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제가 29살 석사 입학해서 31살 졸업 후에 1년 취준해서 32살 대기업 입사했습니다.
지거국 공대에 SKP 석사 했구요.
운이 좋아 올해 37살의 나이에 회사 학술연수에 합격해서 지금 애기 있는 상황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인생은 답이 정해지지 않았어요.
할까말까 하는 선택은 하는게 맞습니다.
분명 하길 잘 했다 라고 생각하는 순간이 올겁니다.
하지만 늦은 나이에 후회도 올거구요.
멘탈 관리 잘 하시며 본인 인생의 우상향을 위해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23 - 그러니까 시빌 힌국에서 존중을바라지 말라고 ㅋㅋ 꾸역꾸역 삼성굉고든 뭔 광고든 좆같이 눈에띄지 말라고 양키가 ㅋㅋ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23 - 꾸준 열폭글 ㅋㅋㅋ 인생 최대 업적이 군필이지? 알만하다
한국에서 돈 벌지 말라고 하면 아쉬운건 한국 수학계지 허준이 교수가 아님. 그냥 프린스턴에서 잘 살면 되는데.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32 - 행동은 같은데 유승준은 안되고 다른 사람은 된다는게 말이 안되긴 하지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25 - 순수수학은 인류의 진보랑은 거리가 먼데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16 - 허준이 교수가 군대 미뤄주면 한국에 돌아와 일하겠다 약속하고 유학가서 올때 되니 국적을 버렸음?
유학가서 잘되면 미국 계속 살 생각 있었고 실제로도 그러고 있으니 그러면 된거 아닌가?
군무새들 왜 주기적으로 난리들이신지 모르겠네 난 아무리 생각을 해도 그냥 열등감에 지능 문젠거 같어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13 - 처음부터 끝까지 순수 열등감이라 보기가 역하네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15 - 조선인들은 왜이리 남 잘 되는 꼴을 못볼까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12 - 그런데도 남는 지거국 교수님들 보면 그 지역 연고가 있는 경우가 많더라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3 - 아는 지인 고대 컴과 혼자 GPU A100 A6000 몇대로 연구한다고 해서 놀람 고대가 돈이 많기는 한 가 봄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2 - 랩바랩임. 간판만 보지 말고 실적 좋은 랩을 가세요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3 - 지도 교수님이 시키는 대로 하세요.
왜 상관의 지시를 불이행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당신 같은 사람은 회사가서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될 잠재력이 아주 높다고 판단됩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27 - 1)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면 모를까 조금이라도 지원을 받았다면 연구 책임자의 의견이 최우선입니다.
2) 의견 정도는 제시해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번 거절하였다면 그냥 하라는 대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3) 개인적으론 그거 한편만 쓸 건가 싶기도 하고 if도 중요하지만 길게 보면 교수님 말씀이 맞다는 입장입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7
지방대 출신 AI 대학원 컨택 조언드려봅니다.
2024.07.18

저는 지방대 출신이고, 학점은 4.4정도 되었습니다.
다만 여러가지 실적들이 많이 있었고(SCI논문, 그외 객관적으로도 우수하고 달성하기 힘든 실적이 운으로 따라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당당하게 카이스트랑 포스텍 AI 대학원 둘다 합격했네요.
물론 과거 저도 불안해서 김박사넷에 합격 가능성 물어봤는데, 대부분이 학부 이야기 하면서 안된다 안된다 이러한 이야기가 많았지요.
지금 돌아보니, 학부가 저보다 좋지만 실적이 객관적으로 밀리는 사람들이 그랬을 수도 있고, 어딘가 꼬여있거나 닫혀있는 사람들이 그런것 같아요.
그래서 김박사넷에서 안된다는 말은 믿지마시고, 그냥 믿고 앞으로 나아가는걸 추천드립니다.
각설하고, 우선 컨택에 대해서 설명드립니다.
저는 둘다 컨택 안하고 들어갔습니다.
자대생이 아니면, AI 대학원 컨택은 정말 힘들어요.
저도 한20통 보내봤는데, 대부분이 답장도 없으셨고, 답변이 있어도 합격후 연락해라, 인턴 후 너가 합격하면 뽑는다 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냥 컨택 안하고 들어갔습니다.
그래도 괜찮냐 하실 수 있는데, 우선 포항공대는 컨택의 의미가 유의미 할 수는 있지만, 서류 합격, 필기 및 인성 면접 합격 이후 진짜 전쟁이 시작됩니다.
여기서는 사전 컨택보다는 눈치게임, 그리고 면접 전쟁이지요. 보통 논문을 읽고 리포트를 써오라거나 그걸 가지고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그래서 여기서 내가 우수한 답변과 마음에 들면 합격이고, 아니면 떨어집니다.
