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줄요약 1. 캐나다 취업에 있어 2. 토론토대 CS 박사학위가 3. 캐나다 박사유학이 의미하는 여러 개인적 걸림돌을 뛰어넘어서라도 가는 게 나을 만큼 4. S대 AI 박사학위에 비해 압도적으로 유리할까요? 5. 달리 말해, S대 AI 박사학위로 캐나다 취업에 어려움이 있을까요?
시작하기에 앞서 제가 잘 모르는 내용이 있다면 지적도 달게 받겠습니다.
본문 S대 AI 연구실에 컨택을 보낸 후 인턴중인데 장기적인 목표가 캐나다 취업이다보니 자꾸 토론토대 CS 박사 생각이 나네요.
하지만 토론토대 CS에 박사과정으로 입학할 수 있다고 해도 한국에 버리고 가야 할 것이 많아 지원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이 됩니다.
S대 교수님께서는 저를 무조건 합격시키겠다고 입시 걱정 마라는 식의 직접적인 메시지를 주신 적은 없지만 그래도 저를 좋게 보셔서 인턴을 시켜주시는 중이시고 (뭔가 입학 보장이 언급된적은 없어도 뉘앙스를 보아 기본 전제 느낌입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개인 사정 때문에 캐나다로 박사입학을 슝 떠나버리는게 여러모로 걸리는 점이 있긴 합니다.
또 제가 군 미필인지라 캐나다에서 박사졸업을 한 후에도 1. 한국 연구소에서 3년 근무하거나 2. 박사졸업자 자격으로 영주권을 취득하여 병역의무가 소멸할 37세까지 버텨야 합니다. 1번 선택지의 현실에 대해 제가 잘 모릅니다만, 그래도 모르는대로 나름 생각해보면 캐나다 취업 관점에서는 경력 단절이 아닌가 싶고, 2번은 얼마나 가능성이 있는 이야기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제 캐나다 박사유학을 망설여지게 만드는 요인들이 여러 군데에 포진해 있는데요, 이런 요인들을 다 감내하고도 유학을 떠날 만큼 토론토대 CS 박사학위가 S대 AI 박사학위에 비해 캐나다 취업에 큰 강점을 가질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3.04.16
토론토대ㄱ
대댓글 1개
2023.04.16
의견 감사드립니다!
2023.04.16
졸업해보시면 실력도 중요하지만, 여러가지로 인맥들이 중요합니다. 한국에서만 학위받고 바로 해외가는경우는 해당랩 졸업생들이 그러지않는이상 본인이 새로운길을 개척하는건 어려울겁니다. 무조건 해당지역에서 학위받는게 기회나 추천서, 정보면에서 압도적으로 도움될겁니다. 조금다른예시지만 하다못해 해외나가는것도 리턴하든 아니든 미국에서 학위받는게 정보나 인맥, 일자리 개수등 타유럽에서 학위받는것보다 유리할때도 많아요. 최소한 제가 spk졸업후 ethz에서 포닥햇었는데 느낀바는 그래요..
대댓글 2개
2023.04.16
소중한 경험담 감사드립니다!
2023.04.16
ethz ㅎㅇ
2023.04.16
군 해결하고 나가야지 안하고 나가면 이점 다 갖다 버리는거...
대댓글 2개
2023.04.16
2번은 병역기피 아슬아슬한데, 현지인 결혼 아니면 현실성있는 생각은 아님
2023.04.16
그렇군요. 온타리오주에서 PhD graduate stream 이라는 시스템을 통해 경쟁을 뚫으면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고 하는데 그게 많이 어려운 일인가요?
2023.04.16
영주권 관련해서는 어떤 기관이나 다른 사람 말 많이 안믿는게 좋습니다. 실제로 그런 일로 피 본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4.16
그렇군요..
2023.04.16
“캐나다 취업”이 목표인데 “토론토 CS 박사가 S대 박사보다 압도적인 강점이 있냐”고 하면 너무 당연한거 아닌가요? 학벌로 보나 인턴십 정보/기회 및 인맥으로 보나 캐나다도 한국도 아닌 미국같은 제 3국 취업이 목표라도 S대 박사보단 토론토대가 유리할텐데, 목표가 캐나다면 너무 당연한 결론인것 같네요.
