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요즘엔 학부보다 대학원이 중요하다는데 맞음?

Camille Saint-Saëns*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0.09.01

30

9660

학부는 인서울 중위권인데 선배가 요즘들어 대학원 네임벨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네. 맞냐?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0개

2020.09.01

어떤 합리화를 하고싶은건데?
Thomas More*

2020.09.01

대학원도 네임벨류 중요하지만, 학부는 평생간다
유니짜장 출신인데, 오늘 연구소 박사님들이랑 다른 정출연가서 미팅하고왔는데 서울대 동문회하는줄 알았다
박사라도 카이해서 망정이지, 것도 아니였으면 대화조차 못붙일뻔했다
Peter Gustav Lejeune Dirichlet*

2020.09.01

다 중요함 그냥
Camille Saint-Saëns*

2020.09.01

합리화가 아니라 자대갈까 고민중인데 조금이라도 높이가야하나 생각되서
Emil von Behring*

2020.09.01

대학원학부도 평생감 ㅋㅋㅋ
Rabindranath Tagore*

2020.09.01

대학원 네임밸류도 학부 네임밸류도 다 중요하지
Emmanuel Le Roy Ladurie*

2020.09.01

요즘엔 전공이 중요함ㅋㅋㅋㅋ
Claude Debussy*

2020.09.01

분야>>대학원>=학부

2020.09.01

실력이 제일 중요함 그러나 네임벨류 본다면 대학원보다는 학부지

2020.09.01

앞으로 점점 실력없으면 나가리입니다.

언제까지 자리가 만들어 위치에서 버틸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까 ㅋㅋㅋㅋㅋ

2020.09.01

Thomas More/ 유니면 좋은 학교 나온 겁니다. 거기 나와서 정출연에서 일 잘하고 있으면 그걸로 된거고, 이제부터는 본인 실력으로 사회생활 잘 하면 되죠. 어디가서 상대가 서울대니까 쫄지 말고, 그 상대가 어떤 정도의 깊이있는 생각을 갖고 어느 정도의 통찰력을 갖고 얘기하는지 보세요.

서울대는 공부 잘했기 때문에 간 곳이고, 정출연에서 다같이 모여 수능 문제 풀고 있는 건 아니잖아요?
Thomas More*

2020.09.01

ㄴ누가 그걸 모르냐
근데 그 안에서도 학부로 파벌이 나뉘니까 그럼
근데 어딜가나 또 독자적으로 파벌 형성해서 놀더라
Claude Debussy*

2020.09.01

교수들끼리도 국내파 해외파 나누지 않음?
Thomas More*

2020.09.01

어딜가나 보이는 파벌이 서울대라인이랑 한양대라인이더라
학부학벌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더라

2020.09.01

지방대공대 교수진도 옛날부터 서울대 라인 한양대 라인 마피아 파벌
Emil von Behring*

2020.09.01

한양대 라인은 본적없고 요즘 지거국만 가도 서카포가 90프로 이상임

2020.09.01

윗글은 학부라인임 그분들 석박사학위는 미국 상위 주립대 이상 아니면 서포카가 많치요

2020.09.01

한양대라인이라는 ~~라는 애들->>>한양대 잡대생임ㅋㅋ

2020.09.01

현실은 연고대에비해 대학원 티오,학점컷도 존나차이남
Claude Debussy*

2020.09.01

박사한 곳이 spk이상이면 분야>> 실적 >> 학부
박사한 곳이 그 아래면 실적 >>>> 분야 > 학부?

2020.09.01

Charlotte Brontë/ 자네 학부가 어딘가.... 뻥치겠지....
자네는 그기 들어가지도 못하네....
John Ambrose Fleming*

2020.09.01

spk에서 s는 빼주세요 지균도 섞였을텐데 불쾌하네요

대댓글 1개

깜찍한 제인 오스틴*

2023.01.27

병신새끼 ㅋㅋ

2020.09.01

엄마가 중요하냐 아빠가 중요하냐 할머니가 중요하냐
Emmanuel Le Roy Ladurie*

2020.09.01

솔직히 교수하려면 자교 교수 자리 아닌 한 학부 학벌 개많이 봄 당장 인서울 여러 대학 교수 학벌 열어보셈 학부 서울대 아닌 사람 비율 몇 프로?
Claude Debussy*

2020.09.01

ㄴ 걍 과거에는 실적상관없이 학벌만 ㅈㄴ 많이 본거고, 요즘 덜해졌는데도 서울대에 잘하는 사람 비율이 높아서 그런거 아님?
요즘은 지원한 학교 급보다 지원자 학부가 높기만하면 크게 상관 없음

2020.09.01

요즘 실적위주로 많이 뽑아서 무조건 서울대 출신들이 교수되던 시대는 지나갔어요. 최근 몇년간 제 전공에서 교수 채용을 보면 서울대니까 뽑았다고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건이 거의 없었던 것 같네요. 실제로 비서울대가 많이 뽑히기도 했고...

2020.09.01

Thomas More/ 유니스트 출신에다가 지금 박사받고 정출연에 있으면 아마도 유니스트 1기나 2기 정도 되겠네요. 유니스트면 졸업생도 적고 선배는 거의 없고, 사회에서 좀 소외감을 느낄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제 경험으로는) 막상 일해보면 마음 맞는 사람들이 기관 내외에 생기고 크게 파벌에 영향 받지 않고 살아갈 수 있습니다. 저는 그랬고, 제가 운이 좋았던 건지도 모르겠습니다만...

파벌 때문에 손해볼 일이 생길 수도 있지만, 그러려니 하시고 마음 맞는 사람들하고 일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다른 사람 배척하지 않고 존중하면서 열심히 10년 이상 일하고 나면, 다양한 학교 출신의 좋은 사람들이 주위에 많이 생겨 있을 겁니다.

제가 한때 유니스트에서 일했기 때문에 유니스트와 졸업생들에게 애정이 많이 있습니다. Thomas More님도 사회에서 품은 뜻을 잘 펼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옹졸한 존 폰 노이만*

2023.01.28

학부 학벌과 대학원 학벌중에 누가 중요하냐면 당연히 학부학벌임...비교가 불가임.... 막말로 학부 서울대가는 것과 대학원 서울대 가는것은 난이도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비교불가임

대댓글 1개

2023.05.21

이게맞음. 걍 들어가기 더 어려운게 우선임.
예를 들어 spk -> 탑대학 유학 박사면 탑대학이 더 중요함. 왜냐면 spk 학부입학보다 탑대학 박사 유학이 훨씬 더 어려움.
근데 국내에서 학부 서울대가 박사 서울대보다 (학부 잡학과 제외) 더 어려움. 그럼 학부 학벌이 우선.

우리나라에서는 입학 난이도로 가치 매기는게 한 8~90프로는 됨.
미국은 졸업 난이도로 가치 매기는게 45프로는 되는듯. 졸업이 상대적으로 어려워서 그런듯.
그리고 유럽은 졸업 난이도로 가치 매기는게 75프로 이상. 많은 대학이 평준화라 개나소나 받고 매년 절반씩 떨궈서 그럼.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