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아직 국제학회 경험도 없는 학부생이 뉴립스급 주저자를 1년안에 어떻게 쓰나요? (무시하는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입니다.)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10 - 그런 애를 굳이 이런데서 칭찬할 수 있는 심성을 가진 글쓴이에게 존경심의 좋아요 누르고 간다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39 - 딱히.. 사실상 유승준급 병역기피자인데 한국에서 자리하기 힘들긴함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31 - 교수는 수업하는 직업이 아님...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6 - 뭘 쉬워 ㅋㅋ 최근 임용된 사람들 홈피가서 연구성과 봐 김박사넷 거주자들 100이면 99는 쳐다도 못보는 성과임
지거국 교수 임용난이도? 어떰?
57 - 진짜 그런 마인드로 교수하면 나라 망합니다.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24 - ㅋㅋㅋ 솔직히 한국에서 박사따거나 교수임용되면 부끄러운줄알아야함 근데 한국 교수들은 그 부끄러움같은게 없음 사회적 지위때문인가 싶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4 - AI가 수학인거를 이제 알았으면 너도 그냥 아는게 없는거 아님?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21 - 솔직히 학문 기본기가 떨어지는건 맞다고 본다. 눈에 보이는 작은 실적이라도 얻으려고 늘 부산하게 쫓아가는 마인드의 연구자가 대다수이니... 그런데 그 이면에는 연구비 시스템 관리와 평가제도의 틀이 그렇게 만든 요소도 분명히 있음. 기초부터 제대로 하고 싶어도 교수가 처리해야할 행정업무가 산더미이고 연구비따고 명맥이어가려면 눈에 보이는 아웃풋 내야하고... 그래서 석박사 하면서시간날때 지금 잡고 있는 논문의 이론적 바탕들을 천천히 샅샅이 훑으면서 진행하는게 필요. 근데 또 그러면 바로 눈앞에 1저자 몇개로 순위매겨버리는 사회적 인식에서 안좋게 될까 고민하는거고... 딜레마가 잇음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19 - 랩장님, 칼퇴하고 휴가 쓰셔도 됩니다~
랩장 보면 왜 연구실 들어왔는지 1도 모르겠다
16 - 그런 경우 교수가 좀 분위기 잡아줘야하는뎈ㅋ 계속 연구실 오피스 들락날락거리면서 언제 들어올지 모르니 마음 놓고 놀지 못하게ㅋㅋㅋ 대학원생이 낄낄깔깔 놀고 있는 모습 보면 진짜 한심 그 자체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1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연구실에서 시끄럽게 떠들면 먼저 책상을 내려칩니다.
또 떠들면 컴퓨터를 내려칩니다.
그러면 다시는 떠들지 않더라구요.
비록 저는 퇴학에 구치소까지 다녀왔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빠따가 남았으니까요.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60 - 안좋은 랩인 건 맞는데 본인이 직접 쓴 글에서도 크게 잘못한게 두 가지 있어서 답이 없네요.
1. 박사까지 할 생각이라서 TO가 많은 석박통합으로 지원해 합격해서 합격하였고 석사만 하고 싶으면 석사로 전환할 생각으로 대학원에 입학
2. 석사 전환이라는 말을 차마 못 꺼내겠어서, 나 내년에 결혼 예정이라고 혹시 잠시 1년 휴학해서 돈 벌고 결혼하고 실험실 돌아와더 되냐고 물으니까
1의 상황이었는데 들어와서 생각 바뀌었으면 그냥 한 학기 버리고 랩 나오거나, 교수 맘에 들게 1년쯤 교수가 시킨일 다 하고 다른 부분은 모두 맞추면서 그 정도 기간이 지난 다음에 집안 사정이든 뭐든 석사 전환 이야기 꺼내서 그것만 허락받았어야 하는데, 몇 번 봐도 이해가 안가는 이상한 2 이야기를 하면서 나락에 빠짐.. 지금은 좋은 해결책은 안 보입니다. 그냥 석사 포기하고 빨리 나가던지 꼬여서 기간 늘어져서 3년 혹은 그 이상으로 늘어져도 석사전환을 해내든지 같네요. 둘 다 험난한 과정일 것 같습니다. 원래 석사 전환을 잘 시켜주는 랩 자체가 드물어요.
지금 과제 상황에서 많은 랩이 석사가 연구 주제까지 고를 순 없고, 설대 그 랩 인건비는 이미 입학 전 알고 있었을 꺼고..
본인 입장에서 쓴 글임에도 불구하고 공감이 잘 안가네요.
많은 비추가 그 이유겠지요. 진정하고 잘 생각해보세요.
이 글만 봐도 본인이 바라는 거나 포기하지 못한 건 많고, 교수 맘에 들게 시키는 일을 군말없이 해내는 부분은 부족해 보입니다.