저는 운이 좋게, 포항공대에서 좋은 연구실에 면접봐서 경쟁 뚫고 최종 합격 했습니다.
카이스트는 조금 다릅니다. 사전 컨택된 사람들이 많고, 대부분이 자대생 혹은 SKY, ssh급 학부생들 중 우수한 학부생 출신이 많아서 여기선 내정자들을 밀어낼만한 메리트가 있어야 합니다.
다만, 기존에 제 메일을 읽어 보지도 않았던 교수님들이 그래도 최종합격했기 때문에, 그래도 회신을 주거나 기회를 주십니다.
이때, 내가 얼마나 내가 우수함을 보여주는가가 핵심인것 같습니다.
이때도 경쟁에서 잘 이겨내서 컨택을 성공하고 지도교수님을 잘 정해서 마지막은 카이스트로 선택해서 갔습니다.
입시 난이도는 카이스트보다는 포스텍이 높아 보여요.
필기 준비도 엄청 힘들었고, 그 이후 컨택이 정말 어려워요. 다만 상당히 공정하게 컨택 기회를 열어줍니다.
그래서 잘 이겨내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뚜렷한것 같아요.
반대로 카이스트는 입시 난이도는 많이 어렵지는 않았어요.
서류 잘 작성하고, 면접때 모르는건 모른다고 솔직하게 말하고, 아는것은 안다고 상세하게 말하니 어찌 저찌 합격하게 된것 같아요.
과거에 카이스트랑 포스텍이랑 고민 많이 했습니다.
행복한 고민이라고 하실 수 있지만, 두 대학의 메리트가 많이 달라요.
포스텍의 경우 재정이 매우 탄탄하고, AI대학원은 모든 학생들이 다 풀펀딩으로 학교를 다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카이스트는 국가 예산에 영향을 좀 받는 느낌이 있는 것 같아요. 특히 올해 인건비 삭감되니 뼈가 시리네요.
그래서 포스텍은 안정적으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칠 수 있는 것 같구요, 카이스트는 연구 실적이 다방면에서 뛰어나다 보니까 저는 연구만 보고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물론 포스텍도 많이 뛰어난 교수님들과 실적이 있지만(컴퓨터비전 그래픽스 분야는 포스텍 특정 랩 두곳이 탑이지요), 제 관심 연구분야는 카이스트가 좀 더 뛰어났던 것 같아요.
요즘 포스텍을 많이 깎는 글들이 보여서 조금 남겨보자면, 산업공학계열은 확실히 카이스트가 앞서있는것 같긴한데,
포스텍 AI는 확실히 건재하고, 매우 우수한 대학임은 확실한것 같아요.
산업공학은 영...아닌것 같긴합니다만...
무튼, 후배님들은 여기서 합격할 수 있나요? 를 묻는건 어리석은 질문같고, 내가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달려간다면 무조건 원하는 목표에 다다를 수 있으니 넘어지지 마시고, 앞으로 정진하시길 기원해요.
그리고 김박사넷의 날카로운 댓글이나 분탕에 너무 깊게 몰두하지 마시길...
자대 대학원 컨택하다가 찍혔습니다.. 김GPT 4 20 17223
AI 하지마 김GPT 64 43 20501-
29 7 47806 -
3 21 3083
대학원 컨택 하면서 느낀점 김GPT 17 14 4020
AI대학원 고민상담 김GPT 0 4 6740
입시 해보니 느끼는게 김GPT 5 3 1217-
1 10 1514 -
1 16 4621 -
166 33 47726 -
188 29 40602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92 22 5743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5 - 교수 임용 가능성
23 - 어제 편입글 쓴 작성자입니다.
16 - 정말 대학원 간판이 큰 의미가 없나요?
26 -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46 - 이 스펙으로 ky, ssh 합격 가능할까요
9 - 포스텍 vs ist 차이
10 -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6 - 대학원생 분께 주말에 카톡 드려도 될까요?
9 -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7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21 - 실력좋은 사람한테 업혀서 잘되는 사람
10 -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00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20 -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5 - 어제 편입글 쓴 작성자입니다.
16 - 정말 대학원 간판이 큰 의미가 없나요?
26 -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46 - 이 스펙으로 ky, ssh 합격 가능할까요
9 - 포스텍 vs ist 차이
10 -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6 - 대학원생 분께 주말에 카톡 드려도 될까요?
9 -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7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21 - 실력좋은 사람한테 업혀서 잘되는 사람
10
2024.07.18
2025.04.08
대댓글 1개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