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제가 기계공학부 학생입니다

2021.12.24

7

2607

서울 중상위권? 기계공학부 학생인데

대학원을 물리학과 쪽으로 해서 좀 딥하게 공부를 하고싶습니다.

근데 기계공학부 대학원 인턴 1년해보고 물리학과 인턴 1년 이렇게 해보고싶은데

그렇게 하는게 도움이 될까요? 아니면 그냥 기계공학부 인턴 2년 하고 기계공학부로 진학하는게 무난할까요??

일단 기계공학부는 1학기 인턴 계약이 되긴 했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1.12.24

뭐든지 다양한 경험을 하는건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deep 한 공부가 어떤 분야냐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2.24

같은 분야쪽입니다 nano design 분야,,,?
재밌는 임마누엘 칸트*

2021.12.24

nano design이 무슨 분야인지는 모르겠지만,
물리학과 쪽으로 deep하게 공부하시려면, 최소한 물리학과 주요과목들은 책을 한권 이상씩 보셔야 할 거 같습니다.

아마 양자역학, 고체물리, 전자기학 최소 이정도는 하셔야 할 것 같아 보입니다. 실험기구 조작만 할게 아니라면요..

그 분야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서 뭐라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그냥 보기에는 인턴을 하실게 아니라, 물리학과 학부 교재들부터 하나씩 보는게 급할거 같아보입니다. (!) (단정적으로 드리는 말씀이 아닙니다.) 말씀하신 부분이 진심이라면요.

기계공학이랑 물리학을 둘다 전공해본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저의 현재와 미래는 물리학과에 속해있습니다.)

대댓글 4개

2021.12.27

진심의 조언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기계에서 물리 대학원 가는 경우가 흔한가요??
재밌는 임마누엘 칸트*

2021.12.27

그 반대는 많이 봤습니다. 학부를 물리, 박사를 공대에서 받고, 물리학과 교수가 되는 분들도 좀 봤습니다.

기계에서 물리 대학원 가는 경우도 봤는데, 그 사람은 석사에서 물리학과 인강도 찾아보고 해면서 공부하면서 석사는 무난히 마친거 같더라구요..

국내 탑스쿨 이상이 아니면, 열심히만 하면 크게 어렵지는 않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대학원생이 되어서 무난히 학위 받고 하지만, 그 대학원생들 모두가 학부수준의 내용을 다 쉽게 여기면서 잘 알고 그런거는 아닌거 같습니다. (아마 국내 탑스쿨 이상에서는 그걸 당연히 여기겠지만요..)

지방에 있을 때, 지거국은 아니고 국립대인데, 그 때 물리학과 학부 지인이, 조교로 들어온 대학원생이 일반물리 수준의 내용도 잘 모르더라고.. 그런 말을 들은 적은 있습니다.

국내 탑레벨이 아니면, 주5~6일 이상, 매일 10시간 이상 연구실에서 보내고 하시면, 연구에 필요한 전공들 우선으로 공부하면서 하시면, 큰 무리는 없이 하실 수 있을거 같아요 ~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그냥 하기 나름인거 같아요 ~~~ 연구 분야 영향도 많이 받알 거구요 ~

다만, 나는 물리학자다 라고 말할 정도로 하시려면, 정말 열심히 하셔야할거 같아요. 2년 안에 전공, 연구, 조교 등 할 일이 많을치니까요..
재밌는 임마누엘 칸트*

2021.12.27

제 생각에는, 분야를 정하셨으니, 나중에 입학 의사가 있는 그 분야 교수님들께 문의 메일을 보내보겠습니다.

그 학회에서 하는 여름/겨울 학교 같은게 있는지 찾아보고 거기서 물어보는 것도 좋아보입니다.
재밌는 임마누엘 칸트*

2021.12.27

ex) 겨울 양자정보학교, 응집물질물리학교, 광학학교, etc. 2주 정도 하는 세미나요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