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님들의 유혹 학석사연계

2020.03.21

8

4757

지거국 다니는 ai공부중인 학부생인데 구현하고싶은 아이디어가 엄청 많아서 데이터 비롯해서 어느정도 구체화하거나 기획해서 맞는 분야의 전공교수님들 찾아가면 항상 하는 말이 아이디어 다 달라도 SCI논문 가능하다 어떻게 여기까지 공부했냐 이러면서.. 연구실 들어와라 들어와서 학석사 과정하는게 어떻겠냐 생활비 장학금 등록비 전액지원해주마부터...  교수님들이 일단 연구실 자주 출근 안해도 자리 만들어주시거나 자주 놀러와라 연구장비 지원해준다던지 얼떨결에 양다리 걸치고 프로젝트 동시에 3개 하고 있는데 학석사 연계과정 어떤가요? 괜찮은건가요? 솔직히 제 아이디어들은 연구실에서 프로젝트넘어간게 있어서 제대로 설명해드릴순 없는데 가는곳마다 심지어 포닥온 박사님까지.. 이러시는데 이정도 수준의 논문이면 남들 2년과정 1년이면 10편도 쓸수있는데 자대 학석사연계 1년 vs 더 높은 대학원 2년 어느게 나을지 모르겠어요. 학점은 던져서 3.18인데 학교수업이 재미없어서 대충대충해서 그렇지 실력은 해외논문 읽고 그대로 따라서 구현하거나 제가 응용할거에 맞춰 loss 변경하거나 새로운 레이어 추가한다던지 수정해서 활용할 실력이 되거든요.. 실제로 교수님들 앞에서 가져와서 보여줬고 전 이게 기본인줄 아는데 교수님들이 노예Get하려는건지 제가 잘난건지도 혼란스럽네요.

아 덧붙여서 석사랑 학사 수준이 크게 안다른 경우도 있나요? 아니면 지거국이라 그런지 연구실 소속 석사생이랑 인턴으로 생활하면서 프로젝트 하는데 석사생 자꾸 암걸리게 해서 그거아니라고 그렇게 하면 결과 제대로 안나온다고 지적하고 그러는데 석사생따라서 가끔 이런 사람도 있는건가요? 참고로 그분은 무엇이 잘못됬는지도 모르고 그대로 자기 프로젝트 밀다가 안되서 멘탈나갔는지 휴학하시더라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0.03.21

교수님이 어떤사람인지 알아보세요 한번 학부생이 보는 교수님과 실제 원생들이 보는 교수님 완전 딴판인경우도 많음

2020.03.22

일단 한 발 물러서서 냉정하게 생각하시고, 하시려는 과정이 본인한테 이득인지, 교수님께 이득인지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그런 석사 과정생들과 2년 같이 생활해보는 미래도 그려보시고요
Louis-Ferdinand Céline*

2020.03.22

들어가서 말바꾸는 교수 많음

2020.03.22

의견 들어보고 나니 역시 위를 노리는게 나을거 같네요. 일단 gist 생각하고 있는데 학점을 남은 1년 반동안 최대한 올려서 컨택해보려는데 sci논문같은 실적과 학점중이 혹시 무엇이 더 가중치를 두는지 알려주실수 있는분 계신가요?

2020.03.22

학점 최우선 대신 탑티어 저널 및 cs분야 탑티어 학회 1저자는 낮은 학점 커버가능

2020.03.22

CS분야는 아니고 이공계 석사까지 졸업 후 이번에 미국에 박사하러 나가는 상황에서 몇마디 드립니다.

1. 같이 일하는 석사생이 프로젝트를 잘 이해 못하거나 일을 잘 못해도 너무 답답해 하지는 마시길. 원래 연구라는게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협업이 많고, 정확히 자기 일이 아닌 다른 일을 하게 되면 구멍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구멍이 얼마나 많이 생기는지는 또다른 문제지만)

연구라는게 실력 외에 운의 요소도 매우 크게 작용하구요.

그 답답함을 참고 계속 커뮤니케이션하면서 프로젝트를 끌고 나가야 하는게 연구의 일상입니다. 정말 욕이 나올 정도로 문제가 있다면 같이 연구 못하는거지만, 그게 아니라면 다 배워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 하시길 바랍니다.

2. 1번과 반대의 뉘앙스일 수도 있지만, 이래서 더 넓은 판으로 나가는게 좋습니다. 넓은 판이라고 덜떨어지는 사람 없는거 아니지만 확률은 줄일 수 있어요. 대학원의 공부는 교수한테만 배우는게 아니라 주변 동료들에게도 배우는게 있고 네트워크를 만드는데도 의미가 있어요.

3. 솔직히 제가 CS분야도 아니고 님을 직접 아는 것도 아니니 님이 얼마나 재능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근데 결과적으로 자대 석사까지는 생각해볼 수 있어도 박사까지는 권장 안하고 싶네요. 님이 실력+재능이 있는게 맞다면 솔직히 석사도 좋은 학교가서 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지방대 교수 입장에서 님같이 파이팅 넘치고 주도적으로 뭔가 해보려고 하는 학부생 있어서 랩실로 꼬드길 수 있으면 정말 개꿀이에요. 부정못할 사실입니다. 좋은 제안 해주는 교수님의 인성이 어떨지 저는 모르겠지만, 만약 교수님이 좋은 분들이라고 해도 한국 대학원 현실상 가급적 더 좋은 학교, 좋은 랩실로 갔으면 좋겠습니다.

4. 그리고 작성자처럼 자기주도성과 열정이 넘치는 학생이라면 영어가 된다는 전제하에 최종적으로는 박사유학코스도 고려해봤으면 하는 개인적인 바람이 있네요. 석사까지 해서 그런 연구 스토리를 만들고 지원하면 매우 좋게 봐줍니다.

IF : 2

2020.03.22

지방대 교수들은 학생수급 어려운점 감안하세요

2020.04.10

CS분야 전공하시면 HCAIL 연구실 컨택해보는거 어때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