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유학 목표 자대석사 랩실 고민

2022.07.09

9

1891

안녕하세요, 자대 석사 후 AI&ML쪽 미국 유학을 꿈꾸는 학생입니다. 내년 봄에 지원할려는데 관심가는 랩이 두 개 정도 있고 면담은 둘 다 해봤습니다. 선배님들의 고견 여쭙고 싶습니다.

# A랩
장점:
- 미국 교수 경험이 있으심. 추천서 및 타 미국교수와의 공동연구 가능성 기대.
- 매주 교수님미팅이 있는데, 제 분야랑은 다르지만 B랩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 분야랑 더 가까움.
단점:
- 지금 하는 연구 투고하고 나면 주제를 해당 랩실 연구쪽으로 틀어야 함.(현재 제 연구주제랑 A랩 연구주제 둘다 ML이라는 큰 틀 안에 있긴 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좀 다르고요.)
- 현재 연구분야를 하는 사수는 없을 듯 함.(랩실 주제가 제 연구분야가 이니기 때문에,.)
- 김박사넷 오각형 기록 없음.

# B랩
장점:
- 제 연구분야 하시는 분 있다고 하심.
- 분야 자율성 보장됨.
- 김박사 오각형 만점 랩
단점:
- 교수님미팅은 있는데, 분야가 약간 달라서 general한 관점에서만 지도 가능할 듯 보입니다.

둘다 연구 중심으로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일단 학부생때 하던 연구가 있는데, 현재 연구 결과를 보면 탑티어 학회에 섭밋하면 낮은 확률로 어셉될 수도 있습니다. 당장은 안되더라도 리뷰 보고 수정해서 여기저기 찌르다 보면 될 수도 있고, 뭐 잘 안풀리면 석사 졸업때까지 끌다가 결국 안될 수도 있겠죠.
결국, 아직 붙지도 않은 주제를 이어나가느냐 vs 주제를 버리고 해외교수 경험 있으신 랩에 가느냐인것 같습니다. 어느게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2.07.10

석사랑 박사 세부 연구분야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없고 바꾸는 경우 많으니까 그 부분은 크게 걱정하실 필요 없을 것 같고, 추천서 잘 써줄 수 있고 논문 잘 봐주시는 분한테 가세요.

대댓글 1개

2022.07.10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일치하지 않는 그 정도만큼 학교를 낮춰야 하는 것은 아닌가요 ..? 연구분야 일치 안하면 유학 못간다는 소리도 들어서요 .. ㅜㅜ 저는 두 편을 쓰는 걸 목표로 하고 있는데, 두 편이 ML의 큰 틀 안에서 서로 다른 세부분야여도 디메릿이 없나요 ?

2022.07.10

크게 일치 안해도 상관없음 AI/ML은. 윗사람 말대로 추천서 잘써주고 논문 잘 내줄 랩에 가는게 가장 중요함

대댓글 4개

2022.07.10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혹시 유학 나와계신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 또 윗댓의 질문처럼,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일치하지 않는 그 정도만큼 학교를 낮춰야 하는 것은 아닌가요 ..?

2022.07.11

미국에서 NLP랩에 박사과정중인데, 학교 낮출 필요 없습니다. 자기 연구 실적 좋으면 AI/ML 내에선 분야 달라도 아무대나 들어갈 수 있어요. 박사과정은 연구 잘하는 사람을 뽑는거지 연구분야가 가장 일치하는 사람을 뽑는게 아니에요.

2022.07.11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도 NLP하고 싶었는데 현재는 상황상 하지 못하게 됬네요 부럽습니다. 하나만 더 질문할 수 있을까요?
제가 알기로 미국교수의 추천서가 중요한 이유는 솔직하고 공정한 평가가 추천서에 담겨있기 때문에라고 알고 있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예전에 미국 교수 경험이 있으신 분께 추천서를 받으면 그건 미국교수 추천서라고 쳐주나요?

2022.07.12

현재 한국 교수면 그러진 않죠. 그래도 추천서가 중요한 이유는 교수가 어느정도 미국 학계에 알려진 사람이면 공신력 있게 받아드리기 때문에 한국에서만 공부한 교수의 추천서보단 낫다고 볼 수 있죠. 물론 케바케기긴 하지만

2022.07.10

석사 기간 동안에 SCI를 쓸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서 달라질듯

대댓글 1개

2022.07.10

A랩에서 무실적 vs B랩에서 SCI(AI분야의 경우 탑컨퍼) 1편 이면 B랩이 더 낫다는 말씀이신가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