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탑스쿨 박사 학위의 진가가 발휘되는건 임용 시장에서가 아님

나른한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1.12.30

27

5758

사실 여기분들은 대부분 학계에 남는 것을 선호하시기 때문에, 임용 가능성만 따지면 실적 좋은 국박이 실적 어중간한 미박보다 낫다는건 당연히 동의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국박하면서 전문연으로 20대에 박사 받고 연구 실적 빠르게 쌓는게 유효한 전략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탑스쿨 미박 출신이 절대적으로 유리한건 당연히도 '미국 취업시장'에서 입니다. 한국은 박사학위자가 갈만한 메이저 대기업 및 산하 연구소가 한 손에 꼽을 정도로 적지만, 미국은 대기업도 수백개, 네셔널랩도 수십개, 대학도 수백개.. 일단 직업 선택의 폭이 국내랑 비교할바가 안됩니다.. 심지어 전공 바꿔서 금융계나 컨설팅 회사가서 초고연봉 받는 분들도 꽤 봤습니다.

근데 한국에서 박사 유학 준비 하는 사람들은 이 사실을 잘 모르고 보통 좋은 랩가서 좋은 논문 많이 쓰고 돌아와서 교수해야지 라는 마인드인 분들이 대다수인 것 같습니다 ㅎㅎ. 저도 미국으로 나와보고 나서야 그동안 우물안 개구리였다는걸 깨달았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7개

IF : 5

2021.12.30

국내 대기업에서 해외 대기업으로 옮긴 국박인데, 해외로 조금만 눈을 돌려도 회사 스펙트럼이 아주 많이 넓어지긴 하더라구요.
침착한 닐스 보어*

2021.12.30

쉽게 말해 국내 대학원은 국내 취업에 맞게 되어 있고 미국 대학원은 미국 취업에 맞게 되어 있음. 그래서 미국 박사들이 한국 시장 고려 안 하고 한국 들어 왔다가 국박들에게 밀리는 거임. 그나마 미국이랑 비슷하게 심사하는 곳이 spk임. 학벌 다 가리고 임용 당시 논문 실적으로만 보면 카이스트 교수들중에서도 타대학 임용 기준에 못 미치는 케이스 엄청 많음. 근데 이게 실적이 구려서 그런게 아니라 논문 점수 시스템이 다름. 예를 들어, SCI는 몇편, SCI-E는 몇편, 공저자는 몇명이고 임팩트 팩터는 몇이고 등등. 미국은 이런 점수 시스템이 없고 자신이 얼마나 기여 했냐가 중요.

몇년 전부터 YK등 다른 학교들도 바꾸기 시작 했지만 아직 지방국립이나 다른 사립들 시스템은 논문 많이 나오는 국박이 유리함.

대댓글 3개

비관적인 게오르크 헤겔*

2021.12.30

궁금한게 있는데 미국의 시스템? '자신이 얼마나 기여 했냐가 중요' 이걸 어떻게 판단하나요??
다른 정량지표가 있는건가요 아니면 면접을 통해서 평가를 하는건가요??
침착한 닐스 보어*

2021.12.30

ㄴ 커버레터에 쓰기도 하고 인터뷰 때 어필 하기도 하고 그렇죠.
한국은 공정성이란 부담감?에 모든 심사를 정량화 해야 하는데 미국은 정량 심사도 그렇지만 포텐셜이란 것도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게 참 골 때려요. 오스틴 출신 여자 교수가 막 임용 됐을 때 논문도 별로 없고 영어도 말 해 보니 그닥. 근데 왜? 라고 생각 했는데 오자마자 NSF 얼리 커리어 어워드를 받았죠. 보통 이 정도면 테뉴어 받았다고 보는데 이거를 첫학기에 달성 하더군요. 정말 겉으로 보이는 실적은 별거 없었는데 이런게 포텐셜인가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2022.01.01

임용시장에 대해 잘 모르시면서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미국도 한국도 비슷하게 정량 정성 다 합니다.

오히려 레퍼런스에 따른 지도 교수 입김이 더 쎈곳이 미국일 수도 있고요. 본인께서 예로든 여자 교수는 대가아래서 박사 최소한 포닥을 하고 오는 경우일 겁니다. 오자마자 얼리커리어 어워드 받은게 아니고 그걸 받기로 예정이 되어서 뽑았을 확률이 90%이고요.

포텐셜을 측정하는 도구는 논문 특허 실적 뿐이지 티칭중심학교가 아니면 세치혀에 놀아나 뽑는 학교는 없습니다.
웃는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12.30

이게 생각보다 중요한게 죽자고 교수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아시아(특히 동아시아)인임. 유럽애들 미국애들은 회사를가도 대우가 좋다보니까 실적이 좋아도 난 연구보다 회사가 좋아 하고 가는애들 많음. 근데 팁스쿨 박사를 하다보면 이런 기회가 많이 생기지.
물론 한국인으로서 한국에서 사는 것을 버린다는 것 만으로 많은 기회비용이긴 함. 살아보면 알거임. 그거 아니면 솔직히 미국 취업 괜찮다. 돈많이주는 분야면 더 좋고.

