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지방대 석사 vs 서울대 석사

2025.05.28

16

8182

지금 지방대에서 학석사 통합과정을 하고 있는 한 학생입니다. 토목공학과를 다니고 구조연구실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3학년때부터 근무하였는데요. 학석사 통합과정에서 이번 학기에 학사 졸업을 하고 석사 진학예정에 있습니다. 솔직히 꿈이 크긴하지만 대기업에 취업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석사를 서울대로 가볼까 했습니다…(교수님 컨택 O)
하지만 여러가지 고민이 들더군요…

1. 현재 상태에서의 메리트
지금 저희 교수님은 방목형으로 어떻게 보면 취업준비하기에 편한 상황입니다. 저의 상황을 잘 알고 이해해주는 교수님이라 일을 빡세게 굴리지않습니다. 현재 교수님도 입지가 있으신 분이고 저희에게 많은 기회를 주려고 합니다. 그래거 취업과 연구실 활동을 적당히 타협하여 생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대로 가게 된다면 취업<<<<연구에 포커스가 맞춰질것 같고 박사보다는 취업이 더 하고 싶기에 걱정되는 부분입니다.

2. 차별
뭐 랩바랩이겠지만 차별적인 부분에서도 배제할 수 없는건 사실이라 생각합니다. 저 또한 학벌 세탁 느낌으로 서울대를 가고 싶은건 부정할 수 없습니다. (차별 당해도 노상관이긴 함)

3. 취업시 이득?
현실적으로 학부-지방대, 석사-서울대 이게 큰 메리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서울대 대학원 비하 목적XX) 지금 학석사 통합으로 하면 1년이라는 시간을 쓰는것이고 서울대로 가게 된다면 최소 2년은 걸려 시간적인 부분에서도 비용적인 부분에서도 부담이 됩니다. 그리하여 취업할때 대학원 학벌이 크게 지장을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4. 연구
제가 연구를 함에 있어 서울대 대학원의 수업을 따라가고 2년이라는 시간내에 제가 끝낼 수 있을지 제 능력의 한계치도 잘 모르겠습니다.

5. 비용
저는 지방에 살다보니 서울로 올라가면 방세와 대학원 등록금도 걱정이 됩니다. 아버지의 도움은 있겠지만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투자비용이다 보니 부담스럽고 제가 취업하면 들지 않았을 비용이란 생각에 죄송스럽습니다.

여튼 여러가지 상황에서 장단점은 있지만 걱정이 되서 글을 올려봅니다…
객관적인 시선으로 날카로운 말도 다 받아들이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5.05.28

BEST 흠 제 분야가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석사 학교 정도로는 학교 세탁 불가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박사까지하면 모르겠는데 석사 정도로는 지방대 딱지 땔수 있다라는 희망 버리시는게 편합니다.
김박사넷 특성상 상위 학교 상향지원하려는 또는 하고있는 대학원생들이 많아서 생각보다 석사 학벌 올려치는 경향 있는데 현업에서는 결국 석사급은 학부학벌 봅니다.
그점을 참고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대댓글 2개

2025.05.28

석사 취업시 제일 중요한건 사실상 지도교수의 업계 평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방대에도 생각보다 업계 평이 좋아서 졸업생 현황 빵빵한 교수분들 많습니다.
학교 보다는 졸업생 현황을 보세요.

2025.05.28

지도교수님의 업계평가가 중요하다는 말씀과 졸업생 현황을 보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현재 선배님들 보면(학사졸업 포함) 공기업이나 중견급 회사는 들어가는데 대기업 들어가시는 분은 진짜 손에 꼽긴합니다. 플랜트나 큰 프로젝트을 맡아서 해보는게 꿈이라 대기업을 가고 싶은거긴 합니다. 아무쪼록 코멘트 감사합니다

2025.05.28

저는 참고로 여자입니다… 제 전공에서는 어찌 보면 불리하다고 할 수 있다 생각해서 참고사항으로 댓에 달아봅니다

2025.05.28

1. 학석사 연계로 시작해서 학사까지 졸업했는데 갑자기 그 연구실을 나가고 석사로 가는건가요? 같은 분야라면 이미지가 나빠질수 있고, 컨택된 교수님하고 현재 교수님하고 사이도 잘 확인해보세요.

2. 학석 연계가 학사하고 석사따로 하는것보다 1년 번다고는 하는데 저는 잘 모르겠네요.. 대부분 석사는 학부 학교보다 업그레이드해서 가서 2년하고 석사 받는 사람들이 대다수인데, 손해라고 생각 안하셔도 됩니다. 차라리 좋은 학교 석사가서 2년하면서 SCI 1편이라도(주저자) 내시면 취업 때 훨씬 더 도움되죠. 학석연계해서 1년 번다고 빨리 잡마켓에 나온다고 강점이 없습니다. 그 1년 동안 혼자 더 할수 있는건 영어 성적 따는거 정도 밖에 안하겠죠..?

3. 석사는 학교가 좋으면 이득이 많습니다. 특히, 연구실이 중요한데 취업, 특히 대기업이 목표시라면 연구실 졸업생 아웃풋 잘 보세요. 학교가 좋을수록 연구실들에서 석사출신인데 대기업 많이 보냅니다. 그러니 사람들이 석사는 좋은 대학으로 점프하려는거죠. (학부때 좋은 학교 나온거랑 달리 석사는 나 서울대 석사야. 한다고 취업시장에서 오오오 안합니다. 단지, 그 연구실 출신으로 교수님 네트워크의 힘들 빌려서 취업에 도움이 되는거죠. 이 차이를 잘 이해하셔야 합니다).