감정적인 교수에게 석사전환 어떻게 말할까
11
[DGIST] 2026학년도 대학원 봄학기 1차전형 원서접수 안내(6/26~7/10)
2025.06.09
※ 지원 전, 모집요강 내 장학금 유형(Scholarship Type)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혁신으로 세상을 바꾸는 융복합대학"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에서 2026학년도 대학원 봄학기 1차전형 원서접수를 아래와 같이 실시합니다.
1. 접수기간: 2025. 6. 26.(목), 10:00 ~ 7. 10.(목), 17:00
2. 모집학과(전공)
· 화학물리학과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 에너지공학과
· 뇌과학과
· 뉴바이올로지학과
· 학제학과 융합전공
· 학제학과 인공지능전공
· 학제학과 의생명공학전공
· 학제학과 양자정보과학전공
· 공학전문대학원 첨단기술공학과
3. 모집과정: 석사과정, 석·박사통합과정, 박사과정, 전문석사과정(첨단기술공학과만 해당)
4. 접수방법: 온라인 접수(유웨이어플라이)
학과(전공)별 연구실 안내 : https://www.dgist.ac.kr/gadm/sub01_01_01.do
* 대학원 원서접수: 원서접수 기간에 유웨이어플라이 사이트 연결 예정
5. 유의사항(확인 必)
① 원서접수 기간 내에 지원서 입력과 제출 서류를 완료하여야 하며, 기간 종료 이후 미비서류를 받지 않음
② 졸업(예정)증명서, 성적증명서, 공인영어성적표 등의 서류는 하나의 PDF 파일로 병합하여 온라인 지원 시 업로드
③ 졸업(예정)증명서 제출 불가 시 재학증명서로 대체 가능(최종 합격 후 졸업증명서 제출 필요)
④ 해외대학 졸업(예정)자의 경우, 아포스티유 또는 출신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공증을 받은 서류 제출
⑤ 추천서(선택 제출)는 추천인이 직접 입학팀 이메일로 보내야 하며, 원서접수 마감 이전 도착 시에만 인정
⑥ 장학생 유형에 대해 충분히 숙지 후 지원 요망(DGIST 대학원 입학 홈페이지 참고)
⑦ 전형료 결제 이후에도 자기소개서 및 수학계획서 등 수정이 가능*하므로 마감 이전 원서접수 권장
* 단, 지원 학과(전공) 및 과정은 입력 후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필요 시 문의처로 연락
⑧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전공)과 장학생 구분 필히 확인하여 지원 요망
6. 문의처: DGIST 입학팀(053-785-5146/5143, admission@dgist.ac.kr)
-
1 34 5033 -
10 22 6896
연고vsgdu 대학원 선택.. 김GPT 0 13 5574
대학원 입학할때 김GPT 0 8 9664
고대 발표 D-21 김GPT 2 7 5922
26살 연고대입학. 김GPT 0 5 8265-
0 1 4676
DGIST 전전 대학원 입시 김GPT 0 4 1754
서울대 발표 6시보다 빨리 김GPT 2 4 6714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78 10 33467-
259 21 34049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56 40 65757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생 모집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68 - 연구실 분위기 막창났음
61 - 대학원 온게 잘못된 선택이었나 싶음
80 - 대학원생의 스케줄, 루틴을 이해 못 하는 사람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줘야할까요?
26 - 이 새끼를 우리 랩실에서 쫒아내고 싶다
55 - 막내를 대하는 교수님의 태도가 달라졌다
20 - 랩장 보면 왜 연구실 들어왔는지 1도 모르겠다
7 - 우리는 왜 이 힘든 길을 시작했을까요
9 - 주저자(제1저자)에게 연락없이 공저자 마음대로 논문수정후 최종투고
8 - 김박사넷에 들어와서 느낀 점
30 - 이번에 카이 전전 국/카 서류 빡셌나요?
8 - 카이 서류 결과가 나왔네요
9 - 여기가 연구실인지 놀이터인지
12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54 - 미국 유학에서 학벌의 영향력
22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56 - 미국박사 주립대 가능할까요?
15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21 - 허준이 교수가 미국 국적이란게 너무 아쉽다
23 - 저는 교수가 돈 많이 번다고 생각하는데 착각인걸까요??
44 - ai 관련 논문 읽고있는데 기초 이론쪽은 한국이 거의 전멸이네 ㅋㅋㅋㅋ
38 - 캐나다 로봇 석박을 희망하는 2학년입니다 스펙에 대해 궁금합니다
16 - 피타고라스 정리 증명인데, 증명 벌써 존재하는지 여부 알려주실 수 있나요?
24 - 파이썬 코드 작성 GPT 의존
17 - 교수가 자기가 가르치는 교재에 대한
12 - 카이 전산 코테
11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