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토스 AL, 토익 930 자대 학부연구생 경험 X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원하는 랩실에서 짧은 기간 인턴 진행 대외활동으로는 관련된 세미나를 듣거나, 아이디어톤 대회에 나가 수상하였습니다. 또한 가고싶은 분야를 부전공하여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였습니다.
D. 일단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부 대학원은 필기시험을 봅니다. 필기시험은 시험정보 유출문제로 자세히 알려드릴 수는 없지만, 정말 4대역학에서 중요하다고 교수님들께서 언급하는 문제가 나옵니다. 유도문제도 나오니, 기사 풀듯이는 공부를 안하셨음 좋겠습니다. 난이도는 쉽습니다! (혹시 성대 기계에서 인턴하고 계시다면 연구실 선배님들께 꼭!!!!!! 여쭤보세요.) 저는 학점을 보시면 대학원에 지원하기에는 굉장히 낮은 성적입니다. 또한 연구 경험도 없었구요. 그래서 필기시험을 잘보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잘 본지는 모르겠어요..ㅋㅋㅜ 성대 면접같은 경우에는 교수님 2명 그리고 학생 1명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면접분위기는 굉장히 편안했습니다. 사실 저는 거의 면접 뒷 번호라서 1시간 30분정도 대기하여 긴장이 많이 풀려있었습니다. 면접에서는
1. 자기소개 2. 왜 자대에서 학부연구생을 안했는지? 3. 성대 인턴하면서 생각과 달랐던 것은? 4. 강한 동기가 보이는데 왜 석박통합을 안하는가? 5. 진로계획
이렇게 크게 다섯가지를 여쭤보셨습니다. 저는 중간중간 꼬리질문이 꽤 있었습니다. 전공 질문 같은 경우에 필기시험을 봐서 안 물어보시는 것 같았어요. 제가 느끼기에 면접에서 제일 중요한건 진정성같습니다!! 그리고 면접 연습 많이 하시길 바랍니다!!
성대는 컨택과 입시는 별개인 것 같습니다. 다들 컨택하면 안 떨어진다하는데 아니에요. 불합격하는 사람 진짜 봤어요.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필기시험도 면접도 중요한 것 같아요. 서류에서 미리 걸러졌나 싶을정도로 면접이 짧게 진행이 됩니다. 하지만 서류에서 걸러졌다면 제가 제일 먼저 불합격이었을 것 같아요. 학점도 별로 학벌도 그닥 그렇다고 대외활동을 많이 했냐? 그것도 아니었습니다. 애초에 학부연구생 경험이 없었던 것도 디메릿이라고 전 생각했어요.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포기하지마세요. "내가 여기 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김박사넷에 질문 올리기 전에 바로 컨택 메일부터 보내보세요! 특정 몇몇 대학원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대학원은 랩실마다 커트라인도 다르고, 교수님이 원하는 학생상도 제각각입니다. 어떤 교수님은 학점이 아주 좋은 학생을 선호하시고, 또 어떤 교수님은 연구 경험이 풍부한 학생을 더 원하시기도 하죠. 그러니까, 정답은 교수님만 알고 계신 거예요. 컨택 메일을 드렸을 때, 교수님이 관심이 있으시다면 답장을 주실 거고, 그게 곧 가능성의 시작이 될 수도 있는 거죠. 망설이지 말고, 직접 두드려보세요. 그게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가고 싶은 랩실 인턴은 꼭 해보세요. 저는 인턴을 하면서 제가 어떤 연구를 하고싶은지, 내가 대학원에 맞는 사람인지, 랩실 사람들은 어떤지, 교수님은 어떠신지 알 수 있었습니다. 너무 소중하고 뜻깊은 경험이었습니당 결과적으로 저는 더 가고싶어져서 처절하게 입시 준비했던거 같아요 ㅋㅋㅋㅋ
성균관 대학원 간게 뭐가 대단하냐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는데 저는 너무 행복합니다! 제가 정말 가고싶은 곳이었고, 열심히 준비했기에 간절했어요 ㅎㅎ 좀 더 자세히 쓰고 싶은데 뭘 써야될지 모르겠어요ㅋㅋㅋ 혹시라도 질문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댓글 달아주세요. 생각 날때마다 확인해서 답변드리겠습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