캐나다에서 박사 따고 한국 연구소에서 병역 해결하는거 그렇게까지 치명적인 경력 단절로 보이지 않을 것 같은데요? 토론토 AI와 S대 AI 둘다 붙고 고민하시는건지는 잘 모르겠지만 둘다 붙었다면 고민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4.16
조언 감사드립니다!
2023.04.16
풀펀딩으로 합격하신 거라면 토론토로 가는 게 캐나다 취업에는 더 유리하실 겁니다. 또한 위에 톨스토이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캐나다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영미권에 남아 계실 예정이라면 캐나다 학위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저는 현재 풀펀딩으로 호주에서 박사학위를 하고 있는데요, 영주권이라던가 현지에서의 장기적 기회를 생각하면 여기에 온 게 옳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인문사회 계열이라 한국에서는 펀딩도 아예 안나오기도 했고요 ㅎㅎ). 다만 영주권의 경우는 정말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박사과정은 여러 가지 변수가 많기 때문에 학업이 생각보다 길어질 수도 있고, 그런 경우 여권 연장이 불가능하여 아예 학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변수 차단을 위해서는 군 문제를 해결하시고 유학을 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외국에서 고등학교 때부터 유학을 해본 결과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학업이 연장된다던가 그로 인해 영주권이 지연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보았습니다. 저 역시 변수를 차단하기 위해 군문제를 먼저 해결했고요, 이 결정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습니다. 잘 생각해보시고 좋은 결정 내리시기 바랍니다 :)
2023.04.16
풀펀딩으로 합격하신 거라면 토론토로 가는 게 캐나다 취업에는 더 유리하실 겁니다. 또한 위에 톨스토이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캐나다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영미권에 남아 계실 예정이라면 캐나다 학위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저는 현재 풀펀딩으로 호주에서 박사학위를 하고 있는데요, 영주권이라던가 현지에서의 장기적 기회를 생각하면 여기에 온 게 옳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인문사회 계열이라 한국에서는 펀딩도 아예 안나오기도 했고요 ㅎㅎ). 다만 영주권의 경우는 정말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박사과정은 여러 가지 변수가 많기 때문에 학업이 생각보다 길어질 수도 있고, 그런 경우 여권 연장이 불가능하여 아예 학업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변수 차단을 위해서는 군 문제를 해결하시고 유학을 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외국에서 고등학교 때부터 유학을 해본 결과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학업이 연장된다던가 그로 인해 영주권이 지연되는 경우를 정말 많이 보았습니다. 저 역시 변수를 차단하기 위해 군문제를 먼저 해결했고요, 이 결정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습니다. 잘 생각해보시고 좋은 결정 내리시기 바랍니다 :)
대댓글 1개
2023.04.16
감사합니다!!
2023.04.16
토론토대에서 CS 학부 졸업했습니다. 1. 일단 캐나다에서 취업이 목적이면 토론토대에서 박사하는게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일단 토론토대 자체가 소위말하는 취업깡패고, 더욱이 cs분야는 전세계 탑이기 때문에 취업자체를 걱정하는 사람은 거의 없어요. 제가 캐나다에서 학부생활하면서 느낀점... 한국 정말 안유명해요. 요즘에는 bts, 오징어게임 등등 덕분에 그나마 계속 한국이 서양에도 유명해지고 있긴한데, 그래도 아직 갈길이 멉니다. 특히 아카데미아 쪽은요. 선생님이 서울대를 나왔건 어디 다른데를 나왔건 캐나다애들은 그냥 몰라요. 서울대 자체를 모르는데 서울대 간판이 취업에 도움이 되겠습니까 하나도 안되지요. 캐나다 취업을 목표로 한다면 이건 비교 불가입니다. 2. 시민권도 아니고 영주권으로 군면제라... 정말 듣도보도 못했습니다. 토론토 대학교 학부 졸업하면 영주권 따기 쉽거든요? 그런데도 한인 유학생중 아무도 영주권으로 군면제를 아에 노린 사람조차 없었습니다. 최소한 제 주변에는요. 다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대댓글 1개
2023.04.17
그렇군요 ㅠ 서울대 AI 박사학위로 미국이나 캐나다 포닥 가기도 바늘구멍일까요?
2023.04.17
캐나다 취업이면 님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토론토가 압승입니다. 토론토 뿐만아니라 다른 캐나다 대학 cs 박사가 훨씬 유리합니다. 학계면 몰라도 일반 취업시장에서 한국 대학을 아는 채용자가 많이 없어요. 세계대학 랭킹을 잘 아는 채용 담당자는 님 생각보다 정말 드물고, 단순히 토론토가 나른 정도가 아니라 토론토 cs박사면 캐나다 취업은 프리패스 수준이고 미국취업도 용이합니다. 한국대학 박사학위로는 캐나다 취업 결코 쉽지 않을거에요.
