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러니깐 돈 없으면 처음부터 오지 말라고 하는데 왜 오냐구요
15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50 - 그짝?
14 - 대학원 입학하셔도 됩니다. 아무도 신경 안써요
13 - 한 두명이 아니라 올해도 그 전년도도 석사 신입생이 전부 30살 근처이거나 넘어가는 학생들이에요ㅠ 제대로 연구할 능력있고 의욕있는 사람은 다 빠지고 저런 사람들만 받으니 연구실 분위기 엄청 안 좋은데 교수님만 몰라요ㅜ
17 - 아이디어는 누구나 내고 중요한건 실제로 연구 성과를 내는거죠. 아이디어 뺏기는게 싫으시면 오히려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같이 낸 성과로 만드세요
18 - 이딴 ㅂㅅ같은 소리하는 도둑놈들이 많으니깐 우리나라 연구실에서 연구하기 ㅈㄴ싫음. 당신 같은 사람 때문에 한국 연구문화가 쓰레기 소리 듣는 거에요
22 - 애초에 국숭이 무슨 대학원을 간다고ㅋㅋㅋㅋ
14 - 뭐어쩌라는건지... 이사람이 공인도 아니고 그냥 일반 학생인데
21 - 이정도면 정성이면 믿어줘야지, 최소한 이상한놈은 거르는게 모두의 인생에 좋지 않나요?? 일단 머리속에 기억은 해두겠습니다
18
지방대 출신 AI 대학원 컨택 조언드려봅니다.
2024.07.18
저는 지방대 출신이고, 학점은 4.4정도 되었습니다.
다만 여러가지 실적들이 많이 있었고(SCI논문, 그외 객관적으로도 우수하고 달성하기 힘든 실적이 운으로 따라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당당하게 카이스트랑 포스텍 AI 대학원 둘다 합격했네요.
물론 과거 저도 불안해서 김박사넷에 합격 가능성 물어봤는데, 대부분이 학부 이야기 하면서 안된다 안된다 이러한 이야기가 많았지요.
지금 돌아보니, 학부가 저보다 좋지만 실적이 객관적으로 밀리는 사람들이 그랬을 수도 있고, 어딘가 꼬여있거나 닫혀있는 사람들이 그런것 같아요.
그래서 김박사넷에서 안된다는 말은 믿지마시고, 그냥 믿고 앞으로 나아가는걸 추천드립니다.
각설하고, 우선 컨택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저는 둘다 컨택 안하고 들어갔습니다.
자대생이 아니면, AI 대학원 컨택은 정말 힘들어요.
저도 한20통 보내봤는데, 대부분이 답장도 없으셨고, 답변이 있어도 합격후 연락해라, 인턴 후 너가 합격하면 뽑는다 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컨택 안하고 들어갔습니다.
그래도 괜찮냐 하실 수 있는데, 우선 포항공대는 컨택의 의미가 유의미 할 수는 있지만, 서류 합격, 필기 및 인성 면접 합격 이후 진짜 전쟁이 시작됩니다.
여기서는 사전 컨택보다는 눈치게임, 그리고 면접 전쟁이지요. 보통 논문을 읽고 리포트를 써오라거나 그걸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그래서 여기서 내가 우수한 답변과 마음에 들면 합격이고, 아니면 떨어집니다.
저는 운이 좋게, 포항공대에서 좋은 연구실에 면접봐서 경쟁 뚫고 최종 합격 했습니다.
카이스트는 조금 다릅니다. 사전 컨택된 사람들이 많고, 대부분이 자대생 혹은 SKY, ssh급 학부생들 중 우수한 학부생 출신이 많아서 여기선 내정자들을 밀어낼만한 메리트가 있어야 합니다.
다만, 기존에 제 메일을 읽어 보지도 않았던 교수님들이 그래도 최종합격했기 때문에, 그래도 회신을 주거나 기회를 주십니다.
이때, 내가 얼마나 내가 우수함을 보여주는가가 핵심인것 같습니다.
이때도 경쟁에서 잘 이겨내서 컨택을 성공하고 지도교수님을 잘 정해서 마지막은 카이스트로 선택해서 갔습니다.
입시 난이도는 카이스트보다는 포스텍이 높아 보여요.
필기 준비도 엄청 힘들었고, 그 이후 컨택이 정말 어려워요. 다만 상당히 공정하게 컨택 기회를 열어줍니다.
그래서 잘 이겨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뚜렷한것 같아요.
반대로 카이스트는 입시 난이도는 많이 어렵지는 않았어요.
서류 잘 작성하고, 면접때 모르는건 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고, 아는것은 안다고 상세하게 말하니 어찌 저찌 합격하게 된것 같아요.
과거에 카이스트랑 포스텍이랑 고민 많이 했습니다.
행복한 고민이라고 하실 수 있지만, 두 대학의 메리트가 많이 달라요.
포스텍의 경우 재정이 매우 탄탄하고, AI대학원은 모든 학생들이 다 풀펀딩으로 학교를 다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카이스트는 국가 예산에 영향을 좀 받는 느낌이 있는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인건비 삭감되니 뼈가 시리네요.
그래서 포스텍은 안정적으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칠 수 있는 것 같구요, 카이스트는 연구 실적이 다방면에서 뛰어나다 보니까 저는 연구만 보고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물론 포스텍도 많이 뛰어난 교수님들과 실적이 있지만(컴퓨터비전 그래픽스 분야는 포스텍 특정 랩 두곳이 탑이지요), 제 관심 연구분야는 카이스트가 좀 더 뛰어났던 것 같아요.
요즘 포스텍을 많이 깎는 글들이 보여서 조금 남겨보자면, 산업공학계열은 확실히 카이스트가 앞서있는것 같긴한데,
포스텍 AI는 확실히 건재하고, 매우 우수한 대학임은 확실한것 같아요.
산업공학은 영...아닌것 같긴합니다만...
무튼, 후배님들은 여기서 합격할 수 있나요? 를 묻는건 어리석은 질문같고, 내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달려간다면 무조건 원하는 목표에 다다를 수 있으니 넘어지지 마시고, 앞으로 정진하시길 기원해요.
그리고 김박사넷의 날카로운 댓글이나 분탕에 너무 깊게 몰두하지 마시길...
AI 하지마 김GPT 62 43 18500
자대 대학원 컨택하다가 찍혔습니다.. 김GPT 4 20 15875
뉴비들을 위한 대학원 컨택 정리 김GPT 277 11 59496-
8 16 21933
대학원 다니면서 알게된 것 김GPT 22 17 13613
대학원 절대원칙 김GPT 24 8 8234-
2 7 832
AI대학원 진학스펙 김GPT 0 0 616-
3 13 1677 -
195 33 60730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79 10 7526-
216 30 7596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06 - 일을 잘 한다는 것.
149 - 이젠 솔직히 서카연이 맞음
92 - 아마추어와 프로
32 - 교수 임용을 목표로 한다면
6 -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9 - 컨택 메일은 최소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라
16 - 실적으로도 숨기지 못 하는 것들
10 - kukist
6 - 소수랩 보다 대형랩이 나은 점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71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006 - 일을 잘 한다는 것.
149 - 이젠 솔직히 서카연이 맞음
92 - 아마추어와 프로
32 - 교수 임용을 목표로 한다면
6 -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9 - 컨택 메일은 최소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라
16 - 실적으로도 숨기지 못 하는 것들
10 - kukist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