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10개 중에 자기 학교 빠져서 화나셨나보다.
8 - 직접증거가 있으면 신고 하세요. 없어도 진짜 조작으로 승승장구했다면 늦든빠르든 뽀록나서 나락갈 날이 반드시 옵니다.
부정행위는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행위자의 사고행동양식을 뒤틀어버리는 것이 진짜 문제입니다. 인지부조화가 정말 무서운거예요.
연구자로서의 이상과 부정한 나에 대한 인지가 부조화를 일으키면, 사람은 행위를 고치기보다는 이 정도부정은 원래 괜찮은거다 라고 합리화 해버리면서 경계가 무너져요.
한 번 선을 넘어버리면 이후의 모든 행동과 판단이 과거의 자신을 미화하는 방향으로 점점 더 심화됩니다.
31 - 살다살다 포닥이 뽕찬 경우는 또 처음 보네
11 -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8 - 집착하는 것 같은 게 아니라 집착하고 있습니다.
7 - 다행입니다. 주위에 교수가 좋은 직업이라고해서 억지로 교수가 되신분 있는데,, 매일매일 지옥이라고 하네요. 천직이신 듯 합니다
8 - 부/경 정도의 교수는 중경외시급 이상이라고 봅니다. 자대생 수급도 매우 좋고, 등록금 저렴해서 인건비 걱정도 덜하고. 무엇보다도 공무원 신분이라 안정적이고 승진실적이 비교적 수월해요. 원하면 추후에 인서울로 옮기면 그만이니
8 - 부산대 현직입니다.
저는 부산대와 인서울상위(중경외시 라인) 합격했었는데 부산대로왔습니다. 삶은 매우매우 만족합니다. 과제따기 수월하고 지역사회에서 대우도 매우좋고 부산의 삶도 좋습니다ㅎㅎ
주위 부산대 교수님들도 skpyksh정도나 unsit 아니면 대부분 부산대 더 선호하실것같습니다. 최근에 이직하신분들도 skpyk만 가시고요.
8 - 1, 2는 어쩔 수 없고 3은.. 석사부터 유학 가고 싶으시면 타대랩실은 힘들 것 같습니다. 저도 여러 군데 컨택 과정에서 교수님들 몇 분과 면담을 했는데, 다들 안그래도 타대생인데 진학할것도 아닌 사람을 왜 자기가 지도해줘야 하냐고 하셨습니다. 석사 후 박사 유학을 꿈꿔도 타대생을 받을 때는 대부분 석박통합으로 받으시다보니... 아무래도 3번이 저는 가장 걸립니다.
7 -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저는 컨택 후 면담에서 "연구해보고 싶다"를 먼저 말하면 싫어하시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직접 해 보니 학부 지식과 연구에 필요한 지식은 꽤나 다르고, 분야마다 차이가 좀 있겠으나 연구를 하려면 굉장히 많은 선행지식이 요구되는 것 같습니다. (학부에서 배우는 이론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이전에 실행된 수많은 논문에 담긴 실험의 과정과 결과, 그리고 실험 과정에서 데이터를 얻고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까지 모두 포함해서 말입니다.) 그래서 "연구해보고 싶다" 보다는 "연구와 학부공부의 차이를 직접 보고 싶다.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공부하고 구경이라도 해보고 싶다" 로 시작하여 들어가서 선배님들 따라다니며 익히고 나서, 조금씩 연구에 관한 본인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7
서울대 연구계획서 분량
2020.09.27
보통 어느정도로 쓰시나요
정말 케바케인거같은데
석박 진학 이후의 연구계획 쓰는 부분이 특히 어렵네요 ㅠㅠ
예비석사생 나부랭이가 쓰기에는 ㅠㅠㅠ
서울대는 졸업이 어렵다고 하던데 김GPT 3 19 9242
인생이 어려워 김GPT 20 8 5536
서울대 컨택은 많이 힘들까요? 김GPT 5 17 7393
서울대 대학원 건축학과 입학관련.. 김GPT 2 6 11210
서울대 컨택 김GPT 1 3 4259
박사 산학장학생. 김GPT 0 12 8361
반도체 실험 대학원 질문 김GPT 0 4 6533-
0 2 4928
서울대 수강 및 연구 계획서 김GPT 1 5 1464-
132 15 56094 -
300 33 81592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 명예의전당 118 4 3921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0.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