영주권 관련해서, 온타리오 대학에서 대학원을 나오면 공부한 기간만큼 취업비자가 나옵니다. 그 비자로 취업한 후 영주권 ㅛ신청 들어가면 거의 다 나와요. 대부분 대학원 유학생들이 타는 테크트립니더. 토론토에서 컴공 박사 졸업 할 역량이 된다면 영주권은 별 문제 아닙니다.
대댓글 1개
2023.04.17
혹시 그렇게 영주권을 받으신 분들 중에 군 미필이었어서 군 의무 소멸할때까지 존버하셨거나 그럴 계획이신 분을 아시고 계시나요?
슬기로운 알베르 카뮈*
2023.04.17
물으나 마나한 소리죠. 한국 벗어나는 순간 서울대 네임밸류는 뚝 떨어집니다. 더군다나 캐나다 취업 시 캐나다 최고 대학인 토론토 대학과 서울대의 비교는 ...
대댓글 1개
2023.04.17
그렇군요 ㅠ 서울대 AI 박사학위로 미국이나 캐나다 포닥 가기도 바늘구멍일까요?
2023.04.17
애당초 박사취업이 목표시면 캐나다에는 리서쳐 자리가 거의없습니다 있더라도 그것만 노리다가 실력과 상관없이 운없게 떨어질가능성도있구요, 빅테크나 이름들어본 기업들 리서치 자리찾을려면 미국가야되요.. 물론 미국가는것도 토론토가 더 유리하긴합니다. 근데 영주권으로 군면제 노린다는게 말이안되는게 보통 그전에 여권연장 안해줘서 학위하는 도중에 귀국해야 할 가능성이 아주큽니다.. 시민권도아니고 젊은나이에 국제결혼 한 케이스 말고 들어본적이없어요
대댓글 1개
2023.04.17
그러면 캐나다 취업 관점에서는 오히려 토론토대 석사가 기회가 가장 많은 것인가요? 그리고 여권연장 및 귀국을 통째로 안해버릴 수도 있나요? 제가 그쪽관련해서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해외여행이 제한되는 건 당연할 것 같은데 그 외에 문제점도 생길 수 있을까요? 핑프라면 죄송합니다 따로 찾아보기도 하겠습니다 ㅠ
2023.04.17
어... 너무 현실을 모르고 글을 쓰신거 같은데. 일단 미필이신데 박사 유학을 가는거 자체 인생 걸고 베팅하는거고 캐나다에서 박사를 한다고 해도 한국에 다시 돌아와서 전문연 후에 다시 해외 취직을 한다는게 그렇게 말이 되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캐나다가 리서치 포지션이 많지도 않고, 아카데믹 포지션은 영주권자/시민 우대 강하게 하는 나라입니다.
대댓글 4개
2023.04.17
위에 막스 베버님 말씀도 있고, 온타리오주 PhD Stream으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것을 공식사이트에서 보고 글을 쓴 것입니다만 그게 많이 힘든 일인가요?
2023.04.17
그리고 캐나다는 제쳐두고 미국 포닥 취업 기준으로 토론토대 CS 박사후 전문연3년 VS S대 AI 박사후 전문연1년 겪은 사람이라면 비슷한 실력일 때 누가 더 유리할까요?
2023.04.18
뭐 굳이 비교를 하면 어쨌든 토론토가 나을거라 생각하지만 지금 해외포닥, 취직 생각하는 사람이 여태 미필로 대학원 진학할 생각하는거 자체가 말 안되는거에요. 제가 살때랑 영주권 지원이 많이 바뀐거 같아서 답은 어렵지만 신청 후에 기본 1년 반이상 추가로 소요되고 to도 비정기로 나는걸로 아는데 대체 뭘 믿고 진행을 합니까. 만 28세 이후로 여권도 안나올가능성 높은데...
2023.04.18
개인사 때문에 어쩌다보니 아직 미필이게 되었네요. 학부졸 전에 현역입대 할 거 아니라면 그냥 S대에서 AI 박사 따고 박전연 추가 1년 채운 다음에 미국 포닥 노리는 게 최선일까요?