대댓글 5개

밝은 카를 마르크스*

2021.12.30

근데 회사 가도 연구 엄청나게 함.. 대우도 좋고 오히려 학계보다 더 진취적이면서 넘사벽 수준의 테크기술로 양산화시키는 괴물회사들도 많음
웃는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12.31

컴공 쪽은 인정. 나머지 분야는 테크기술이 회사가 좋다고 할 수 있는지 솔직히 모르겠음.

2021.12.31

반도체도 인더스트리가 훨씬 하이테크 아닌가요?

IF : 5

2021.12.31

ㄴ무조건이요. 차원이 다릅니다. 이 분야 대가들 아니고서는 교수가 회사사람들한테 대놓고 무시당하는게 일임.

2025.02.17

맞아요 ㅋㅋㅋ 대가아니면 걍 갑질대상중 하나입니다 ㅋㅋㅋ ㅠ

2021.12.30

이건 동감. 한국 교수나 정출연만 생각하면 국박에 미국포닥이 미박에 비해 우세 까지는 아니어도 맞춤형 실적 쌓기 등 장점이 꽤 있어서 많이 뽑힘. 근데 미박을 하면 실제로 해외에 있는 기간도 더 길어서 본인이 적응도 많이 되고 자국에서 박사했다는 것을 미국 회사들이 훨씬 많이 인정을 해줘서 미국 회사는 엄청 잘 감. 단 영주권만 해결된다면.
그래서 꼭 귀국해서 한국 교수나 정출연을 꼭 할꺼다 라면 실적 잘나오는 랩 국박에 해외포닥 루트도 좋지만, 꼭 그런거 아니고 미국에서 살아도 좋고 미국 회사들도 관심있다 하면 미박을 가면 그런 쪽 길이 넓어짐.

2021.12.30

사실 분야마다 다르기도 함.. 이공계인지 인문사회인지 / 이공계 안에서도 분야마다 또 다르고..
대체로 본인 경험 및 본인 주변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어느 부분이 중요하다 라고 이야기해주시는것은 매우 좋은데
그것이 진리 혹은 정답은 아니기 떄문에, '우리 분야는 대체로 이렇다' 정도로 공유해주시면 훨씬 도움 될거같음

대댓글 1개

나른한 에이다 러브레이스작성자*

2021.12.30

이공계 메이저 학과 (수물화전화기컴) 기준입니다.

2021.12.30

지극히 동감합니다.

IF : 1

2021.12.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건 당연한거임. 탑스쿨 졸업하는 미국애들 보면 논문 없다시피한 애들 태반임
학계에 남는 애들도 탑컨퍼 2-3편 정도 들고서 좋은 대학 잘만 감

그리고 SPK 아래 학교들은 BK니 뭐니 해서 양적실적이 중요해서 정량평가를 중요시 할 수밖에 없음
학계에서 인정받는 엄청나게 좋은 학회논문은 국내에서 잘 쳐줘봐야 SCIE 한편임

2021.12.30

결국은 탑스쿨 미'박'을 해야한다는건데 사실 미'박'은 퀄부터 대량으로 탈락시키기로 유명해서..

대댓글 4개

2021.12.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과, 학교마다 다릅니다. 퀄이 형식인 곳도 많아요.

2021.12.30

그리고 미박가는것도 성격많이탐. 본인 성격이 안정적이고 환경이 바뀌는걸 싫어한다면 국내 서포카를 반대로 도전적이고 진취적이면 미박을 가는거임. 단순히 가고 못가고를떠나 가장 중요한 본인이 가서 성공할지,외로움을 타는지,내성적인지 등등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는 있는것같음.

2021.12.30

어떤 탑스쿨에서 퀄을 형식적으로 하죠? 궁금하군요. 예를 들어?

2022.01.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00퍼센트 일반화는 어렵지만 보통 다 퀄 빡시던데..

2022.01.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분야마다 다르지않나? 반도체의 경우는 한국이 탑이라고 알고.. 국박 받고 포닥 나가도 해외 취업이 불가능한것도 아니라서 해외취업을 위해 굳이 외국 학위를 하는 이유는 잘모르겠음. 인프라때문에 나가고싶을 수는 있다고 생각. 학계 얘기는 동의.

대댓글 3개

2022.04.14

반도체가 한국탑... 반도체 업계를 전혀 모르는 분이군요 미국이 선도 국가입니다. 일례로 한국은 시스템 반도체 거의 불모지 수준입니다..

2022.04.1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관련 과 졸업했습니다. 반도체는 우리나라가 탑기업 꽉 잡고 있다고 알고있는데요. 기업 랭킹도 그렇고..

2025.02.17

미국이 압도적 기술적 선도국 맞습니다.

2022.01.13

ㅋㅋㅋㅋ 국박들 행복 회로 오지게 돌리네 ㅋㅋㅋㅋ

2023.02.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박들 skp 중심으로 교수 안 시켜주면 박사 안 들어올 가능성이 있어서 시켜줘야하는 겁니다. 그런데 이제 교수가 이공계는 지식 노동자 수준이라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