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기업이 잘나가야 우리나라가 잘 지낼 수 있나에 대하여

2025.09.24

5

139

제목 관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과제 정책은 국력을 후퇴시키는 중이라 생각함.
토론해보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글써봄.

토론 주제: 국가과제는 기업의 상생과 연관이 있는 과제들이 차세대, 미래 연구 과제보다 비중이 현저히 낮은 것에 대해.

나의 의견: 나는 우리나라 국가과제의 방향성은 산업에 기반해야한다고 생각함. 그러나 개인적인 의견으로 우리나라의 밥줄 대비 상대적으로 돈되는 주제와 거리가 먼 미래 기술, 차세대 물질 등에 너무 치중돼 있다고 느낌. 민관협동, 학연산 인재 성장사업 등의 과제 또한 실제 기업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함이 아닌 것으로 생각됨.
산업혁명을 이끄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음. 그러나 우리가 그걸 몰라서 AI분야에서 IT강국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할정도로 뒤쳐졌을까? 우리가 그걸 몰라서 실제로 사용료를 지불히는 핵심 재료 특허권들이 현저히 낮을까? 나는 아니라고 보며 잘하고 있는 것을 지키고 더 잘해야한다 생각함.

매번 돈되는 주제만 연구한다는게 문제라며 노밸상이 없는 이유를 언급하곤 하지만, 대부분의 공학 관련 노벨상 타신분들은 이전부터 기술적으로 국가적 재화 수입이 가능한 수준의 연구들을 병행한 경우가 굉장히 많음. 그래야 세계적으로 기여를 한걸 인정받는거니까.
반도체 (또는 밧데리 자동차 조선 등등)가 멱살잡고 있는 한국이라면, 반도체 인력 사업이랍시고 쓰지도 못하는 미래 소자에 대한 과제보단 현실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어려움들을 해결해주는 연구실들에게 더 과제비가 돌아가야한다고 생각함.
그래야 산업도 인재 확보하고 기술 개발이 수월해질거라 생각함.
당신들의 의견은어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9.24

취지는 알겠으나 글 전반적으로 근거 없이 주장 기반으로만 작성하신 것 같습니다. 건설적인 토론을 원하셨으면 여러 정량 지표들을 기반으로 하셔야 할 것 같아요. 그건 차치하더라도 반도체, 배터리 등 산업의 현실적 당면 문제들을 연구실 단위에서 해결하기엔 스케일과 자금이 모두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아무리 투자를 늘리더라도..)

대댓글 1개

2025.09.25

백번 맞는 말임. 정량지표로 느꼈던걸 싸지른 거긴해서 할말은 없음

2025.09.24

토론은 “생각”과 “느낌”으로 하는게 아님.

대댓글 2개

2025.09.24

제목 관점에서 현재 우리나라의 과제 정책은 국력을 후퇴시키는 중이라 생각함.
토론해보고 싶은 내용이 있어서 글써봄.

토론 주제: 국가과제는 기업의 상생과 연관이 있는 과제들이 차세대, 미래 연구 과제보다 비중이 현저히 낮은 것에 대해.

나의 의견: 나는 우리나라 국가과제의 방향성은 산업에 기반해야한다고 생각함. 그러나 개인적인 의견으로 우리나라의 밥줄 대비 상대적으로 돈되는 주제와 거리가 먼 미래 기술, 차세대 물질 등에 너무 치중돼 있다고 느낌. 민관협동, 학연산 인재 성장사업 등의 과제 또한 실제 기업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함이 아닌 것으로 생각됨.
산업혁명을 이끄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음. 그러나 우리가 그걸 몰라서 AI분야에서 IT강국이라고 부르기도 민망할정도로 뒤쳐졌을까? 우리가 그걸 몰라서 실제로 사용료를 지불히는 핵심 재료 특허권들이 현저히 낮을까? 나는 아니라고 보며 잘하고 있는 것을 지키고 더 잘해야한다 생각함.

매번 돈되는 주제만 연구한다는게 문제라며 노밸상이 없는 이유를 언급하곤 하지만, 대부분의 공학 관련 노벨상 타신분들은 이전부터 기술적으로 국가적 재화 수입이 가능한 수준의 연구들을 병행한 경우가 굉장히 많음. 그래야 세계적으로 기여를 한걸 인정받는거니까.
반도체 (또는 밧데리 자동차 조선 등등)가 멱살잡고 있는 한국이라면, 반도체 인력 사업이랍시고 쓰지도 못하는 미래 소자에 대한 과제보단 현실적으로 해결해야하는 어려움들을 해결해주는 연구실들에게 더 과제비가 돌아가야한다고 생각함.
그래야 산업도 인재 확보하고 기술 개발이 수월해질거라 생각함.
당신들의 의견은어떰?

2025.09.25

ㅋㅋ 누군가 한번 걸어주면 좋겠다 생각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