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카이스트 학석박나오고 미국에서 포닥 2년즈음 했고 내년 9월부터 50위권정도 주립대정도에서 태뉴어드 트랙으로 시작합니다. 될지 모르고 R1 15군데 지원했었고, 그중 세군데 오퍼받고 분야 랭킹이 더 높은곳도 있었지만 와이프와 얘기하면서 어느정도 한인들있는 곳으로 결정했습니다.
미국은 각나라에서 많이 오기때문에 각 나라 탑스쿨들을 많이 인정해주는 편입니다. 최소한 제가 나온 학교는 대부분 잘하는학교로 인터뷰때부터 웬만하면 다 알기도 했고요. 학교 서열짓은 부끄럽다고 생각하지만, 그렇다고 스스로의 수준을 낮출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ㅎㅎ 한국학교들 다들 여러가지로 훌륭하고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 뭐 노벨상없으면 다 똑같다고 말하는것도 솔직히 웃기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뭐 본인 자유라고 생각됩니다.
생각해보니 오늘은 갑자기 지도교수(백인)가 아기들때문에 요즘 데몬헌터스 노래 계속듣는데 catchy 해서 머리속에 떠돈다고 하면서 한국어파트 노래 흥얼거리는데 조금 신기하기도 했네요. 한국인들 국내든 국외에서 학위받든 다 본인자리에서 잘하는분들도 많으니, 여기분들 그리고 저도 그냥 묵묵히 본인일 잘해나가면 되지 않을까싶네요.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36 - 제가 29살 석사 입학해서 31살 졸업 후에 1년 취준해서 32살 대기업 입사했습니다.
지거국 공대에 SKP 석사 했구요.
운이 좋아 올해 37살의 나이에 회사 학술연수에 합격해서 지금 애기 있는 상황에서 박사 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인생은 답이 정해지지 않았어요.
할까말까 하는 선택은 하는게 맞습니다.
분명 하길 잘 했다 라고 생각하는 순간이 올겁니다.
하지만 늦은 나이에 후회도 올거구요.
멘탈 관리 잘 하시며 본인 인생의 우상향을 위해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25 - 내년에 30살 석사 입학 늦나요? 질문 적을거 같으면 걍 입학하삼
29살 석사 진학 늦나요?
17 - 지도 교수님이 시키는 대로 하세요.
왜 상관의 지시를 불이행하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당신 같은 사람은 회사가서 더 큰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이 될 잠재력이 아주 높다고 판단됩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34 - 상위 저널이라는게 뭔가요? IF 높은거? 저널의 실제 퀄리티는 IF와 무관한 경우가 많습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4 - 요즘 다 그 루트임.
다이렉트 서울 입성은 극소수...
그게 당연한거임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0 - 1) 어떠한 지원도 받지 않았으면 모를까 조금이라도 지원을 받았다면 연구 책임자의 의견이 최우선입니다.
2) 의견 정도는 제시해볼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한번 거절하였다면 그냥 하라는 대로 하는 편이 좋습니다.
3) 개인적으론 그거 한편만 쓸 건가 싶기도 하고 if도 중요하지만 길게 보면 교수님 말씀이 맞다는 입장입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21 - 실제 저널의 평판은 IF 만으로 평가하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PI도 IF가 높은 쪽이 더 좋은 저널이라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해서 IF는 낮지만 전통적으로 평판이 더 좋은 저널에 내려는 건가요?
얼마나 많은 학교들이 아직도 임용 서류 낼 때 IF 하나 하나 적어 내게 하는지 모르겠지만 상위 2%냐, 15%냐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는 어지간하면 PI 판단이 맞습니다.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4 - 1. 교신저자, 지도교수가 논문의 책임자고 투고를 하는 사람이므로 저널은 그 사람이 최종 결정하는게 맞음
2. 전통있는 저널, 그리고 님 논문 수준에 맞는 저널은 교수가 제일 잘 앎. 님이 학위받고 나중에 교수 임용 도전할 때 님 실적을 심사하는게 님 지도교수님 같은 교수님들임. 그분들은 IF에만 목매지 않음(정량 말고 정성평가에서)
3. 학계에 수십년 몸담은 사람들의 안목이 몇년 논문도 안써본 애송이들보다 안목이 좋을 확률이 높음. 물론 지도교수가 무조건 맞다는건 아님.
4. 특히 최근, 요즘은 IF에 너무 목매달면 안됨. IF 뻥튀기 방법들이 많아져서 중국계, 신생 저널들이 전세계 학자들 픽(그 분야에서)이 아닌데도 IF만 높은 경우가 꽤 많음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3 - 이 정도면..님이 그냥 교수인데요??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9 - "근무"라는 말이 참 모호함. 연구와 근무의 경계가 모호하고, 근무/업무라고 할 체계가 있는게 아님. 연구실에 상주하는게 근무도 아니고, 그렇다고 근무를 평가하거나 진행할 체계가 대학원에 있지도 않음.
