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인터넷 세상이 다 그렇죠 뭐,,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6 - 인터넷만 보면 다들 서울대 교수임 ㅋ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1 - 아니 뭐… 평생교육원 같은게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인거죠. 누구나 이름대면 알만한 명문대에서 실제 연구진 양성을 목표로 인류첨단의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누구에게나 열린 기회일수야 없죠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1 - 인터넷은 허언과 뻥 소수의성공자만 글씀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22 - 실제로 진학한 사람들은 보기만하지. 글 별로 안씁니다 ㅋㅋ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9 - 신임 교수가 바쁜 당연하고 외부 미팅도 많은 게 당연함
미팅 100번 해야 1개 얻음 신임은
근데 자기 실험실 관리도 못하면 망하기 딱좋지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2 - 요즘 연구비 딸려면 AI 무조건 붙려야되서 그럼ㅋㅋ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14 - 거 지금 제일 핫한 분야에 가려고 하면 당연히 어렵지 않겠습니까?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12 - 맨날 어디 미팅다니시고 밥먹으러 다니시고
미팅 <- 이게 일입니다
밥먹으러 <- 이게 일입니다.
뭐 교수가 박사띠리 교수따리 학부생따리처럼 입.문.서 같은거 보고 공부할줄 아셨습니까?
업계 최정상 사람들이랑 미팅 하면서 밥 먹으면서 트렌드 파악하는것도 일입니다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9 - 토익점수랑 똑같은거죠. 영어 실력을 그 많은 지원자에게 모두 test 할 수 없으니 서류에서 거를 수 있는 기준입니다.
그렇다고 시험 점수처럼 딱 짜르진 않지만(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니..), 고려할 수 밖에 없죠.
누군지도 모르는 두 사람을 영어 관련 일을 뽑는데 토익 500점보다 토익 900점자가 더 잘하겠거니 생각하고 뽑는거죠, 실제로는 500점인 사람이 영어를 더 잘할 수 도 있지만요.
회사에서도 관련 분야(대학으로는 전공과 겠죠?)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사원을 뽑는데 서울대랑 지방대랑 있으면 서울대를 뽑겠죠.
학벌만으로 사람을 판단할 순 없어도 학벌만 평가에서 부당하다고 배제되는건 옳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취업때 학벌 본다는게 뭔가요?
12 - 1. 신임교수는 첫 3년 정도까지는 수업 로드 때문에 연구할 시간이 없음
2. 신임교수는 연구실 세팅부터 정말정말 행정 잡일이 많음
3. 그래서 재임용은 보통 포닥 때 쓰던 논문들이 억셉되거나 박사/포닥 지도교수님 도움을 받아서 실적 냄
4. 대학원생의 흔한 착각 중 하나가 본인이 공부해서 알려주면 교수가 잘 모를 때 자기는 똑똑하고 교수는 멍청하다고 생각함. 같은 분야라도 학문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데, 논문 몇 개 읽고 공부했다고 랩미팅 때 교수가 잘 모르는거 같아 무시하는건 진짜 철없는 짓.. 그 교수가 님 연차였을 때는 10배는 더 날아다녔음. 입지와 위치와 상황이 달라진거지 글쓴이한테 무시당할 사람들이 아님
5. 미팅하고 밥 먹으러 다닌다고 표현 하는것도 학계를 아예 모르면서 하는 이야기. 교수들은 최소 글쓴이 포함 대학원생들 했던거 다 했고 그중에서도 에이스였던 사람들이고, 지금은 그들만의 일/연구 하는 방식이 있는거임. 미팅을 술 마시고 노가리 까러 가는줄 아시나
6. AI 넣어서 융합하게 트렌드 따라가고 새로운 도전이고 그런건데 뭘 그렇게 무시하는지 모르겠음. 누구나 처음은 서툰거고, 그리고 원래 연구실의 새로운 연구는 대학원생이 주도하는거임. 님이 그렇게 실력키워서 나중에 교수되면 님 제자가 똑같이 하고, 그러면서 학계가 순환하는거.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99% 교수문제임. 교수가 논문 쓰라고 독촉하고 검토피드백해서 퀄리티 높이려고 노력해야함. 학생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면 애초에 학생을 덜 받든가 고년차에게 맡겨서 공동1저자 주면서라도 정리해나가야함. 지금처럼 방치하면 절대 안됨. 많은 학생들 인건비 다 챙겨주면서 장기간 데리고있는거보면 연구비는 풍족한 것 같은데 교수입장에서는 연구비만 풍족할 수 있으면 논문 없어도 큰 문제가 없거든. 그러니까 방치해놓는거임.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7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교수님과의 대화.빨리부탁 형들
2020.10.09

랩실 온지 일주일도 안됬는데
좀있다가 교수님이랑 같이 밥먹는데(연구실에 나밖에없어서)
무슨이야기 해야되냐? 뭔가 ㅈㄴ어색하네.. 형들 부탁드림.
좀전에 계신 연구실 박사형은 자기 인생 예기 하시라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그래서 생각한게 내분야랑 비슷한곳에 내가가고싶은 분야가 있는 곳에 박사 까지 커리큘럼을 계획하고 싶다고 하는거 말해도됨?
그리고 밥드시라고 연구실에가서 뭐라고해야함?(교수님 밥드십시요?하고 나와야함?아진짜 맨붕..매일 연구실사람들이랑 같이먹다가.)
일을 잘 한다는 것. 명예의전당 193 13 18514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104 27 15595
연구실을 옮기는 것에 대하여 명예의전당 152 33 2511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학위논문 누구에게까지 드려야 할까요?
9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97 - 진짜 기쁘다
80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0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1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9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7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57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59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2 - 생각보다 컨택이 됐다는걸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는 사람들이 많네
20 - 카이스트, 포스텍, 연세대, 고려대 1.5조원 사업 우선권 취득 ㅎㄷㄷ
22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5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9 - 박사과정생이 지도교수님께 공동교신저자 등록을 여쭤보는 것에 대해 의견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43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0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12 - GPT의 함정 - 논문 제목 편
13 - 박사과정 최종 합격 후 답변이 없어진 교수님
15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0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2 - 대학원 갈때 학점 의미있나요?
14 - 교수님과의 연구 내용 갈등
12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18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0
2020.10.09
2020.10.09
202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