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박사넷을 이용하는 분들은 대부분 대학원생들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학벌이 우수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는 엘리트코스 (과고-설포카-다이렉트박사)와는 반대인...재수-학사-군대-석사-박사과정 진학 커리어입니다.
이처럼 정말 평험한 혹은 조금 부족한 커리어로 이번에 유학을 떠나게 되었는데, 떠나기 전 합격생들과 만날 기회가 있었습니다.
세상에....주변에 설포카생들이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어서 놀랐고.....다이렉트박사진학 비율이 생각보다 높았고....이외의 학교는 없다는 거에 한번 더 놀랐습니다...
친구사귀러 나갔다가 놀라움반 겁먹음반으로 돌아왔네요 ...결국 대학원 진학해서도 이런 학생들과 경쟁해서 살아남아야 한다니 걱정이 앞서는군요. 어쩌면 설포카 대학원에 진학하는 사람들의 마음과 같을 수도 있겠네요..
결론은, "설포카"라는 이름이 주는 위압감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만한 "팁"이 있을까요?
이를테면, 마음가짐이나 각오? 어떠한 현실적인 조언도 감사할 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1.07.03
실력 기르는 것 밖에 없죠.
청승맞은 존 폰 노이만*
2021.07.03
제가 다니는 학교도 SKP 출신 학부 비중이 90% 넘는데요 (서울대가 80% 이상), 가끔 다른 학부 출신들도 보는데 (연대, 고대, 한양대 등등) 실적면에서 전혀 꿇리지 않는 분들이 많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오히려 SPK 출신은 다박이 많아서 연구경력이 석졸에 비해 부족한 경우가 많고요, 방임형 대가 밑으로 가면 헤메거나 흥미를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2021.07.03
그중 한사람인데요, 글쓴이가 보기에는 다 엘리트코스를 잘 밟아 온 사람들처럼 보이지만 그들 중에는 재수 삼수해서 대학 간 사람들도 많고 남자면 군대는 대부분 글쓴이처럼 다녀왔을 거고 유학준비하느라 학부 5년 다닌 친구들도 있고 유학 재수도 하고 다이렉트가 아니라 석사하고 간 사람들도 많을 거예요. 출신대학교 이름 하나만 다를뿐. 연고대는 서로 뭉치는 게 남다르긴 한데 서울대 같은 경우는 따로 모임 있는 경우도 드물고 서로 만나면 공통분모가 있으니 친해지기 쉽게지만 다른 대학 나왔다고해서 특별하게 보진 않을 겁니다. 별 생각 안해요. 한국에서 유학 온 1인이죠. 그들도 처음 유학나와서 헤매고 있는 건 똑같아요. 너무 자격지심 갖지 말고 어울리고 힘든 것들을 공유하다 보면 잘 맞는 친구들도 생기고 서로 도움도 주고받으면서 지낼 수 있을 거예요.
대댓글 1개
2021.07.03
그리고 글쓴이는 그 사람들이랑만 경쟁하러 간 게 아니라 그 대학교에서 학위하고 있는 모든 사람이랑 경쟁하러 간 거고 사실 전 세계 연구자들이랑 경쟁하러 간 거니까 그 사람들을 그렇게 신경쓰지 마세요.. 거기 대학교에서 경쟁력있게 공부할만 하니 입학시켜 준 건데. 다른 사람들은 가서 미국 애들 공부하는 거 따라가고 경쟁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을텐데 혼자 좁은 시야로 일부만 보고있지 마세요. 전체랑 경쟁하러 간 겁니다.
2021.07.03
포->해외박사 하고있는 사람입니다. 직접 부딛혀보면서 큰 간판에도 학생들 실력격차가 크다는걸 직접 겪어보시면 두려움은 알아서 사라지지 않을까 싶어요. 간판이니 랭킹이니 시간 조금 지나보면 생각보다 별거 없다는걸 알게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2021.07.03
저도 같은 코스인데 주늑들 필요 조금도 없다고 느꼈어요. 코스웍도 오히려 서울대 대학원보다 할만하고 느꼈고 언어+문화장벽만 극복할 수 있다면 한국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만족하면서 생활할 수 있을겁니다. 늦게 출발한 만큼 프로페셔널한 모습 보여주면 장담컨데 실험실에서 다들 인정 해줄겁니다.
