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대학원에 가고싶은 4-1학생입니다.
현재 타대 학부연구생으로 출근과 학업을 병행중입니다.
학부연구생경험이 해외대학원진학에 유리하게 작용할부분이 있을까요? (제 생각엔 자소서,랩경험..?)
가장 궁금한것은
지금 준비해야할부분이 어떤게 있을까요?
토플만 따놓으면 되는건지 ,,
자연과학분야 해외대학원은 들어가는게 정말 어렵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복수전공을 하고있어 졸업이 한학기 늦어질 것 같은데 이 부분은 크게 문제가 없을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4.18
학부 연구경험은 없는게 불리하다고 봐야됨. 지원자들은 왠만하면 다 연구 경험있을거고, 논문도 들고 올텐데...
학점, 토플, GRE, SOP 뭐 하나 빠지는게 있으면 유학가기 빡센게 사실이긴함..
2022.04.18
똑같은 스펙도 본인이 자소서에 녹이기나름이죠
제대로 녹이지못하고 단순히 연구경험만을 강조하면 크게 의미가 있을까 싶습니다. 연구경험 및 연구기여도를 뒷받침할만한 실적이 없는 이상에는요.
대댓글 1개
2022.04.18
대신 추천서를 지도교수한테 부탁할수는 있겠네요
2022.04.18
미국 기준으로 그냥 대략 느껴지는거 적어봄
수학은 진짜 어려움. 보통 좋은 곳 유학가고 싶은 수학전공자들은 한국에서 손꼽히는 천재 아닌이상 통계나 응용수학, 전산 분야를 노리는듯
물리는 그나마 AMO 분야나 고체물리 실험쪽은 사람을 꽤 뽑으니 괜찮은데 이론물리나 소수정예로 돌아가는 분야는 많이 어려움
화학은 미국 기준 학과사이즈가 큰 경우가 많아 그나마 낫지만 학부생들의 연구참여가 가장 활성화된 학과라 애들 스펙이 화려함. 단순 학점만으로 좋은 곳 다이렉트로 가려면 만점 수준 학점은 있어야 함. 국내 최상위권 대학에서도 미국 탑5 또는 10 이내 들어가는 사례들 보면 고학점 + 석사학위 또는 퀄리티 좋은 저널 논문 1-3 저자 하나정도 있는 경우가 많음.
생명. 스펙 상향평준화가 화학과랑 비슷하거나 더 심함. 심지어 학과 특성상 엄브렐라 방식 (1학년 코호트 뽑아놓고 1년간 로테이션 체험시킨후 지도교수 선정)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컨택도 잘 안통함.
그리고 졸업 1년정도 늦는건 흔한 일이라 굳이 묻지도 않는 경우가 더 많음
대댓글 1개
2022.04.18
윗분들 말씀대로 학부연구생 체험은 그냥 기본입니다. 안하고 지원하는 애들 없어요. 그 알맹이가 훨씬 중요하죠. 논문이 있으면 좋지만 무조건 필수는 아닙니다.
연구활동하며 생긴 모티베이션, 연구스킬, 지금까지 한 것과 앞으로 하고 싶은것, 그리고 그것들이 지원하는 학교와 랩에서 앞으로 추구할 것들과 잘 일치하는지.
연구활동에서 드러난 지원자의 캐릭터와 장단점에 대한 지도교수의 솔직한 평가, 영어능력 등 종합적인 면을 다 봅니다.
무서운 미셸 푸코 *
2022.04.18
학부연구생 경험없으면 유학 못갑니다. 글쓴이분 질문이 마치 수능 시험보는데 혼자 공부를 하면 유리할까요? 이런 질문처럼 들리네요..
2022.04.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솔직히 아직도 이 정도면 바로 못 갈거 같은데 석사하고 가세요
2022.04.19
마음 단단히 먹고 준비하세요. 최소 요구 평점 3.0/4.0입니다만 대부분 지원자들이 평점 3.5/4.0 이상+연구 경험이 있습니다. 다른 사이언스 전공들은 잘 모르겠지만 바이오 쪽 department들은 1년에 열댓명 정도 뽑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지원자들이 몰리기 때문에 경쟁률이 높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바이오 같은 경우) 미국은 석사학위 없이 박사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sci 논문게재 경험, 연구경험이 더 풍부한 석사들과도 경쟁할 생각하셔야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연구경험을 늘리시고 SOP와 Personal Statement에 혼을 갈아 넣으시길 바랍니다. 다른 과는 모르겠으나 요즘 바이오쪽 전공들은 GRE 점수를 제출하지 않는 추세라 GRE가 너무 부담되시면 GRE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 학교를 지원하는것도 추천합니다.
저라면 지금 학부성적을 최대한 잘 받는것을 목표로 하고 한국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충분히 실적을 올린 후 미국 박사로 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같은 외국학생이여도 미국에서 학부과정을 밟은 학생들을 좀 더 선호하기도 한다는 얘기를 유학 선배들에게 들은 바 있습니다. 그러니 SOP, personal statement에서 최대한 내가 눈에 띌 수 있도록 어필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건승하십시오!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8
2022.04.18
대댓글 1개
2022.04.18
2022.04.18
2022.04.18
2022.04.19
대댓글 2개
2022.04.19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