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카이스트 전전, AI대학원 면접에 대한 사실 한 가지

2021.05.18

37

35833

카이스트 면접 주간이라 다들 궁금한 점도 많고 걱정도 많으실거 같아요.
지나가던 화석이 카이스트 전전, 그리고 그 행정 제도를 거의 그대로 물려받은 AI대학원 면접에 대해서 하나 알려줄게요.

전전에서 2019년에 전공면접이 폐지되고, 작년에 비대면 면접이 시작되면서 선,후배 지원자 간에 정보 전달의 맥이 끊겼다는 느낌이들어요.

우선 구분해야 할 것은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석.박사 통합과정) 면접이고, 그 시행 목적과 경쟁자 인원 수가 완전히 달라요. 박사과정 면접은 컨택이 완료된 인원을 선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고, 따라서 배수 선발이 없어요. 한 마디로, 입시에서 면접을 안 볼 수는 없으니 형식적으로 보는 것이기 때문에 면접 시간도 길어야 10분, 전공 질문은 하지 않을거에요.

대부분 사람에게 해당되고 결과 예측이 어려운 것은 석사과정 면접이에요. 일단 석사과정은 면접은 최종합격자 2배수 선발이라는 것이 정설이고요, 내부적으로 우선선발대상자와 일반선발대상자로 나누어져 있어요.

우선선발대상자는 거의 대부분 카이스트 학부, 서울대 및 포스텍 이력서 우수자들로 구성되어 있고 최종 합격 정원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인원이에요. 이들의 경우, 면접에서 별다른 질문이 오가지 않고 위에서 언급한 박사과정 선발과 비슷한 프로세스를 탄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본인 면접 질문 내용이 시시하고, 면접 시간이 짧았다고 생각되시면 우선선발대상자였을거에요.

일반선발대상자는 skp 중에 우선선발이 아닌 친구들하고 기타 학부 출신들로 구성된 집단이에요. 일반선발대상자 면접의 가장 큰 목적은 서류상 스펙의 검증에 있어요. 학점이 좋다면 실제로 전공지식이 풍부한지, 프로젝트 경험이 많다면 프로젝트에서 배운점과 느낀점이 무엇인지, 외국어를 잘한다면 실제로 외국어 능력이 어느정도인지 등 으로 구성되어 있죠. 또 반대로, 특정 스펙이 나쁜 경우 수치적인 나쁨에 비하여 실제로는 얼마나 잘하는지 등도 질문의 대상이 되요.

일반선발대상자 면접은 얼마나 우수한 학생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면접이지, 얼마나 나쁜 학생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진 면접이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거나 압박을 받을 필요는 없어요. 실제로 면접에 들어가보면 교수님들이 지원자가 최고의 대답을 할 수 있도록 계속 유도하고 이끌어주시는 방향으로 진행하실거에요.

면접 점수가 크게 상관이 없다는 얘기도 많이 있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라고 생각해요. 우선 반은 맞는 이유는, 면접이 이미 있는 스펙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스펙이 원래 나쁜 사람은 그 이상 잘하기가 힘들어요. 나머지 반은 틀린 이유는 스펙이 좋다고 하더라도 면접에서 능력이 떨어진다고 결정되면 불합격 할 수 있기 때문에 면접을 대충 봐서는 안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7개

2021.05.18

질문있습니다. 우선선발이라고 하면 국비 장학, 일반선발이라고 하면 카이스트 장학에 해당이 되는 말씀인가요? 맞다면 skp 이외의 학부는 거의 카장으로 입학된다고 보면 될까요?

대댓글 4개

2021.05.18

국비, 카장이랑 관계 없이 선발 과정에 대한 이야기에요. 아무래도 성적 순으로 국비를 먼저 주니까 우선선발은 특별히 본인이 원해서 카장으로 가지 않는 한 국비를 받을거고요. 일반선발도 반 이상 인원은 국비에요. 카장은 국비 인원에 비하면 소수랍니다...

2021.05.18

만약 국장으로 합격되더라도 카장으로 바꿀 수도 있나요? 교수님께서 국장티오는 다썻고 이번에 카장학생만 선발할수 있다고 하셔서요

2021.05.18

요즘은 어떤지 잘 모르겠는데 예전에는 국장에서 카장으로 가는거는 가능했어요. 반대는 불가능하고요. 교수님이랑 그 부분 완전히 합의하시고 학과사무실 연락해보세요.

