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4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2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6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5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5 - 글쎄요. 학부 연구생이 진행한 실험과 결과. 그리고 기존 연구와 다른 결론을 설득하기 쉽지않을텐데요. 조작이라고 단정짓지마시고 지난 번에는 이렇게 작업을 했는데 저도 이렇게 할까요 라고 교수에 물어보세요. 모르는척 하고. 반응을 보시죠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0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0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5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8 - 미국에서 학부 했는데 어떤 학부생이 네이처 본지 1저자로 내기도 함. 비교하면 끝도 없음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3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4
스트렐레스키
2020.09.04

시어도어 랜던 "테드" 스트렐레스키(영어: Theodore Landon "Ted" Streleski, 1936년 ~ )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던 미국의 대학원생으로, 1978년 8월 18일 둥근머리 해머로 옛 지도 교수인 카렐 데 레우(Karel de Leeuw) 교수를 살해했다. 스트렐레스키는 살해 직후 자수했으며, 레우(Leeuw)가 그의 부서원상을 지지하지 않았고, 자신을 동료들 앞에서 비하했으며, 자신의 재정 지원 요청도 거부했기 때문에 살인이 정당 방위라고 주장했다.스트렐레스키는 수학 박사 학위를 따기 위해 19년을 보냈으며,학비와 생활비를 대기 위해 저임금 일자리를 병행하기도 했다.
스트렐레스키는 재판 중에 자신의 살인은 "논리적·도덕적으로 정당하다"고 진술하는 한편 대학원생에 대한 학과의 처우에 대한 "정치적 발언"을 했으며, 국선변호인에게 (변호인이 주장한) "심신 미약에 따른 무죄"가 아닌 그냥 "무죄"를 항변하라고 강요했다. 스트렐레스키는 2급 살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았다..
스트렐레스키는 가석방을 세 차례 신청할 수 있었지만, 그때마다 스탠퍼드 대학교 캠퍼스에 발을 들여 놓지 말아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스트렐레스키는 1985년 석방될 당시, "또다시 살인을 저지를 뜻은 없습니다. 하지만 미래를 예견할 수는 없지요."라고 말했다.1993년에 스트렐레스키는 그의 범죄 경력이 밝혀지자 샌프란시스코 시영 철도로부터 운임 수선공 자리를 거부당했다.
교수 특 김GPT 73 23 21537
한국교수의 단상 김GPT 77 56 17009
컨택한 교수님이 말을 바꾸셨네요 김GPT 15 19 10017
연훌들 진짜 김GPT 46 22 6197-
17 21 9589
지도교수에 의한 스트레스 김GPT 11 9 4592
대학원에서 공황장애 얻은 썰 김GPT 19 4 13113
학부때 경험한 최악 썰.txt 김GPT 7 13 9542
. 김GPT 9 6 5176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58 25 74551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65 37 58405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2 19 5876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교수 특
73 - 우리 지도교수님..
15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4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4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6 - 학부생 스펙 평가 부탁드립니다
3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5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5 - 교수 특
73 - 우리 지도교수님..
15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3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9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4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4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6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5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2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10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30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5 - 대학원 군입대
12 - ACL EMNLP 를 포함한 전반적인 자연어 논문들 퀄리티가 많이 내려간 것 같네요?
13 - 교수님은 정말 좋으신데 방장이랑 사이가 안 좋으면
11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0.09.04
2020.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