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0-150위 대학교에서 재학 중이다가 연고대로 편입 고려중입니다. 학부연구생으로 참여해왔었는데 저의 미국 대학교(박사 대학원 없음. 티칭스쿨)보다 연고대에서 하는 연구가 수준도 높고 그외 여러가지 이유로 편입 생각중입니다.
미국 담당교수님(미국국적 한국인이심)과 상담을 해봤는데 현실적으로 미국대학교에서 제가 갈 수 있는 대학원은 조지아텍 정도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더 높은 대학원을 (ex, MIT) 가려면 한국대학교로 편입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막상 좀 더 찾아보니 연고대에서 mit 가는 경우는 드문 것 같더군요.
1. 연고대에서 mit등 으로 미국 박사로 탑 대학원 가는 것이 많이 힘든가요?
2. 분명 연구수준은 저의 작은 미국대학보다 연고대가 더 높은 것 같은데, 왜 가는 대학원 수준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일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2.02.09
비슷할듯
미국 교수들은 미국교수 추천서를 한국교수 추천서보다 신뢰함
현실적으로 지금 대학원입시가 과열이라서 특히 csee는 연고대에서 다이렉트 탑스쿨 갈라면 학과 전체 수석에 sci일저자 있어야될듯
그냥 석사를 조지아텍으로 가시고 거기서 열심히 해서 박사 탑스쿨가세요
대댓글 4개
2022.02.09
한국에서 탑스쿨 다이렉트 박사갈라면 skp 여야합니다
그이하학교 잘몰라요 교수들이
2022.02.10
잘 몰라도 잘 갑니다.
2022.02.10
University of Seoul 이나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도 서울대로 알아서 괜찮습니다.
2022.02.10
ㅋㅋㅋ 설카에 열등감 잇는애들 총집합이네
미국 탑스쿨 교수들 snu and kaist가 투탑인거 알고 나머지는 다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snu 하고 서울시립대uos 하고 구분한다
미국에도uc 붙은 대학이 몇갠게 그런거 구분못하겟냐
2022.02.09
10년 전에 top 3는 아닌 top 10에 유학나와서 졸업했는데요, 동기들 보면 skypk 골고루 왔어요.
우아한 존 스튜어트 밀*
2022.02.09
MIT 박사 했었는데 동기 대부분 sk였습니다. P는 3년에 한 번 정도... y는 제가 있는 동안 박사는 못 봤고 석사는 봤습니다.
대댓글 3개
허탈한 칼 세이건*
2022.02.09
엄청 옛날 분이신가요..? 저도 최근에 MIT 박사 졸업했는데 1년에 한국 학부 출신은 S가 20명, K가 7,8명 정도되고 P는 매년 1,2명, Y도 매년 2,3명 정도 있었습니다. K 미만으로는 급격히 수가 줄어서 특수한 과 빼면 거의 본적이 없네요.
우아한 존 스튜어트 밀*
2022.02.09
음 일단 석사 하고 온 경우나 연구소에서 온 것 등은 제외했고요. 다시 생각해보니 P는 1년에 한 명 정도는 맞는 것 같습니다. 처음 몇 년 동안 신입생들이나 동기들과 어울리는 경우 빼면 사실 제가 전체 학부 출신을 알 방법은 없으니까 -_-;; 그냥 제가 만났던 한국 사람들 기준 뇌피셜입니다. 아, MBA 포함하면 다른 대학도 꽤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우아한 존 스튜어트 밀*
2022.02.09
비교적 정확히 아는 저희 동기 기준으로 (저희 때 학부 다이렉트는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s 5명 k 5명 p 1명 이 정도로 기억합니다.
허탈한 칼 세이건*
2022.02.09
연고대에서 MIT 오시는분들은 주로 석사때 실적이 어마무시해서 이미 박사급이거나, 학부만 하고 다이렉트로 오신분들은 주로 학부때 MIT (및 비슷한 학교)에서 인턴했던 분들이 대다수입니다. 님이 연고대 편입해서 정한 지도교수가 미국 탑스쿨 연구 인턴 보내줄 수 있는지 잘 알아보고 결정하세요 ㅎㅎ
조용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2.09
"추천서"
순수한 아르키메데스*
2022.02.09
학부로 비비긴 늦음. 연구 경력 쌓으셈
대댓글 1개
2022.02.13
넵! 열심히 하겠습니다
2022.02.10
어차피 여기에서 mit는 커녕 top10유학준비해본 사람은 많지도 않습니다. 대다수가 뇌피셜로 조언해준답치고 말할텐데, 도움이 될까 싶네요.
y대 출신이지만 우선 제동기 및 주변에서는 유학간애들은 top10-20이 많았네요.
대댓글 1개
2022.02.12
답변 감사합니다!
2022.02.10
글쓴이의 목표=미국 탑스쿨 박사. 현재 미국에서 평범한 티칭스쿨에서 학부 공부 중. 이 상황에서 굳~이 한국으로 학부편입 (편입 된다는 보장 없음 편입 후 탑스쿨 박사된다는 보장 없음) 했을 때 장점이 별로 없는 것 같은데 왜 교수님이 그렇게 말씀하신지 모르겠어요. 꼭 한국으로 가야하는 상황아니면 당연히 지금 학부에서 경력 잘 쌓으셔서 석사를 조지아텍으로 갈 수 있으면 가서 거기서 연구경력 잘 쌓아서 박사를 탑스쿨로 노려보는게 제일 가능성 있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2.12
한국/미국 교수/학생 물어본결과 이게 가장 현실성있는 안인듯합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02.12
어떤 이유때문에 mit를 가고싶으신건가요? 그냥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대댓글 1개
2022.02.13
제 대학교 선배 중 저와 아주 비슷한 케이스로 이미 가신 분이 있어서 그분보며 희망을 품는 것도 있고, 이왕 가는거 한번 최고의 institiution에서 제대로 배우고 싶기도 하고, 그런 최상위 institution은 어떤가 궁금하고요. 좋은데 갔었던 친구 말 들어보면 여러방면으로(support, mentoring, facility, actual learning, connection, inside info
...)엄청 좋다고 하더군요. 솔직히 한국에서(미국도 있지만) 학벌주의에 대해 많이 느끼기도 해서 그런 것도 없지 않아 있어요.
아주 부족한 고등학교를 나오면서 환경의 중요성을 체감하며 좋은 환경에 있어야겠다는 생각도 들어 그렇습니다.
2022.02.09
대댓글 4개
2022.02.09
2022.02.10
2022.02.10
2022.02.10
2022.02.09
2022.02.09
대댓글 3개
2022.02.09
2022.02.09
2022.02.09
2022.02.09
2022.02.09
2022.02.09
대댓글 1개
2022.02.13
2022.02.10
대댓글 1개
2022.02.12
2022.02.10
대댓글 1개
2022.02.12
2022.02.12
대댓글 1개
2022.02.13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