2021.05.18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05.18

좋은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ㅠㅠ
혹시 말씀해주신 내용(박사면접 = 형식상의 절차, 석사면접 = 스펙에 대한 검증)이
서울대나 포항공대에서도 어느 정도 통용이 되는 걸까요?
저는 카이스트는 지원을 안해갖고 ㅠㅠ.. 궁금합니다

대댓글 2개

2021.05.18

잘 모르겠네용 ㅎㅎ... 학교마다 다르겠죠

2024.05.14

학교마다 다른 게 맞을텐데요..

투자대비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은 항시 일어나는 일입니다. 위 설명 내용을 보면 투자 대비 효율성이 잘 드러나는 방법이라 보이고, 저라도 면접관 입장에서 저 방식을 채택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완전히 같지는 않을지라도 상당히 많이 비슷하게 운영될 것 같네요.
오만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1.05.18

전전 카장은 연구실 펀딩이고, AI 대학원 카장은 학과 펀딩으로 알고 있는데 그 부분에서 차이는 없나요? 저는 AI고 적어주신대로 보면 일반선발대상자인데 면접 때 별 질문 안하셨고(제 과거 플젝 한두개랑 관심 연구분야 관련 질문만 해주심) 실제 면접시간보다 몇분 더 일찍 끝났는데 카장으로 붙었어요. 면접을 못봤던건지...

대댓글 6개

깜찍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5.18

혹시 벌써 결과 나오셨나요...?

2021.05.18

ai대학원은 기부금 대박 터지고나서 전전 국비<=>ai대학원 학과지원 카장, 전전 카장<=>ai대학원 연구실지원 카장으로 호환이라던데 정확히는 모르겠어요. 올해부터 국비를 선발 안한다고 듣긴 했어요.
오만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1.05.18

아 아뇨 헤밍웨이님 저는 작년 가을학기 입시입니다. 그렇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오만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1.05.18

남의 떡이 커보인다고, 저는 국비로 선발되었다면 좋았을 것 같긴합니다... 왠만하면 석사과정동안 고려하실 필요는 없으시겠지만 혹시 전과 생각 있으시면 전과했을 때는 거기서는 카장이 학과 펀딩이 없으므로 지도교수님이 펀딩해주셔야해서 받아주시기 어려울수도 있고, 또 카장인데도 연구실별로 티오가 있어서 학과내에서 연구실 변경도 어렵더라구요. 그래도 원하면 카장도 국장분들처럼 TA 경험을 할수있도록 바뀐 것 같고 제한적인 경우에 카장 -> 국장 전환도 가능하게 작년에 변경되었다는 안내도 받아본 적이 있긴해서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겠네요.
오만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1.05.18

서로 장단점이 있겠죠
오만한 요하네스 케플러*

2021.05.18

카장이 TA하는거가 국장분들보다 돈을 더 주시는 것 같아요. 그리고 카장은 적어도 학과 내에서는 혜택을 조금 더 주시려고 하시더라구요

2021.05.18

석박 통합으로 지원하면 석사보다는 더 경쟁률이 낮은 걸로 생각해도 될지요?(박사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댓글 3개

2021.05.18

통합으로 입학이 되는지 알아보는 것이 먼저입니다.
일부 과의 경우 석사 입학 후 통합 전환을 합니다.

2021.05.19

카이스트 전전 신입생 석박통합은 정말 신중하게 뽑기때문에 더 어려운걸로 알고있어요

2021.05.21

통합은 입시 경쟁은 없는거나 마찬가지 아닐까여;; 컨택이 무조건 되있어야 하니까 그게 힘든거에요.
귀여운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1.05.18

되 돼를 틀려선 안돼요

2021.05.18

와... 타대 석사 중이고 카이 ai 박사 준비 중인데 정보가 없던 차에 깨알같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내년 봄학기 입시때문에 관심 있는 교수님과 컨택은 했고 사전지도예정서는 받을 수 있을 것 같은데,
교수님께서 서류 심사는 입학처 & 다른 교수님들 서류 평가로 결정되므로 해당 부분은 스스로 뚫고 올라와야한다고는 하셨습니다 ㅠㅠ 애초에 박사과정은 사전지도예정서 받은 사람들만 지원한다고 듣긴 했었는데 괜시리 이 말을 들으니까 불안해지네요.
혹시 교수님 컨택도 됐고 사전지도예정서도 받아 제출했으나 서류탈하는 경우가 많을까요??