대댓글 1개

2025.05.28

아직 학사이고 석사 등록전입니다.(학석사 통합과정으로 신청한 상태) 자국 교수님이랑 서울대 교수님이랑 동문선후배라 다행히 친한 관계이시고 이번에 국제 세미나에서 저 또한 서울대 교수님께 인사드린 상황입니다(그때는 갈 생각이 없었지만) 논문 및 취업 관련 코멘트를 보니 뭔가 더 확신이 듭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2025.05.28

흠 제 분야가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석사 학교 정도로는 학교 세탁 불가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박사까지하면 모르겠는데 석사 정도로는 지방대 딱지 땔수 있다라는 희망 버리시는게 편합니다.
김박사넷 특성상 상위 학교 상향지원하려는 또는 하고있는 대학원생들이 많아서 생각보다 석사 학벌 올려치는 경향 있는데 현업에서는 결국 석사급은 학부학벌 봅니다.
그점을 참고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대댓글 2개

2025.05.28

석사 취업시 제일 중요한건 사실상 지도교수의 업계 평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방대에도 생각보다 업계 평이 좋아서 졸업생 현황 빵빵한 교수분들 많습니다.
학교 보다는 졸업생 현황을 보세요.

2025.05.28

지도교수님의 업계평가가 중요하다는 말씀과 졸업생 현황을 보라는 말씀 감사합니다. 현재 선배님들 보면(학사졸업 포함) 공기업이나 중견급 회사는 들어가는데 대기업 들어가시는 분은 진짜 손에 꼽긴합니다. 플랜트나 큰 프로젝트을 맡아서 해보는게 꿈이라 대기업을 가고 싶은거긴 합니다. 아무쪼록 코멘트 감사합니다

2025.05.30

경험상 석박사 학위는
어디서 했냐보다
누구와 무엇을 했냐가 더 중요합니다

2025.05.30

답없는 사람들이랑 있지말고 좋은 학교 가세요. 학교 안좋아도 실적 내면 된다 이러는 사람들 많은데 그건 김박사넷에 좋은 학부 다녀본 사람이 많지 않아서 그런거고, 좋은 학교가서 잘하는 사람들이랑 해야 배울것도 많고 합니다.

2025.06.01

석사는 학교덕을 보기 많이 어렵다고 생각하는게 결국 다들 비슷한 기업 가더라구요

2025.06.01

4번에 대해서 생활비랑 등록금 같은경우는
공대 대학원이면 웬만해서는 등록금은 학교에서 장학금 형태로 나옵니다.
인건비 나올텐데 그걸로 생활비 사용하심 되고
장학금이나 연구장려금 등등 알아보시면 되게 많아요.

또 서울대 갈 수 있으면 가세요(단, 지도교수나 랩 분위기등 컨택 잘하시고 잘 따져보고 가는게 나을듯 합니다)

2025.06.01

중요한건 지방대 학사가 서울대랩에가서 얼마나 잘 적응하냐가

2025.06.02

저는 학석사 동일한 학교에서 진행하고 운좋게 좋은 기업에도 들어갈수 있었지만 단호하게 이야기 하고 싶은건 취업할때 석사가 서울대인거랑 지방대인거랑 서류 붙는게 다릅니다.(석사를 좋은데로 간 친구들과 비교시)
그리고 평생 학벌때문에 아쉬워 할겁니다(내가 지금 그러니가)
그리고 박사를 할때 석사를 서울대에서 하면 박사 할수 있는 방법이 동대학원에서 할수 있는 가능성이 많으나 회사 다니면서 서울대에서 박사 학위 어려울거 같습니다.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1류대는 보통 연구 중심의 대학원이고 지방대는 약간 산학 중심의 과제 중심일을 하는 경향은 있는거 같습니다.

2025.06.02

이건 고민할거리가 아닌데.
무조건 서울대 석사지.

1. 서울대의 빵빵한 재정지원 = 압도적인 연구환경
2. 동료들부터 똘똘함 = 너무 좋은 주변환경
3. 석사라지만 서울대 간판이 없다고? 진짜 1도 없을거 같나요? 진짜로???
4. 추후 박사테크 맘 먹었을 때, 동대학원 진학을 쉽게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생활비랑 등록금? 서울대 공대 연구실 다니는데 지원금 하나 안나올까봐요? 안나오면 그런 거지 연구실 왜 가나요. 학생 생활지원금 하나 안나올 정도면 다른거 안봐도 뻔한데. 가면 생활비랑 등록금 지원 다 나올 겁니다.

이걸 왜 고민하나요??

2025.06.03

서울대는 서울대빼고 다 이질감 느낍니다.

2025.06.05

학벌 세탁: 안됨
취업, 박사, 유학 등의 가능성: 서울대
자대가면, 결국 서울대 못 간 사람이라는 인식 뿐일 수 있어요.
졸업생 진로 한번 보세요

2025.08.15

일단 세부 전공이 중요할 것 같은데.. 제 경험상은 서울대로 진학시 길게 봤을땐 1년이상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혹시나 석사하고 박사생각을 하면 무조건 가는게 맞고 그 외에도 대기업들어가기도 다소 (큰차이는 아닐 수 있음)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