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UNIST 교수는 거쳐가는 느낌인거 같은데 맞나요?

2025.03.05

30

9232

UNIST가 수도권하고도 멀고, 그렇다고 도심에 있는 것도 아니고 해서 그런지,

새로 오시는 교수님들 보면, 몇 년 있다가 다들 인서울 대학으로 옮기시는거 같더라고요.

그렇다보니 40대가 넘어간 교수님들 보면 뭔가 실력이 좀 부족한가? 이직 실패한건가?로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5.03.05

어허 비밀입니다

2025.03.05

어허

2025.03.05

ㅋㅋ

2025.03.05

공공연한 비밀...ㅋㅋㅋ 그래도 젊은분들은 서울로 이직하실때 대부분은 학생들 데리고 가주시잖아요

2025.03.05

쉬잇

대댓글 1개

2025.03.05

비밀이라구요

2025.03.05

보통 자녀교육문제로 옮기시규, 오퍼받아도 안옮기시는 교수님들 계십니다 ㅎㅎ

2025.03.05

반대로 서울에서 오신분들도 꽤 많아요
학생수급, 인프라를 알면 그런 소리 못하실텐데

2025.03.05

내려칠게 따로있지 UNIST 교수님들을 내려치나욬ㅋㅋ

대댓글 1개

2025.03.07

데이터를 보고도 그딴 소리를 하면
연구자 맞냐?

2025.03.05

내가 아는 옮긴 교수님만 10명이 넘네..
뻔뻔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5.03.06

어그로 그만~

2025.03.06

유니 교수들 카이,서울 yk 까지만 이직하는게 기본이고 그 아래급으로 가는 경우는 유니에서 진급안되서 가는 경우임. 유니 정교수 되는거 어려워서 남아있는 교수들은 실력과 학계내 입지 좋다고 봐야함.

대댓글 2개

2025.03.06

Ssh가 자대라서 실적 좋아도 이직하신 분들도 있어요

2025.03.09

포항으로도 겁나 많이 감

2025.03.06

연구 환경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시는 분들은 보통 남고 그 이외의 요소를 더 고려하시는 분들은 이직하시는 것 같습니다.

2025.03.06

그러는 너는?

2025.03.06

유니스트 과기원중에서도 테뉴어 심사가 가장 까다로운 학교로 알고 있습니다. 오래전 기사에서 심사에서 탈락한 교수님들도 실적이 워낙 좋아 인서울 사립대에서 스카웃 해간다고 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남아계신 분들이 오히려 선택받은 실력자일 수도~~~^^

2025.03.06

유니 학부 졸업생인데 서울대 연대 고대 카이스트로 이직한 분 10명도 넘습니다. 어떤 교수님 되게 좋아서 그 연구실 희망도 했었는데 학생 안 남겠다해서 포기한 적 있는데 그 교수님 결국 서울대 가셔서 연구실 차렸습니다.

2025.03.06

위치가... 어쩔 수 없음...

2025.03.06

이렇게 보면 유니스트가 진짜 학부생 입장에서는 가성비 최강인 학교네 학부연구생으로 있다가 꽁으로 skpyk 들어갈수있으니까

대댓글 3개

2025.03.07

연고대는 모르지만, 설포카는 학생들 못데리고 올거에요. 학생들이 알아서 입시 통과해야하고요.
저는 카이스트 나왔고, 저희학과에도 과기원에서 옮기신분들 많았지만 (제가 학석박 하는동안에만 네분이 오셨으니) 다들 연구실에서 많이 못데리고왔습니다. 그래도 책임감있으신 분들은 방문연구원으로 데리고와서 끝까지 지도해줬고, 대다수의경우 장비 이전해주는 조건으로 다른교수한테 학생 넘기게되죠.

2025.03.10

데리고올 수있습니다. 포는. 입시도 교수가 봐주면되요.
그런교수님 제소속학과에서 근2년동안 두분봄

2025.03.11

카이스트는 안됐어요~ 제가잇을때도 서강대, 중대, 과기원등에서 많이 넘어오셧는데 거의 대부분 2-3명정도밖에 못데려왔습니다. 당연히 입시들은 본인들이 통과해야했고요. 저때는 입시시험도 있어서 절대 그런식으로 통과 못해요.

2025.03.08

마찬가지로 입지가 약점이라고 하는 포항공대랑 비교해서도 참 안타까운게..
포항공대는 교수아파트가 제철초-제철중-제철고(+과학고)로 둘러싸인, 지방에서는 나름 최상급 학군지임. 그래서 자녀 교육때문에 학교를 떠나는 교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고 좋은 랩들이 연속성 있게 많이들 이어짐. 애당초 다운그레이드 감수할게 아니라면 포공 레벨에서 국내에 이직할만한 학교가 매우 제한적이기도 하고..

반면에 UNIST는 주변에 뭐가 없어도 너무 없음.. 그와중에 테뉴어까지 어렵기로 유명해서 테뉴어 뚫을 실적이면 다른 학교 이직 생각 하는 게 자연스러운 느낌.. 다만 UNIST 남아있는 교수님들도 테뉴어까지 받으신 분이면 실력이 모자라서 이직 못 한 사람은 없다고 봐도 됨 걱정ㄴㄴ

2025.03.08

지금 포닥 신분입니다만 뽑아만 주시면 뼈를 묻음... 서울 인구 밀도 때문에 힘들었던 지방출신이라 ㄹㅇ

2025.03.09

진짜 궁금한게 뭡니까?? 돌려 말하지.말고

2025.03.10

UNIST 임용 후 타학교로 간 교수입니다.
명실상부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최상위권인 곳입니다. 연구와 과제만 생각하면요.
연봉이나 실질적인 연구지원을 따지면 UNIST 보다 좋은 학교는 별로 없을겁니다.
(간접비가 비율이 높다는 것 빼고... 요즘 너무 많이 올랐어요)

이직의 가장 큰 사유는 개인적인 사유가 대부분이지 UNIST 가 나쁜 학교라서가 아닙니다.

이직을 안 하신 분들은 UNIST 에 보직으로 일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학교에 책임감이 강한 분들이십니다.
그 분들께 오하려 죄송한 마음이 앞서지, 그 분들 실력을 무시한다고 생각은 한 번도 한적 없습니다.
애초에 UNIST 에 임용될 정도면 연구자로서 실력을 입증받은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2025.03.10

유니스트는 교수들 실력 좋아서 다른 학교에서 많이 데려가려고 하는것 같음.. 그냥 유니스트에 남아 있으면 좋겠다.

2025.03.12

좀 그런 느낌이 쎄긴 하죠 ㅋㅋㅋ 위로 갈 수 있으면 바로 가는 느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