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과 컨택 후 교수님께서는 이번 학기 학부 졸업 후 제가 석사로 들어올 것으로 확정 지어둔 상태입니다.
학부 졸업 전에 한학기 랩실 인턴으로 생활하고 있는데, 랩실 인턴 하면서 알게된 선배들이 모두 지금 이 랩실을 들어오는 건 가장 최악인 선택이라고 말합니다.
선배들이 말씀하시는 이유는 교수님의 인성부터 시작해서 많지만 한 가지 거슬리는 점은 논문을 너 혼자 써야 할 거라고 말하는 겁니다. 일단 박사생분들은 제 논문에 대해 도와줄 수 있는 분은 없는 것 같습니다.
석사선배님들도 대부분 졸업 예정이며, 교수님께서도 절대 논문을 도와주시는 분이 아니라고 합니다.
선배님들 말씀으론 혼자 졸업 논문을 쓰는 건 말도 안되게 힘든 일일 거라며 다들 이 랩을 들어오는 걸 말리는데
석사과정을 마음 먹었을 때부터 쉽고 편하게 할 순 없다고 생각했던 터라 선택을 무르는 게 맞는 건지 고민이 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2.11.07
고민할 것도 아닌 것 같은데요.
대댓글 2개
2022.11.07
어떤 점에서 그렇게 느끼시는 건지 물어봐도 될까요?
2022.11.08
선배도 아니고 선배'들'이 대놓고 오지 말라고 하잖아요?
고생한들 논문이라도 잘 나오면 참고 할텐데 논문 지도도 못 받는 랩을 왜가려고 하나요?
세심한 라이프니츠*
2022.11.07
이 글을 보고 희망을 품을 여지가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데, 극복할 생각을 하는 글쓴이 분께 진심으로 리스펙 보냅니다.. 혹시 소울류 게임 즐겨하세요?
대댓글 1개
2022.11.08
요즘 엘든링 감명깊게 하고 있으시답니다... 현실에서 ㄷㄷ
2022.11.07
논문은 처음에는 혼자 못 씁니다 끗
2022.11.07
저희 방은 석사들 혼자서 다 쓰고 나가는데
논문을 교수가 써주는 곳이 오히려 보기 힘들지 않나요??
선배들이 안도와준다고 말한게 교수님이 렙세미나 렙미팅 안 하시고 알아서 하라는 분위기면 실험자체가 힘들거 같긴함.
대댓글 1개
짓궂은 프란츠 카프카*
2022.11.07
학생이 처음에 써가더라도 교수가 봐주긴 해야죠.. 피드백 전혀 없으면 석사 혼자 퍼블리시 할만한 텍스트 쓰기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IF : 1
2022.11.08
혼자하는게 도움은 많이 됩니다. 한번 써보면 다음부터 논리적으로 스토리 구상하는데 많은 도움이 돼요. 근데 논문 쓴거를 어디가 어떻게 잘못됐다, 뭐가 부족하다 봐줄 교수나 선배가 없으면 너무 힘들죠. 대학원 진학은 최대한 인턴해보고 하는걸 추천드리고, 내부 인원들이 오지말라고 하는곳은 절. 대. 가면 안됩니다.
2022.11.08
저는 이때까지 혼자서 다 썼습니다.
대댓글 4개
2022.11.08
탑티어 3개 (1~5위권) 세컨티어 10개(5~20위권) 저널1개 자랑 좀 하겠습니다... 힘들었습니다...
짓궂은 프란츠 카프카*
2022.11.08
궁금해서 여쭤보는건데, 그럼 교수님은 뭐하나요? 자기 이름걸고 나오는 논문 조차도 관심이 없는건가요?
2022.11.08
조롱하려고 댓글단게 아닙니다. 너무 힘들었어요 지옥같이. 교수님 논문 들고가면 오탈자만 지적하십니다. 내용은 모르거든요.
2022.11.08
좋은 교수님 밑이었다면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을 겁니다. 좋은 연구실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졸린 존 스튜어트 밀
IF : 1
2022.11.08
저도 거의 아무것도 피드백해주지 않는 + 박사 선배 없는 연구실에서부터 혼자서 나름 좋은 페이퍼들 쓰고 졸업했지만..
솔직히 '그게 좋은 방식이었나?'라고 물어보면 그리 긍정적인 대답을 해주지 못할 것 같습니다. 과정적으로든 결과적으로든요. 제3자가 논문 보면서 '이 인간은 혼자서 맨 땅에서 시작해서 썼군'하면서 아무도 그 고생 알아주지도 않습니다. 내 진짜 실력으로 남는다고 말들은 하지만, 냉정하게 제가 봤을 때 그 원하는 실력을 갖추기 이전에 받는 고통이나, 낙오하는 사람들이 훨씬 더 많은 것은 애써 외면하고요. 왜 대다수의 학생들이 랩을 고를 때 논문 지도력을 보는지, 그리고 최악의 선택이라고 말들을 하는지 다시 한번 살펴보세요.
