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top-20 밖의 학교에도 세계적 대가 있는 학교들 많아요. 전세계 대상으로 인재가 모여서 스케일이 다릅니다. 고작 오천만 스케일로 극복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웃는 르네 데카르트*
2022.01.30
의미가 떨어지는게 의미가 없다는 말은 아니죠..?
2022.01.30
t20 밖 학교들이 t20 안에 드는 학교보다 "상대적으로" 메리트가 떨어진다는 취지면 동의하겠는데 spk보다 떨어진다고 말하고 싶은 거면 글쎄요. US ranking 상으론 SPK는 50위 안에도 못 들어가고 그나마 잘 쳐주는 QS로 봐도 많이 올라온게 30위권인데요? 논문 실적이라는 것도 교수마다 랩마다 천차만별인데 그렇게 단순 비교가 가능함? 거기다가 최근 CS의 미친 인기를 생각하면 20위 밖 학교도 들어가기 결코 만만치 않고 충분히 대가들 많은데 그렇게 단정지어서 말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SPK를 무시하려는 의도는 절대 아니고 실제로 근 몇 년간 많이 발전한 건 동의합니다만 그렇다고 20위권 학교와 비교는 좀...
2022.01.31
자격지심 넘치는 글 잘 봤습니다.
2022.01.31
미국에 가보고 싶은데 갈 형편이나 능력이 안되서 이러는거야?? 지속적으로 t20 마지노선 내용의 글과 댓글 다는데ㅠㅠ 내가 비행기표 끊어줄게 한 번 다녀와^^ 연락해~
2022.01.3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서 박사 공부하나 한국서 공부하나 길은 교수, 정출연, 기업 연구소, 창업외 다른 길은 별로 없을 것 같은데,,,,건강 잘 지키면서 박사학위 무사히 마치고 원하는 진로로 잧아가 잘 살아 가는자가 승자라고 보여짐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0
2022.01.31
2022.01.31
2022.01.31
대댓글 1개
202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