그래서 과제 인건비를 없애고, 대학원생이 직접 펠로우쉽을 국가에 신청해서 들어오는 형태로 바뀌어야 함. 정원 TO도 국가가 해야함. 그러면 학생이 교수를 선택할 수 있고, 지금처럼 허접하게 아무나 대학원생으로 다 받아주는 구조도 바뀔수 있음.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2 - Spk 대학원 나오면 확실히 이득보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례로 국내대기업중에서는 spk 석박출신 연봉테이블이 따로있는곳이 많습니다. 사이닝보너스 같은것들도 spk 석박 출신한테 많이주고요. Ai 대학원은 더더욱 spk를 추천드립니다. 국내 약 10개밖에 없는 ai 대학원 중에서도 탑급이기에, 사회에서 대우가 다릅니다. 그리고 p 말고 yk, unist가 더좋다고 선동하는 글들이 많던데 걍 거르시면 됩니다. P가 위치가 안좋다고 하더라도 spk/ yk 인식은 앞으로 몇십년간 안깨질겁니다.
spk ai대학원 뽑는인원이 다합쳐서 1년에 많아봐야 200명이어서 경쟁률은 최소20대1로 매우높지만 스펙어느정도 되시는 spk학부 미만이신분들은 자대 대학원말고 spk ai대학원 꼭 도전해보세요.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11 - 저도 선배없는 신생랩에서 시작했는데 장단점은 이렇게됨
선배 없으면 장점 - 하나하나 전부 공부하고 하게됨
선배 없으면 단점 - 하나하나 전부 공부하고 해야됨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9
[커리어 정보] 석·박사 연구자를 위한 새로운 전문 분야: 영한 특허 번역 아카데미 안내
2025.08.14
수년간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쌓아 오신 전문 지식의 가치를 사회에서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해, 새로운 커리어 경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당신의 깊이 있는 전공 지식이, 그 자체로 대체 불가능한 경쟁력이 되는 분야가 있습니다."
바로 '특허 번역'입니다.
특허 번역은 단순히 외국어를 옮기는 작업이 아니라, 해당 기술의 핵심과 법적 권리 범위를 정확히 이해해야만 가능한 고도의 전문 영역입니다. 특허만의 독특한 형식과 특허청에서 요구하는 양식으로 인해 AI가 쉽게 대체할 수 없으며, 연구자 여러분의 전문성이 가장 빛을 발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
▶ 공인 영어 점수, 더 이상 고민하지 마세요.
특허 번역에 도전할 때 많은 분들이 영어 점수를 걱정합니다. 하지만 특허 영어의 핵심은 '기술 이해력'입니다. 토익/텝스 점수와 무관하게, 해외 논문을 꾸준히 접하며 쌓아 오신 독해 능력이야말로 특허 문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가장 중요한 자질입니다.
▶ 전문가로의 길, 제이엘아카데미가 함께합니다.
제이엘아카데미는 국내 유일의 영한 특허번역 전문 교육 기관으로서, 연구자 여러분이 가진 깊이 있는 지식과 전문 번역 스킬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어 드립니다.
1. 입문반: 탄탄한 기초 확립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체계적인 온라인 학습 시스템을 통해 특허 번역의 기초를 다집니다.
2. 실전반: 심화 강의와 실무 프로젝트의 결합
입문반에서 다진 기초 위에, 더 높은 수준의 번역 스킬과 전략을 심화 강의를 통해 학습합니다.
여기에 더해, 실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살아있는 지식을 체득하는 '도제식 성장 시스템'이 결합됩니다.
(Learn by Reviewing) 현직 전문가의 번역물을 직접 검수하며 노하우를 습득하고,
(Grow with Feedback) 자신의 번역물에 대한 꼼꼼한 피드백을 받으며 전문가로 성장합니다.
[온라인 커리어 세미나 (무료 웨비나) 안내]
이 분야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정보를 얻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무료 온라인 커리어 세미나를 개최합니다. 부담 없이 참여하시어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주제: AI 시대, 이공계 석·박사를 위한 새로운 커리어 전략: 특허 번역
방식: 유튜브 URL 공유(gmail 계정을 남겨주시면 공유해드립니다)
신청 방법: 아래 구글폼 링크를 통해 신청
👉 https://forms.gle/WBK3apk49SotYsMP6
문의: info@jlacademy.co.kr
여러분의 소중한 연구 경력이 더 넓은 세상에서 가치를 발할 수 있도록, 저희가 가진 모든 노하우를 나누겠습니다.
어쩌다 김박사넷 오게 됐는데, 김GPT 49 34 9399
김박사넷 오각형, B 김GPT 40 8 10508
컨택답변 김GPT 2 3 7564-
1 0 448
나이많은박사생한테 맞짱뜨자할건데 김GPT 13 10 7653-
0 0 391
설대 화학과 대학원 온라인 설명회 김GPT 1 3 7106-
8 10 3001 -
1 0 379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201 19 23817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201 15 20666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78 11 5813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초심자들을 위한 논문 쓰는 팁
794 - 하이닉스 초봉 뉴스뜨는거 보니까 웰케 현타오지
45 - 학위 과정을 그만두는게 맞을까요?
8 - 2025 대한민국 대학원 순위 (IST 포함)_최종
61 - 정출연 3년차 연구원 이직합니다
45 - 대학원순위_진짜최최종 정리
95 - 대학원도 쿠팡처럼 추노하네
22 - S대 허준이씨.. 군대가기 싫어서 미국국적 선택..
48 - 런할 교수님들은 딱 보이긴하는듯ㅋㅋ
18 - 교수님과 저널 관련 의견차이 조언 부탁드려요
11 - 주저리 주저리 신세한탄
14 - 유럽인들보면 세셰대전 참전하고도 노벨상 필즈상받던데
6 - 진짜 뿌린만큼 거두네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00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29 - AI대학원도 설카포가 마지노선인가요?
25 - 그냥 김박사넷도 하나의 디시네요 ㅋㅋㅋ
31 - 개인적으로 요즘 llm 탑 교수는
8 - 실력좋은 사람한테 업혀서 잘되는 사람
13 - 근데 대학원생 인건비는 편리주의적 행정의 폐해인 듯
14 - 카이스트 합격 메일 오신 분 있나요
6 - 선배 하나 없이 오로지 나 혼자 해야하는 연구실
18 - 고등학생 현 고2 대학 진학
9 - 질문 있습니다.
6 - AAAI 리젝 됐네요
21 - Ai대학원 정리
13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