대댓글 1개
2021.07.03
그리고 윗댓글중 하나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최근 만난 합격자분들과 작성자가 같은 랩에서 경쟁할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보통 경쟁을 하면 같은 합격자 중에 다른 미국인들이나 중국인들과 하는 경우가 훨씬 많아요.
웬만하면 한국인들끼리 서로 경쟁의식 갖거나 눈치볼 거 전혀 없고 서로 도울일만 있을겁니다.
대가랩 기준에선 석졸자가 다이렉트 박사보다 낫다는 것 역시 실제 그것을 경험하고 있는 당사자 입장에서 동의합니다.
(엄청 실험적인 주제 연구하는 신임교수랩이거나 아예 다른 분야로 갈아타면 모르겠으나)
2021.07.03
??
님이 진학할 탑 대학원의 경쟁자는 SPK가 아니라
베이징, 칭화대 괴물같은 친구들이죠.
대댓글 1개
2021.07.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kp가 거기에 꿀린다고는 생각안하는데
2021.07.03
대부분 서울대인데... KP는 그냥 연고서성한이랑 비슷한거같음...
대댓글 4개
정직한 그레고어 멘델*
2021.07.03
딱 봐도 서울대생 아니죠? ㅋㅋ
2021.07.03
댓글쓴 사람은 서울대라고 안했는데?ㅋㅋㅋ자기가 있는 곳에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서울대라는 소리 아님?
2021.07.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가 유학비율이 높은건 팩트.. 특히 포공은 많이 못봄. 그래도 연고랑 비슷한건 동의못함 학부생수가 적어서 그런걸수도?
2021.07.05
사람 숫자가 그렇다구요 ㅂㄷㅂㄷ 왤케 화가나심...
2021.07.03
외국에서 생활하는데 출신 대학보다 같은 나라 출신인게 더 반갑더라
2021.07.04
가보면 다 똑같아요. 유학 나가서 설카포가 왠말입니까? 박사 과정은 본인만 잘하면 돼요. 거기서 경쟁하려들면 스트레스 받아서 못 살아요. 경쟁 상대가 설카포만 있는것도 아니고요. 빨리 한국식 서열 문화 틀에서 벗어나길 바랍니다.
2021.07.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오히려 작성자님이 팁을 주셔야할거같은데 skp가 아닌데 어떻게 탑스쿨 유학을 가신거죠 너무 부럽고 궁금한데 추가글 쓰실 생각은 없으신가요
대댓글 1개
2021.07.05
동감합니다.
2021.07.05
비 SKP출신 Top5이내 미박하고 국내 교수된 사람입니다. 분명 과고 SKP 친구들 똑똑한거 맞는데 그게 다는 아니에요 ㅎ
본인이 이겨내시면 됩니다.
대댓글 2개
2021.07.0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교수님 제발 유학 꿀팁 좀 주세요.ㅜㅜ
2021.07.07
@오일러
보통 유학생 비율보면 SK가 압도적이고 P는 학교가 원래 작으니 많진않지만 좀 있고..H가 좀 많은편이죠 어떤경우 느낌적으로 Y나 K보다도 오히려 많은 경우도 있는거같고..
학교보다는 실력으로 승부하면 됩니다.
논문 실적이든, 영어든 결국 가장 강력한 무기는 본인 스스로에요 ㅎ
이기적인 로버트 후크*
2021.07.05
1. 나보다 남이 똑똑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2. 남과 비교하지 않기
3. 항상 최선을 다하기
2021.07.03
2021.07.03
2021.07.03
대댓글 1개
2021.07.03
2021.07.03
2021.07.03
대댓글 1개
2021.07.03
2021.07.03
대댓글 1개
2021.07.04
2021.07.03
대댓글 4개
2021.07.03
2021.07.03
2021.07.04
2021.07.05
2021.07.03
2021.07.04
2021.07.04
대댓글 1개
2021.07.05
2021.07.05
대댓글 2개
2021.07.06
2021.07.07
2021.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