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박사 가기위해 spk vs 자대대학원

2020.02.17

11

3880

공학계열이구요, 현재 4학년 올라갑니다!


바로 미국석박 유학가긴 이래저래 준비할 시간도 부족하고 학부동안 해놓은 것도 없고 그래서 국내석사하면서 최대한 노력해서 좋은 퍼포먼스 낸다음에 미국박사유학 갈 생각입니다.


다만 국내 대학원을 선택하는 지점에서 많은 고민이 있네요.

일단 많은 분들이 대학원은 무조건 spk라고 하셨지만, 좋은 연구결과를 내기위해선 좋은 교수님과 좋은 랩실에 들어가야하는데 타대생이라 잘 뚫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고, 석사만 하고 유학가려는 학생에게 큰 관심을 기울여주실지도 걱정입니다(물론 교바교겠죠?)

반대로 자대랩실 중 관심있는 랩실은 근 몇년간 좋은 논문들도 많이 냈고, 교수님도 좋은 분이십니다. 이 연구실에서 인턴을 한 경험도 있구요, 만약 이 연구실가게 되면 다시 컨택할 생각입니다. (객관적으로도 spk의 어중간한 랩실보다 최근에는 더 나은 아웃풋을 보여주긴 했습니다. 인기랩 중 하나여서 사실 제가 가고싶다해도 못 갈수도 있기도 하네요..)


이런 상황에서 spk를 도전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지, 아니면 자대대학원에서 열심히 준비 후 유학을 가는 것이 더 나을지 고민이네요. 너무 많은 분들이 대학원은 spk라고 하셔서요..


학부는 연고 중 하나고 전공학점은 4.2이상/4.3으로 열심히 했습니다. 군필입니다.

자대 연구실에서 인턴경험 2회지만, 과제 참여만 몇 번 해서 실질적으로 논문을 써봤다거나 한건 없습니다.. 과제참여는 가려는 대학원 분야와 비슷한 분야의 과제를 했지만.. 별 의미없을것 같네요.


물론 어딜가나 제 의지와 제 실력이 더 중요한 건 알고 있습니다만,, 아무래도 대학원은 환경도 무시 못하는걸 알기에 이렇게 질문올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0.02.17

그래도 spk입니다

2020.02.17

그정도면 카이스트가 가장 낫지 않을까 싶긴 한데
석박통합으로 안뽑으니 석사만 하고 나온다 할 때도 반발 심하지 않을 듯

2020.02.17

분야를 모르는데 어떻게 말하노

IF : 2

2020.02.18

분야에 따라 다르지만 미국 교수들한테 SNU나 KAIST는 꽤 괜찮은 학교라는 인식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음 물론 모르는사람은 모를거

2020.02.18

4.3 기준인 것 보니 후배이신거 같은데 자대 석사하세요. 유학갈거면 석사 자대에서 하시는게 여러모로 편합니다. 무슨 과인지 모르겠지만 거기 과에서도 선배들이 길을 잘 닦아 놓았을 겁니다. 저는 10위권 학교에 있는데 여기 분위기는 SNU는 잘 알려져있고 KAIST,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학생들도 옛날부터 유학을 많이 와서 이정도까지는 교수님들이 아시는 것 같습니다. 굳이 타대 석사 갈 필요 없고 분야 정하셨으면 본교 좋은 랩 들어가셔서 좋은 논문 하나 쓰고 나오세요.

2020.02.18

아 분야를 적지않았네요.. 분야는 cs 분야입니다!

2020.02.18

윗윗 댓글에 비공감이 달리는게 김박사넷의 현실

2020.02.18

자대 교수님과 상담해보세요. 유학에 적극 도움 받을 수 있을 것 같다면 그 스펙엔 자대가 훨씬 유리해보입니다.

2020.02.19

교수 추천서가 젤 중요한데 spk가서 고퀄의 추천서 세명한테 받아낼 자신 있으면 spk 아님 자대

2020.02.19

님 분야에서 자대 지도교수님이 실적도 좋고 인지도도 있다하면 무조건 자대가는거죵 학벌 중요한건 국내 석박 얘기구 미국 탑스쿨 준비하려면 가장 전략적 판단은 지도교수라고 암 학벌이아니라

2020.02.19

다들 답변들 너무 감사합니다!! 남은 시간동안 계속 고민해봐야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