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피규어나 잘 그리세요
연구실에 피규어 가져가도 되나요?
82 - 습작을 반복해야 대작이 나옵니다
그리고 실제 큰 임팩트를 줄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몇프로나 되겠나요?
언젠가 누군가가 당신의 논문을 보며 공부하고 영감을 얻는다면 그것 또한 공헌이죠
껍데기 연구를 하는 것 같습니다.
20 - GPT로 영어 표현 수정하는데 뭐라하는 놈들은 연구에 자신없는놈들일 뿐임.
논문 잘 못쓰던 사람이 GPT로 논문 잘쓰는거 보고 위기감 느껴서 그럼. 그냥 자기가 "연구" 자체를 잘하면 될것을...
무슨 영어 경진대회 할라고 박사받았는지 참..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23 - 미국에서 살거면 미박 한국에서 살거면 국박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삼전에서 국박 vs 미박 오퍼 차이를 듣고 나서는 무조건 미박이라고 생각합니다.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2 - ㅋㅋㅋ 남 물박사라 욕하지말고 본인이나 잘해여 ㅋㅋㅋㅋ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22 - 아니요 낮은 저널과 학회에 나오는 아이디어 99%는 탑티어 기술 적용해봤다 끝이고 의미없는 연구들이 99.99%입니다. 대기업 중소기업 개념이 아니라 그냥 디지털 공해입니다.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35 - 실력없는 교수들의 실적 챙기기 이외에 가치 없습니다 특히 ai라고 하면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6 - Mdpi 내면 평생의 족쇄입니다. 절대 내지마세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2 - 1. 과제 특성상 1년에 sci 몇편 써야하는 경우가 발생함. 이 경우 탑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좋지만 논문 작성, 투고, 리뷰, 게재까지 시간이 오래걸림. 그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중간한 아이디어나 조금 떼서 낮은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생김.
2. 실력적으로 부족한 경우. 최상위권 연구자가 아닌 경우 나름 연구를 진행하여 중위권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도 있음.
3. 졸업 시 논문 편수를 요구하는 경우. 석사의 경우 가끔 sci 논문 1편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이 경우 취직을 목적으로 하는 석사 또는 박사의 경우 논문의 퀄리티 보다는 기업의 채용 자리와 과제의 연관성 등이 더 중요하기에 논문은 그런저런 저널에 투고하는 경우가 있음.
4. 조교수 임용시 채워야하는 실적이 있음. 아마도 조교수가 되면 몇년 이내에 sci논문 몇편 채워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채우기 위해서는 빠른 리뷰의 저널을 찾게되는 경우가 종종 있음.
분야 바이 분야, 상황 바이 상황이고 모두가 탑컨퍼 탑저널에 내는 것이 좋겠지만 상황이 그렇게 만들어주지 않는 경우가 더러 있음.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7 - 모두가 높은저널에 내고 게재될수있는거면 그게 높은저널일까요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2 - 헛짓말고 현생사세요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19 - 댓글만 보면 여긴 다 이미 석학들이거나 예비석학들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13 - 북한도 아니고 다같이 으쌰으쌰에 안꼈다고 이상한 사람 만드는 연구실 문화가 더 문제
연구실 분위기는 누가 망치고 있는지 다시 생각해보시길
분위기가 망해버린 신생 연구실 탈출이 맞을까요?
14
학연생 무급
2025.08.22

주 20시간이상 연구과제에 참여합니다
-
9 11 6387 -
0 14 3914 -
0 8 4388
연구과제 관련 문의 김GPT 0 8 1121
근무시간 질문 김GPT 0 7 1998-
1 6 2747 -
0 5 293
연구 과제 김GPT 0 3 377
연구과제 참여실적 입력 김GPT 2 1 439-
137 28 13059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68 25 77178-
323 31 95269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연생 무급
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저의 30년 공부에 대한 이야기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길)
97 - (우울주의) 실패에 대하여
145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106 - 대학원생을 위한 화법 레슨
24 - 공부잘하는 사람들은 남한테 지는 거 싫어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일까요?
7 - 이제 누구한테 논문 넘겨주고 이런 거 못하겠네
27 - 교수님 조카랑 한판 함
24 - 40대 박사과정생 여자가 교수님 조교하며 느낀점
29 - 대학원 자퇴 그 이후
33 - 와씨 대학원 1학기 보내고 나니까 가스라이팅 집합체네
8 - 요즘 학생들의 기본마인드 제주변만 이런걸까요?
16 - 교수의 프로젝트 뒤통수
4 - 대학 교수 학력 입력에 "ㅇㅇㅇ대학교 ㄱㄱㄱ학과 석사/박사 " 에 대한 질문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171 - 아무것도 모르는 초짜 미국 박사지원 질문드립니다.
8 - GPT로 영어로 논문을 작성하거나 다듬는 것에 대해
15 - 수도권대 나와도 지거국 대학원가는게 전망좋으려나요
12 - 카이스트 ai반도체 대학원
14 - S대 전기과 컨택 후에도 불합격 할 수 있을까요?
15 - 연구실 내 인간관계-서럽고 아픕니다
22 - T50 권 박사 유학 vs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 진학
10 - 물박사도 논문 갯수 박치기 가능하네요
8 - 하면 안되는 행동이란 것을 아는데 하면 잘못, 정말 몰랐어서 하면 안되는 행동을 하면 실수
8 - 성균관대,한양대 석박통합 입학 스펙은 어느정도인가요?
12 - 낮은 저널에 논문을 내는 이유
22 - 컨택메일에는 석박통합 희망으로 썼는데 실제 지원은 석사로 해도 되나?
14
2025.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