2023.04.23
토론토 대학교에서 CS/응용수학을 학사+석사를 취득하고, 지금은 ML업계에서 3년째 일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으시면 절대적으로 유리하실 것입니다.
한국은 캐나다에서 소수민족입니다. 인도나 중국 출신 연구원들이랑은 많이 일해봤지만 한국 대학 출신은 한두 번밖에 못 만났습니다. 인도와 중국 출신 친구들은 북미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북미에 진출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미에서 교육을 받으려고 한다고 합니다 (IIT, 칭화, 등등).
게다가 한국은 아직 AI 분야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나라입니다. 토론토 캠퍼스에는 삼성과 LG의 AI 연구소가 있지만, 엔비디아, 구글 브레인, 딥마인드 같은 거대 AI 연구소들에게 밀려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만약에 캐나다 대학에 지원하신다면 UMontreal과 McGill 대학도 추천합니다. 강화학습에 관심이 있다면 Alberta도 추천해드립니다.
대댓글 4개
2023.04.23
토론토 대학교에서 CS/응용수학 학사+석사를***
2023.04.23
크... 부럽네요 소중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ㅠㅠ 누가 BC주에서 BC주 대학원 석사졸업자 영주권이 다른 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나온다는데 사실일까요? 그렇다면 UBC CS/AI쪽은 전반적으로 어떤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마지막으로 한국국적 비 면제 남성분이시라면 병역은 어떻게 해결하셨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질문이 너무 많네요 답은 안해주셔도 괜찮습니다!!
2023.04.23
때 마다 다르지만 인구가 적은 주에서 영주권을 취득하는게 더 쉽다고 들었습니다. 온타리오 주 인구가 BC 주의 3배라서 그렇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주로 BC나 알버타에 이민/정착한 다음에 토론토로 오는듯 합니다.
UBC도 AI 쪽에서 유명합니다. 학문적으로는 강하지만, 제가 듣기로는 BC주에 AI 연구소/업체가 많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토론토나 미국 서방 지역(Seattle, LA)으로 넘어가서 연구인턴 자리를 얻어야 한다고 합니다 (한국은 모르겠지만 캐나다 AI 석박사생들은 대부분 산업체에서 research scientist 인턴자리를 얻어서 산업 트렌드/경쟁력을 쌓습니다). 참고로 캐나다 정부 차원에서 AI 연구를 강하게 밀고 있는 곳은 Ontario (Vector Institute), Quebec (MILA), Alberta (AMII) 입니다.
저는 학사도중에 3년 휴학하고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했었습니다.
2023.04.23
그렇군요 자세한 현지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씩씩한 장자크 루소*
2023.04.24
1. 현실적으로 군필 할거면 지금 군대를 가. 1년6개월 하고, 캐나다 랑 서울대 둘 다 원서를 쓰기 바람. 둘 다 합격된다는 보장이 없잖아. 2. 근데 캐나다 취업을 목표로 한다고 하는데, 즉 이민가고 싶다인데. 학생비자>영주권은 이민 변호사 비용이 좀 들 듯. (집에서 서포트 해주나?) 2-2. 이민이 목적이면, 군대 쌩까고 토론토대 원서 쓰고 합격부터 하고, 학생 비자 받아서 입학하면 됨. 학기 중에 군대가면 휴학하면 되고, 가기 싫으면 군대 연기 하면 된다. 그리고 그 사이 영주권은 이민 변호사 사면 되고. 3. 어쨌든 캐나다에 합격해서 학교를 다니는 것이 1번임. 군대든, 영주권 이민변호사든 그건 나중에 선택할 수 있는 문제임.
2023.04.16
대댓글 1개
2023.04.16
2023.04.16
대댓글 2개
2023.04.16
2023.04.16
2023.04.16
대댓글 2개
2023.04.16
2023.04.16
2023.04.16
대댓글 1개
2023.04.16
2023.04.16
대댓글 1개
2023.04.16
2023.04.16
2023.04.16
대댓글 1개
2023.04.16
2023.04.16
대댓글 1개
2023.04.17
2023.04.17
대댓글 1개
2023.04.17
2023.04.17
대댓글 1개
2023.04.17
2023.04.17
대댓글 1개
2023.04.17
2023.04.17
대댓글 4개
2023.04.17
2023.04.17
2023.04.18
2023.04.18
2023.04.23
대댓글 4개
2023.04.23
2023.04.23
2023.04.23
2023.04.23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