대해서 bottleneck이나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하다 보니 아예 의미가 없진 않음. 기존에 기업들이 인식하고 있지 못한 포인트들을 알려주는 좋은 논문도 가끔 나오고, 실제로 논문에서 시작해서 인더스트리에 먹히는 제품을 만드는 경우도 있고.
이런 의미론적인 걸 떠나서도, 논문 실적 없는 석박사는 그냥 좋은 연구자 대우를 받기 어려움. 인더스트리가 리딩하는 분야더라도 학계에서 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 제한된 환경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유능한 연구자인거지
2025.03.27
안쓰시면 됩니다! 화이팅!
1. 요즘 다이어트 필요없는 이유! 지방흡입하면 됨. 2. 요즘 학교 안가도 되는이유! 챗지피티가 다 알려쥼 3. 헬스 왜해! 주사 맞으면 근육 붙어 4. 요리 왜 배워? 배민이 있는데 5. 운전 왜 배워? 택시랑 버스 있는데
2025.03.27
기업에서 공개를 안하니까 아카데믹에서 하는거지 바보야 ㅋㅋㅋ
2025.03.27
맞음ㅋㅋ 나도 회사 들어가보니 진짜 중요한 기술은 논문 절대 안 내더라구요ㅠㅠ
2025.04.02
딥러닝쪽에서 논문 실적은 토익같은 겁니다. 토익이 영어 실력을 증명하는 건 절대 아니지만, 그렇다고 토익 점수가 200점인 사람을 기업이 뽑아갈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2025.04.02
와 탑급 글로벌기업 기술사업본부장님 말씀 잘들었습니다. 네? 아니라고요? 그냥 학생이라고요?ㅋㅋㅋㅋㅋㅋ
2025.03.25
대댓글 1개
2025.03.26
2025.03.25
대댓글 3개
2025.03.25
2025.03.25
2025.03.26
2025.03.25
2025.03.25
대댓글 1개
2025.03.31
2025.03.25
2025.03.25
대댓글 1개
2025.03.26
2025.03.25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대댓글 1개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6
2025.03.27
대댓글 1개
2025.03.27
2025.03.27
2025.03.27
2025.03.27
2025.04.02
2025.04.02
2025.04.03
대댓글 1개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