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진로 고민이 되어 주저리 글이네요~

2025.10.27

2

337

김박사넷에 예비 연구원 / 현직 연구원분들이 많이 계시다고 들었습니다. 고민 한 번 털어놓고 싶어서 글 씁니다.

저는 생명과학 전공으로 학부를 마쳤고, 지금은 석사 졸업까지 1년 남겨둔 상태에서 네덜란드에서 인턴십을 다녀온 뒤 박사과정을 준비 중인, 그냥 연구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곧 30이 됩니다.

해외에서 지내면서 제일 크게 느낀 게 하나 있어요. “의사로서 연구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솔직히 말하면 좀 충격을 받았습니다. 임상에서 실제로 환자를 살리면서 동시에 연구로 다음 세대 치료법까지 만들려고 뛰는 걸 보니까, ‘아 저게 내가 되고 싶은 인간상이다’ 라는 생각이 너무 강하게 들더라고요.

저는 자연대 출신이고 의대 분들이랑 같이 일할 기회도 몇 번 있었지만, 이번에는 단순한 동경을 넘어서 진짜로 마음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인류의 삶을 실제로 바꾸는 직업과 책임을 갖고 살고 싶다 — 이런 마음이 생겼습니다.

문제는… 제가 그 자격이 있는가? 입니다.

그래서 지금 고민이 이겁니다:
내년에 의대 진학을 목표로 준비를 시작하는 게 맞을까?

나이는 이미 30 직전이고, 연구 커리어만 놓고 보면 그냥 이대로 박사 가서 계속 파고드는 길도 있긴 합니다. 사실 제 궁극적인 목표는 ‘훌륭한 연구자’입니다. 그건 변하지 않아요. 다만 저는 이제 ‘의학적 자격과 현장성’을 갖춘 연구자가 훨씬 더 큰 임팩트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됐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더 설득력 있는 연구자. 치료를 직접 해본 사람의 연구.)

그런데 이게 제 개인적인 이상에 불과한 건지, 아니면 실제로 커리어 차원에서 투자할 가치가 있는 선택인지가 잘 안 보입니다. 여기 계신 분들은 현장에서 어떻게 느끼시는지 궁금합니다.

- 비의대 백그라운드에서, 뒤늦게 의대로 진입해서 연구 중심 커리어를 가는 게 현실적으로 가능한 길인가요?
- 아니면 그냥 지금 내가 가진 백그라운드(기초 생명과학/연구 경험)로도 충분히 강력한 연구자가 될 수 있는 건가요?
- 즉, “의사가 되어야만 하는가” vs “이미 가지고 있는 걸 최대화하면 되는가” 이 질문입니다.

이게 결국 인생 몇 년짜리 선택이라, 선배 연구자 분들 / 의사 연구자 분들의 시각이 정말 듣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10.28

우리나라 의대가면 연구 못해요. 의대 교수도 병원 돈 벌어주느라 바쁨. 서울대도 마찬가지.

미국 상황은 다르냐? 거의 비슷함..

그니까 방황하지말고 나이도 30가까이 되었는데 하려는거 열심히 하십쇼. 충분히 도움되는 쓸모있는 사람이 될겁니다.

2025.10.30

의사가 돼야 생명 연구 잘할 수 있다는 생각은 현실과 정반대인거 같고요 그전에 해외 의대면 모를까 현재 한국 의대는 서울대 모든과를 쌈싸먹을 정도로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현실성도 없는 생각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