대댓글 1개
2022.11.08
이게 맞는말..
점잖은 존 폰 노이만*
2022.11.08
솔직히 말해서 제 경험상 연구의 성공에서 PI가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입니다. 물온 혼자서도 몇년간 맨땅에 헤딩하고 리뷰어들한테 깨져가면서 논문 쓸 수는 있는데... 그건 박사 말년차에 해도 될일이고, 석사가 홀로 좋은 논문을 쓸 확률은 너무 희박합니다.
2022.11.08
윗댓 중에도 있는데 내부 인원이 적극적으로 말리는 랩실은 정말 비추입니다.
논문을 '쓰는 것' 자체는 혼자 하는게 맞는데 이 과정에서 피드백이 아무것도 없다는 말씀인가요?
교수가 안 봐줘도 석사 논문 자체는 대충 OK 해주는 사람이라 그냥 그런 식으로 졸업만 해도 된다면 상관 없겠지만
본인이 연구, 실험한 결과물을 저널에 내고 싶다면 다시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논문을 퍼블리시한 경험이 없는 사람이 혼자서 초록쓰는 것부터 끝까지 쓰고 그걸 혼자서 수정하면서 저널에서 받아줄 수 있을 정도로 쓰는건 굉장히 어렵다고 봅니다.
경험이 없는 사람이라도 논문을 많이 읽고 공부한다면 영어로 논문식의 문장과 단어를 구성해서 각 단락을 하나하나 써가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습니다. 단, 내용물의 완성도와는 별개입니다.
구조를 잡아주고 figure의 디테일한 부분을 수정하고 심지어 데이터를 설명하는 방식이나 순서까지 아무리 논문을 많이 읽었어도 실제로 써서 퍼블리시까지 해보지 않은 사람이 하기 어렵습니다.
대댓글 1개
2022.11.08
그리고 본인이 책임지고 관리 하에 둔 학생들의 논문을 제대로 피드백해주지 않는 교수가 학생 개개인의 실험 결과와 방향성을 제대로 피드백해줄 거라고는 생각이 되지 않네요.
2022.11.08
이 상황에서 고민 씩이나 하는게 신기..
직설적인 버트런드 러셀*
2022.11.08
뭔가 글쓴분이 핀트를 잘못 잡고 있는데
님이 집중해서 들어야할 말은 논문을 혼자 쓸수 있는가가 아니라
[들어가려는 랩 연구원들이 오지 말라고 한 거] 입니다.
논문 뭐 혼자 쓸수도 있고 못쓰는 사람도 있죠.
근데 왜 본인들 연구실에 들어오지 말라는지 고민해볼 필요는 있어요.
뭐 그 중 하나가 논문을 혼자써야하다겠지만... 보통 더 근본적인 이유가 있죠.
2022.11.09
논문 혼자쓰는게 어려운일은 아닙니다..
평소에 디스커션하고 논문들어갈 데이터 피규어 정리하고 그림하나씩 설명하면 끝인걸요? 초안은 혼자쓰고 학생들 포닥껴서 돌려보면서 첨삭하고 교수가 한번 확인하고 서밋하는게 보통이라 생각합니다...
데이터 이거측정하고 저거측정햇으니 누가 써줘야된다 라고 생각하면 조금 곤란하고... 초안 쓰는사람이 1저자 가져갑니다
대댓글 1개
2022.11.14
이 정도 도움이면 혼자 쓴다고 할 수 없죠 ㅎㅎ
엉뚱한 로버트 후크*
2022.11.09
논문은 원래는 혼자 쓰는 건데. 요즘은 교수가 다써주니. 에효.
2022.11.09
논문은 혼자 쓰는게 원래 맞아요, 피드백 요청해서 교수님이 피드백 이쁘게 주는 교수님은 반의 반도 안될거에요. 근데 모두가 오지말라는랩은 생각을 해보긴 해야됩니다.
2022.11.07
대댓글 2개
2022.11.07
2022.11.08
2022.11.07
대댓글 1개
2022.11.08
2022.11.07
2022.11.07
대댓글 1개
2022.11.07
2022.11.08
2022.11.08
대댓글 4개
2022.11.08
2022.11.08
2022.11.08
2022.11.08
2022.11.08
대댓글 1개
2022.11.08
2022.11.08
2022.11.08
대댓글 1개
2022.11.08
2022.11.08
2022.11.08
2022.11.09
대댓글 1개
2022.11.14
2022.11.09
2022.11.09
2022.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