대댓글 7개

2021.05.18

그리고 실적이 학점보다는 더 중요하다고 듣긴 했는데, 실적으로 다른 것들이 cover가 될런지요 ㅠㅠ
학부/석사는 동일 학교에서 하고 있고 YK-SSH라인으로 CS 및 통계/수리물리 계열은 아닙니다 (너무 포괄적으로 적어 죄송합니다...) SCIE 논문 1저자 4개 (Deep-learning 관련은 1개)/공저자 1개 있고, revision 중인 machine learning 관련 논문 1개이긴 합니다. 다만 학부 학점이 4.3 만점에 3점 중반이라 혹시라도 이것때문에 서류탈할까봐 걱정이네요 ㅠㅠ (석사는 4점초반)

2021.05.18

석사지원이면 학벌/학점 위주로 흘러가긴 하는데, 박사 지원이면 괜찮다고 봐요.
지금 석사 중이신데 1저자 논문이 4개나 있고, 리비젼도 1개 있고, 충분히 좋은 연구실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점도 높지 않아서 그렇지, 3점대 중반이면 나쁜 학점은 아니에요 ㅋㅋ 저도 SP 서류전형 잘만 통과했습니다.

김박사넷에서 학점 3.9를 보고도 댓글로 "학점이 부족하시네요.. 분발하세요" 이러는건 대부분 석사 지원입니다.
학벌도 YK-SSH 라인이면 충분히 괜찮고, 실적도 좋으시니, 서류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

2021.05.19

감사합니다 ㅎㅎ
SP 면접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2021.05.21

박사과정 컨택하고 지도예정서 내는데 어떻게 떨어지나요. 면접관 면전에서 조상님 모욕만 안하시면 괜찮아요...

2021.05.21

답변 감사합니다. 카이스트 박사 컨택됐는데 서류탈 or 면접탈했다는 이야기를 종종 접해서 걱정이 되어 질문하였습니다 ㅠㅠ

2021.05.21

추정상 박사 컨택됐는데도 떨어지는 경우는 주로 해당 교수님의 개별 TO는 있어 accept 후 지도예정서 작성해주셨으나 과 전체의 박사 TO수가 제한이 되어있어서 그런 것 같아서요 ㅠㅠ

2023.07.12

YK SSH는 무슨ㅋㅋ 걍 SSH라고 쓰셈

2021.05.19

석사를 자대에서 졸업하고 박사를 카이스트로 가고싶은데요.. 실적이 그렇게 많이 중요한가요? 논문이 빠르게 나오는 분야가 아니긴 하다만 아직 논문 실적이 없는데 불안하네요...ㅠㅠ

대댓글 2개

2021.05.21

어차피 박사는 지도교수가 선발하는거에요. 희망하는 지도교수님하고 직접 얘기 해보셔야되요.

2023.05.12

"~하다만"은 반말입니다.

2021.05.20

ssh 화학과(4.2x)에서 22년 봄학기 카이스트 전전지원하려고하는데요, 전자기학 등의 전자공학관련해 면접준비가 필요할까요? 아니면 화학전공에서 배웠던과목 복습하는게 좋을까요? ㅜㅜ

대댓글 1개

2021.05.21

전전은 이제 전공면접 일체 안해요. 대신 논술같이 논리력, 창의력 묻는 질문이 나오는데 그마저도 비대면 면접때는 안하고 있어요.

2021.05.21

작성자님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질문 하나만 드리겠습니다. 카이 전전은 면접의 진행을 서류 검증의 의미로 진행한다고 하셨는데 그러면 최종 합격에서는 거의 서류 점수로 판가름 난다고 봐야하는 걸까요..? 면접에서 서류 검증에 통과 못할 학생들은 없다고 생각을 해서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3.05.12

"돼요"라고 써주시길 바라요.

대댓글 1개

2024.01.14

하아...글이나 쳐 써보고 말해 하는건 눈팅짓밖에 없으면서

2024.08.12

지금도 도움되네요 감사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