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UNIST학부->SPK대학원 질문드려요

2021.02.13

23

4666

어느정도 학점이면 비벼볼만 할까요?
학점 외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목표나 계획을 어떻게 세울지 고민되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Theodosius Dobzhansky*

2021.02.13

3.7/4.3 정도면 가능할듯

2021.02.13

ECHE 군필 3.3/4.3 S,P 합격하는거 내 두 눈으로 똑똑히 봄 ㅋㅋ

2021.02.13

ㄴ 컨택이나 하셈

2021.02.13

유니스트면 학점 따는거 어려운고 교수님들이 알고 계세요. 과기원 필수코스인 연구실 인턴경험같은거 잘 어필하면 3.5/4.3이면 S,P는 무난할듯. 근데 카이스트는 3후는 찍으셔야해요

2021.02.13

?
3.5면 상위 2~30퍼쯤아님? 뭔 유니 4분의1이 spk를가

2021.02.13

C. V. Raman // 대학원은 카이스트가 설포 보다 들어가기 어려운가요?
Theodosius Dobzhansky*

2021.02.13

ㄴ 카이스트가 들어가기 쉽고 설포가 어렵죠

2021.02.13

ㄴㄴㄴIst 라인에서 설포 가기 쉬움 4.3만점에 자연대 3.3 공대 3.5 선이에요. 저는 유니는 아니고 디지스튼데 보통 이렇게 감 안정적으로 가려면 자연대3.5 공대 3.7정도? 근데 카이스트는 학점을 좀 빡세게 봐서 3.8이 컷이더라구여. 상위 20퍼정도면 spk 진학 가능한데 실제로 진학하는 학생은 별로 없어요. 상위권들도 자대 많이가요. 3학년때부터 ugrp 같은 연구 프로그램 하다보니까 학부연구원도 상당히 많이 해서 하던 연구 쭈욱 하는 애들도 있고, 3.8이상이면 총장장학생까지 노릴 수 있으니까 그렇게 많이 합니다. 전문연 때문에 타대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1.02.13

ㄴ즉 설포 대학원 보다 카이스트 대학원에 더 우수한 학부생들이 진학하고 인식도 카이스트 대학원 > 설포 대학원 인가요?
랩바이랩 말고 일반적인 인식 측면 에서요.

2021.02.13

ㄴ 그게 아니라 카이스트는 뽑는 방식이 학벌보다는 학점을 많이봐요. 저희 학교에서 선호도 측면에서는 카이>포스텍>서울대 에요. 서울대가 선호도가 제일 낮은거는 석사 안뽑고 전문연 컷이 좀 빡세서 그래요. 카이스트 선호도가 제일 높은 이유는 지금까지는 전문연 널널하고 석사도 많이 뽑아서 그런것 +과고에선 고딩 친구들이 상위권에선 카이 진학 많이 했으니까 선호도가 더 높은것도 있어요. 근데 선호도일뿐 spk 급간에는 차이 없어요. 학계에서도 세 학교를 동일 선상에 두니까요. 일반인이 보기엔 서울대>카이스트>포스텍 순으로 멋있겠죠? 그냥 그정도?

2021.02.13

지금 50대 후반까지는 대부분 대학을 나온 사람들이 많은 세대라
카이스트가 대학원중 으뜸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더군요
이번 설에 만난 30대 고향친구들 인식도 그렇고......
실지로 동생이나 동생친구들 카이스트 응시해서 떨어지는 애들도 많고 대학생들도
카이스트가 연구인프라나 대학원 다닐때 학비나 생활비가 들지않고 석박사후
취업 루트가 다양하고 좋다고 함. 서울서 교수하는 동네 선배 이야기도 그렇고....
뭐 대충 일반인들 흘러가는 이야기가 이정도..

2021.02.13

ㄴ30대들도 대학원은 카이스트가 으뜸이라고 생각하나보군요ㅎㅎ

2021.02.13

ㅎㅎ 그런네요
이번에 상위권공대에서 박사마치고 대기업연구소로
가는 나에게 축하한다면서 너도 카이스트 충분히 갈수 있는 실력인데 왜 안갓냐고 하길래 좀 뻘쭘해졌죠 ㅋㅋ

2021.02.13

ㄴ그렇군요. 역시 대학원은 카이스트 > 서울대 인것이 맞았군요.
사람들마다 의견이 달라서 그동안 헷갈렸었는데...감사합니다.

2021.02.13

유니스트는 수석해야지 오는거 아닌가요??

2021.02.13

참 오랜만에 만난 고향친구들이라 인식은 그래도 대학원은 대학처럼 그런곳이 아니라고 설명할 자리도 아니고 지방에서 학사졸로 취업한 친구들이라 설명해도 이해가 안될것 같아 웃어면서 대학원 가보면 실제는 그렇치 않은면도 있다면서 웃어 넘겼어요
박사하시는 분들은 무슨말인지 아실꺼예요 ㅎㅎ

2021.02.13

ㄴ그런데 대학원은 카이스트 > 서울대라는 인식은 어떻게 생겨난건가요? 대한민국은 대학원 인식도 학부 인식 따라가는 경향이 강한데...

2021.02.13

글쎄요 그건 잘 모르겠어요
세상 사람들이 인정하는거면 그럴꺼예요
다만 박사과정은 생각보단 어렵고요 자기와의 싸움과정이라 보면 되요 어려운 과정을 마치고 나면 기분이 참 좋아요 사회나가도 적응할만큼 내공은 길러져 나와요 모두 화이팅 하셰요~~~~~

2021.02.13

Fernand Braudel// 유니스트 괜찮은 랩 연구환경이 S, P 중간정도 랩이랑 비슷하거나 좋으니까, 옮길 수 있어도 그냥 남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리고 유니스트는 과기원이라서 전문연 TO 받고, 학생들 대부분 미필이어서 카이스트말고 굳이 S,P 대가랩 아니면 옮기진 않는 분위기입니다.

2021.02.13

ㄴ카이스트는 중간정도 랩도 s,p와 달리 유니스트 괜찮은 랩 보다는 좋은가요?
Theodosius Dobzhansky*

2021.02.13

대학원도 설,포>=카 입니다
Henri Bergson*

2021.02.14

제가 느낀 주변 인식으로 이공계 대학원은
굳이따지면 카,포 >= 설 느낌인데
출신학교나 학과별로도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일례로 자연대같은 경우는 설대가 선호도 제일 높은것 같구요

2021.02.14

본인 유니 학부 출신, 전전컴/재료공학 기준으로 진심으로 유니 학점 따기 어렵다고는 생각안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